• 제목/요약/키워드: endophytic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27초

사구에 서식하는 단자엽식물로부터 식물 생장 촉진 활성 내생 진균류의 분리 (Isolation of Endophytic Fungi Capable of Plant Growth Promotion from Monocots Inhabited in the Coastal Sand Dunes of Korea)

  • ;;임순옥;이인중;서종철;추연식;진익렬;김상달;이인구;김종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355-1359
    • /
    • 2008
  • 내생성 진균류는 초본류의 식물체 내에 주로 서식하며, 식물의 병원균으로부터 숙주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식물 생육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다양한 대사 산물을 생산한다. 매우 흔히 접할 수 있는 사구식물의 뿌리로부터 49종의 균류를 분리하여 식물 생장 촉진 활성이 있는 균주를 선별하였다. 결과적으로 37균주(75.5%)는 awito-c 벼의 생육을 촉진하였으며, 11균주(22.5%)는 생육을 저해하였으며, 1균주(2%)는 생육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Gibberella fujikuroi와 증류수 및 Czapek broth 배지를 control 로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사구식물 내생균류의 많은 부분은 숙주식물의 생육과 발달을 조장하는 대사 산물을 생산함을 알 수 있었다.

파이로시퀀싱을 이용한 비료 장기 연용지의 벼 뿌리 내생세균의 군집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ndophytic Bacterial Communities in the Roots of Rice Grown under Long-term Fertilization Practice using Pyrosequencing Method)

  • 김병용;안재형;송재경;김명숙;원항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100-1107
    • /
    • 2012
  • 화학비료의 장기 시용이 벼 내생 세균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국립농업과학원의 장기 비료 연용 포장에서 재배한 벼 뿌리의 내생균의 군집을 파이로시퀀싱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3요소구 (APK)와 무비구 (NF) 시료에서 직접 DNA를 추출하여 세균에 특이적인 barcode PCR을 수행한 후 454 파이로시퀀싱을 하였다. 두 시료 (3요소구, 무비구)에서 1,900개의 염기서열을 얻었으며, 각각 177개와 72개의 OTU로 분류하였다. 두 시료는 22개의 OTU를 공유하였으며, 이들 OTU는 두 시료에서 모두 우점하였다. 특히 Pseudomonas속에 속하는 OTU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문 (phylum) 수준에서 우점하는 내생균은 두 시료 모두 Gammaproteobacteria,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등 이었다. 처리구별로 계산한 다양성 지수는 3요소구 시료에서 더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장기간 비료 시용은 식물체내 존재하는 내생균 군집 구조에 영향을 주며, 벼 뿌리의 내생 세균의 군집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순천만에 자생하는 염생식물의 뿌리로부터 분리된 내생진균의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Roots of Halophytes Naturally Growing in Suncheon Bay)

  • 서영교;김미애;유영현;윤혁준;우주리;이경민;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10
    • /
    • 2012
  • 순천만에 자생하는 2종의 염생식물의 뿌리로부터 내생 진균을 분리하였다. 사용 되어진 염생식물은 칠면초와 천일사초이며, 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최소배지를 사용하여 내생진균을 배양한 후 순수 분리하였다. 분리된 15 내 생진균 균주 rDNA의 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칠면초에서 5속, 천일사초에서 7속의 내생진균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Shannon's diversity index(H')를 이용하여 칠면초와 천일사초로부터 분리된 내생진균들의 종 다양성은 각각 1.561과 1.889로 확인되었으며 유연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계통분석을 수행하였다. 순천만 자생식물인 칠면초와 천일사초의 내생진균에서 자낭균문 Pezizomycotina 아문이 많이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Pezizomycotina 아문 중에서도 Sordariomycetes 강, Dothideomycetes 강, Eurotiomycetes 강에 속하는 내생진균이 칠면초와 천일사초에 모두 분포는 것을 확인하였다.

