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 of color

검색결과 455건 처리시간 0.03초

넥타이의 폭, 스트라이프의 배열과 면적비에 따른 소비자 감성 평가 (The Consumer Sensibilit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d Area-ratio of a Stripe, and the Necktie Width)

  • 최수경
    • 감성과학
    • /
    • 제15권2호
    • /
    • pp.193-20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넥타이의 폭, 스트라이프의 배열과 면적비에 따른 소비자 감성을 알아보는 데 있었다. 본 연구의 측정 도구는 자극물과 소비자 감성 척도로 이루어져 있었다. 자극물은 넥타이 폭(좁은, 중간, 넓은), 스트라이프 배열(가로, 세로, 사선), 스트라이프 면적비(1:1, 1:2, 1:3)로 된 27개의 컬러 그림으로 조작되었으며, 소비자 감성은 7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서울, 광주, 대구, 진주, 창원 등지에 거주하는 20-30대 성인남녀 27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1년 11월에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에 의해 변량분석과 Duncan-test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넥타이의 폭, 스트라이프의 배열과 면적비에 따른 소비자 감성은 매력성, 품위성, 개성, 능력성, 활동성의 5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넥타이 폭은 매력성, 품위성에서 독립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스트라이프 배열은 매력성, 품위성, 개성, 능력성에서 독립적인 효과가 나타났고, 스트라이프 면적비는 품위성에서 독립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넥타이 폭과 스트라이프 면적비는 능력성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넥타이 상품 기획 시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조망 높이의 차이가 초래한 감각적 간섭이 시각단기기억 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nsory Interference Arising from View-Height Differences on Visual Short-Term Memory Performance)

  • 가야금;현주석
    • 감성과학
    • /
    • 제23권1호
    • /
    • pp.17-28
    • /
    • 2020
  • 관찰자의 조망 높이의 감소는 시각장면 내의 사물들 간 중첩의 증가를 초래해 해당 사물들의 정체 파악을 어렵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능성에 기초해 조망 높이를 달리한 시야 상에 기억이 요구되는 자극들을 제시하고 해당 자극에 대한 시각단기기억 수행을 조사했다. 실험 1에서는 관찰자의 조망 높이(고, 중, 저) 차이를 반영한 격자무늬 배경과 기억 자극을 구성해 해당 자극들의 위치와 색상을 파지하는 단기기억 과제가 실시되었다. 기억 자극의 개수 증감(3 vs. 6)을 통해 기억부담의 수준을 달리해 가면서 기억 수행을 조사한 결과, 조망 높이가 가장 낮은 경우 기억부담의 증가에 따른 기억수행의 저하가 가장 분명한 것이 관찰되었다. 실험 2에서는 선형조망을 제공하는 격자무늬 배경의 유무에 따른 기억 수행을 관찰한 결과 실험 1과 동일하게 조망 높이가 가장 낮은 경우 수행이 역시 저하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조망 높이의 차이가 시야 상의 사물들 간 중첩 단서량의 변화를 초래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변화가 초래하는 감각적 간섭이 시각단기기억 수행에 영향을 줄 가능성을 시사한다.

천연염색직물의 물리적 색채 특성과 심리적 감성 요인 (Physical Colorimetric Properties and Psychological Sensibility Factor of Naturally Dyed Fabrics)

  • 이유진;이경현;조길수
    • 감성과학
    • /
    • 제19권3호
    • /
    • pp.3-1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천연염료와 직물종류, 매염유무의 세 가지 조건에 대한 천연염색직물의 물리적 색채 특성을 측정하고, 심리적 색채감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하여 염료의 종류, 직물의 종류, 매염제의 유무에 따른 물리적 색채 특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물리적 색채 특성과 심리적 감성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이용해 천연염색에 대한 예측식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천연염색직물에 대한 감성 이미지 맵을 제안하기 위하여 다차원 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MDS)을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대표적으로 남성적인(masculine)인 이미지에는 무거운, 딱딱한 색채감성을 갖는 치자염색이, 여성스러운(feminine) 이미지에는 밝고 투명하고 부드러우면서 가벼운 색채감성을 갖는 소목과 락, 치자청을 사용한 염색이 적합하다. 내츄럴(natural)한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은은한 색채감성의 쑥 염색이 적절하고, 화려한 색채감성의 쪽으로 염색을 한다면 액티브(active)한 이미지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 예측 가능하다.

저수준 시각적 특질이 위협 탐지에 미치는 효과: 뱀 탐지 이론의 검증 (Effects of Low-Level Visual Attributes on Threat Detection: Testing the Snake Detection Theory)