독도의 자생식물 뿌리에서 분리한 내생진균의 다양성과 생장촉진활성 (Diversity and Plant Growth-Promotion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Roots of Plants in Dokdo Islands)

  • 유영현;윤혁준;이길성;우주리;임순옥;신재호;이인중;추연식;김종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992-996
    • /
    • 2011
  • 독도에 자생하고 있는 식물의 뿌리로부터 내생진균의 분리를 시도하여, 동도로 부터 참억새, 돌피, 쇠무릎과 서도에서 갯별꽃 및 율무쑥등을 연구재료로 사용하였다. 총 21종의 내생진균을 분리하였고, universal primers ITS-1과 ITS-4를 사용하여 ITS 영역을 PCR로 증폭하여 동정하였다. 염기서열 분석결과, 동도에 자생하는 참억새에서는 Penicillium 속 균주가 75%, Aspergillus 균주가 25%, 분리되었고, 돌피에서는 Penicillium 속 균주가 55%, Aspergillus 속 균주가 30%, Zygorhynchus 속 균주가 15%가 분리되었으며, 쇠무릎에서는 Penicillium 속 균주가 50%, Aspergillus 속 균주가 12%, Gibberella 속 균주가 13%, Talaromyces 속 균주가 9%, Umbelopsis 속 균주가 8% 분리되었다. 서도에 자생하는 갯별꽃에서는 Penicillium 속 균주가 76%, Pestalotiopsis 속 균주가 24% 분리되었고, 율무쑥에서는 Penicillium 속 균주가 81%, Mucor 속 균주가 19% 분리되었다. Bioassay결과, 돌피에서 분리된 Ec-3-1균주가 식물생장촉진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독도의 5종류 식물에서 Penicillium 속의 내생진균이 가장 많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Isola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ve Active Diketopiperazine Derivatives from Endophytic Streptomyces SUK 25 with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ies

  • Alshaibani, Muhanna M.;MohamadZin, Noraziah;Jalil, Juriyati;Sidik, Nik Marzuki;Ahmad, Siti Junaidah;Kamal, Nurkhalida;Edrada-Ebel, RuAngeli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7호
    • /
    • pp.1249-1256
    • /
    • 2017
  • In our search for new sources of bioactive secondary metabolites from Streptomyces sp., the ethyl acetate extracts from endophytic Streptomyces SUK 25 afforded five active diketopiperazine (DKP) compoun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bioactive compounds isolated from endophytic Streptomyces SUK 25 and evaluate their bioactivity against multiple drug resistance (MDR) bacteria such as Enterococcus raffinosus, Staphylococcus aureus, Klebsiella pneumoniae, Acinetobacter baumanii, Pseudomonas aeruginosa, and Enterobacter spp., and their cytotoxic activities against the human hepatoma (HepaRG) cell line. The produc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by this strain was optimized through Thornton's medium. Isolation,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bioactive compounds were carried out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igh-resolution mass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d cryopreserved HepaRG cells were selected to test the cytotoxicity. The results showed that endophytic Streptomyces SUK 25 produces four active DKP compounds and an acetamide derivative, which were elucidated as $cyclo-({\text\tiny{L}}-Val-{\text\tiny{L}}-Pro)$, $cyclo-({\text\tiny{L}}-Leu-{\text\tiny{L}}-Pro)$, $cyclo-({\text\tiny{L}}-Phe-{\text\tiny{L}}-Pro)$, $cyclo-({\text\tiny{L}}-Val-{\text\tiny{L}}-Phe)$, and N-(7-hydroxy-6-methyl-octyl)-acetamide. These active compounds exhibited activity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ATCC 43300 and Enterococcus raffinosus, with low toxicity against human hepatoma HepaRG cells. Endophytic Streptomyces SUK 25 has the ability to produce DKP derivatives biologically active against some MDR bacteria with relatively low toxicity against HepaRG cells line.

강원도 춘천시의 소나무(Pinus densiflora)에서 분리한 내생균류의 다양성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Pinus densiflora in Chuncheon city, Gangwon province, Korea)

  • 김대호;용주현;이종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511-519
    • /
    • 2023
  • 우리나라 산림에 가장 많이 서식하고 있는 수종인 소나무(Pinus densiflora)의 내생균 다양성을 분석할 목적으로 강원도 춘천에 서식하고 있는 소나무 시료를 봄철과 가을철에 침엽, 가지, 줄기 등 부위별로 구분하여 채집하였다. 채집 시료에서 내생균 152 균주를 분리하여 29속 42종으로 동정하였다. Daldinia childiae가 44균주(28.9%)로 가장 많이 분리된 우점종이었고, Biscogniauxia maritima가 15균주(9.8%)로 분리빈도가 높았다. 부위별로는 가지에서 74균주(49%), 잎에서 47균주(31%), 줄기에서 31균주(20%)로 가지에서 가장 많은 내생균이 분리되었다. 부위별 우점종은 가지와 잎에서는 D. childiae (각각 20균주, 19균주)이었고 가지에서는 B. maritima (7균주)도 자주 분리가 되었다. 잎에서는 B. maritima가 6균주, D. childiae가 5균주로 자주 분리되었다. 채집시기에 따른 소나무 내생균의 다양성은 봄철에는 57균주가 분리되어 17속 19종으로 동정되었고 가을철에는 95균주가 분리되어 24속 35종으로 동정되었다. 자주 분리된 종으로는 봄철과 가을철 모두 공통적으로D. childiae (각각 21균주, 23균주)의 분리빈도가 가장 높았고 Biscogniauxia maritima (7균주, 8균주)도 자주 분리되었다.

철쭉의 뿌리에서 분리된 두 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 (Two Novel Species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Roots of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in Korea)

  • 박혁;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29-2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민주지산에 서식하는 철쭉(Rhododendron schlippenbachii)의 뿌리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형태적 특성의 확인 및 ribosomal DNA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지역, large subunit (LSU)지역의 분자적 분석을 통해 국내 미기록종인 Engyodontium album, Phaeosphaeria microscopica 2종을 동정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확인된 미기록종 내생균 2종의 형태적, 분자적 특성을 여기에 기술하였다.

칠면초 유래 내생균(Arthrinium sp. JS420)이 생산하는 이차대사산물 규명 (Secondary Metabolites Produced by an Endophytic Fungus Arthrinium sp. JS420 of Halophytic Plant Suaeda japonica)

  • 최현규;심상희
    • 생약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4
    • /
    • 2017
  • Four polyketides, tyrosol (1), (3R,4R)-(-)-4-hydroxymellein (2), (3R,4S)-(-)-4-hydroxymellein (3), and 1-phenyl-1,2-ethanediol (4) were isolated from organic extracts of cultures of an endophytic fungus Arthrinium sp. (JS420) isolated from stem of a halophyte Suaeda japonica Makico. Chemical structures of the isolated compounds were elucidated by comparison of their spectral data such as NMR and ESIMS with reported literature values. Among the isolated compounds, 3 and 4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fungus.

Screening of Taxol-producing Endophytic Fungi from Ginkgo biloba and Taxus cuspidata in Korea

  • Kim, Soo-Un;Strobel, Gary;Ford, Eugene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97-99
    • /
    • 1999
  • Endophytic fungi from Ginkgo biloba and Taxus cuspidata in Korea were screened for production of taxol. Eighteen and twelve fungal isolates from G. biloba and T. cuspidata, respectively, were shown to produce immunologically detectable amount of taxol. The highest production of taxol at 260 ng/l was achieved by stationary culture of an Alternaria isolate from G. biloba. The strain also produced unidentified antifungal agent(s) against Pythium ultimum. However, the activity gradually decreased when the strain was stored at $4^{\circ}C$ for 6 months.

  • PDF

Molecular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 Taxol-Producing Endophytic Fungus, Gliocladium sp., from Taxus baccata

  • Sreekanth, D.;Sushim, G.K.;Syed, A.;Khan, B.M.;Ahmad, A.
    • Mycobiology
    • /
    • 제39권3호
    • /
    • pp.151-157
    • /
    • 2011
  • The endophytic fungal populations of different tissues of Taxus baccata grown at high altitudes in West Bengal, India were explored. These isolated fungal populations represented different genera, which were screened for taxol production using immunoassay technique. The culture AAT-TS-$4_1$ that produced taxol was identified as Gliocladium sp. based on its cultur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18S rRNA sequence analysis. Kinetics of taxol production as a function of culture growth were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