  • 김태훈;권다솜;이도준
    • 감성과학
    • /
    • 제23권3호
    • /
    • pp.47-62
    • /
    • 2020
  • 뱀 탐지 이론은 영장류가 천적인 뱀과 경쟁하면서 뱀을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는 시각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고 설명한다. 구체적인 가설 중 하나는 먼지세포 중심의 피질하 시각 경로가 사람으로 하여금 심적 자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자동적으로 뱀의 위협을 탐지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뱀 영상에 대한 인간 참가자의 반응을 공포 표정의 얼굴 및 꽃에 대한 반응과 비교함으로써 뱀 탐지 이론의 가정들을 검토하였다. 참가자들은 원본 영상을 관찰하거나, 원본 영상에서 색상, 밝기와 대비, 공간주파수 에너지 차이를 제거한 변환 영상을 관찰하였다. 실험 1의 참가자들은 각 영상에 대한 정서가와 각성 유발 정도를 평정하였고, 실험 2의 참가자들은 연속점멸억제 절차에서 표적 자극을 탐지하였다. 그 결과, 뱀에 대한 반응은 시각 요인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다. 영상들의 시각적 차이를 제거했을 때, 뱀 영상은 덜 부정적이고 각성을 덜 유발하며 연속점멸억제에서 느리게 탈출하였다. 그에 비해, 다른 범주에 대한 반응은 영상 변환의 영향을 덜 받았다. 특히, 공포 표정의 얼굴은 일관적으로 영상 조건에 상관없이 위협적인 대상으로 평정되었으며 빠르게 탐지되었다. 또한, 실험 1에서 측정한 각성 평정의 변화량과 실험 2에서 측정한 연속점멸억제 탈출 시간의 변화량이 부적 상관을 보였다. 영상 변환 후 각성 평정 점수가 많이 감소한 뱀 영상일수록 탐지반응시간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뱀이 인간 관찰자의 위협 탐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이 공포 표정의 얼굴에 비해 제한적이며, 연속점멸억제 탈출 반응과 의식적 평정 반응이 처리 기제를 공유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인간의 뱀 탐지가 무의식적 피질하 시각 경로의 산물이라는 가정에 의문을 제기한다.

사고가 시각을 바꾼다: 조절 초점에 따른 소비자 감성 기반 웹 스타일 평가 모형 및 추천 알고리즘 개발 (Individual Thinking Style leads its Emotional Perception: Development of Web-style Design Evaluation Model and Recommendation Algorithm Depending on Consumer Regulatory Focus)

  • 김건우;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4호
    • /
    • pp.171-196
    • /
    • 2018
  • 본 연구는 디자인 영역 중 웹 스타일에 대해서 소비자 감성과 만족과의 관계를 연구했다. 기존 웹 스타일 연구들은 웹의 레이아웃과 구조도 등과 색상 등이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연구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차별되게 웹의 구성 요소를 배제하고 소비자의 감성 지표만을 갖고 소비자 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분석을 위해 검증을 위해 소비자 204명을 대상으로 40개 웹 스타일 테마를 선정, 각 소비자에게 4개씩 평가하도록 하였다. 소비자에게 평가하도록 한 감성 형용사는 18개의 대비되는 쌍을 갖는 감성 형용사로 구성하였고, 요인 분석을 통해 상위 감성 지표를 추출했다. 각 감성 지표들은 '부드러움', '모던함', '명확함', '꽉 참' 이었으며, 감성지표들이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으로 판단하여 가설을 수립했다. 분석 결과에 따라 가설 1과 2, 3은 채택되었으며, 가설 4의 경우는 기각되었다. 가설 4의 경우 기각되었지만 정의 방향이 아닌 부의 방향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조절 초점 성향이 감성이라는 정보처리 과정에서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으로 판단했다. 조절 초점 성향은 조직 행동 및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기도 하며, 정치, 문화, 윤리적 판단 및 행동은 물론 광범위적 심리적 문제와 사고 프로세스, 감정적 반응에도 영향을 미친다. 때문에 각 감성 지표에 대한 조절 초점 간 차이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고, 각 감성 지표에 대한 세부 가설을 수립했다. 세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조절 회귀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가설 5는 부분적으로 지지됐고, 가설 5.3만 지지되었고, 5.4의 경우 기각되었지만 가설과의 반대 방향으로 지지되었다. '명확함'의 경우 향상 초점이 소비자 만족에 더 큰 영향을 보였고, 예방 초점일수록 '꽉 참'을 더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조절 초점 성향을 향상, 예방, 중간 성향으로 3집단으로 구분, 소비자 감성 기반으로 웹 스타일에 대한 추천을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기호의 삼분구조에 의한 20세기 여성 패션의 특성 분석 (Charaeteristics of Women′s Fashion in the 20th Century Based on the Threefold Structure of Semiotics)

  • 김은경;김영인
    • 복식
    • /
    • 제54권7호
    • /
    • pp.41-54
    • /
    • 2004
  • This study purposed to apply function form content, the three concepts that have been discussed by many philosophers since ancient times, to fashion design. Specific research goals are : first, to define fashion design based on the three concepts : and second, to examine how each of the three concepts function-oriented, form-oriented and content-oriented design have been expressed in women's fashion in the $20^{th} century. For these purposes. the author considered Morris' semiotics, which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hree concepts, reviewed previous researches in design area, and applied the findings to fashion design. According to the result of applying the threefold structure of semiotics. which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hree concepts, the pragmatic dimension of fashion design comprehends all functional rules related to the use of dress such as body motion and protection, health and safety. air flow and durability, and its syntactic dimension comprehend all the formal elements of visual design such as the structure, shape, line, color and material of dress. The semantic dimension of fashion design includes the symbolic meanings of dress expressed by emotion, sentiment and images. The three dimensions exist interdependently with one anoth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concepts in the scope of women's fashion in the $20^{th} century. function-oriented design is characterized by practicality and simplicity, and has been expressed as the fashion of functionalism in the 1920s, that of minimalism in the 1960s, and the basic style from 1970s to 1980s, 1990s and the present. Form-oriented design has pursued aestheticism, putting stress upon form, and has been expressed with organic shapes imitating patterns found in nature in the 1950s and with optical art fashion in the 1960s. Content-oriented design attaches importance to transmission of delicate meanings related to the mental world of human beings, and is represented with symbolic forms. Such a characteristic has been expressed in fash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influenced by surrealism and, with various types of design breaking established forms as well as metaphors and humors that characterize design in the late 20th century.

한국에서 백의호상(白衣好尙) 현상이 고착된 배경에 관한 논의 - 유창선(劉昌宣)의 백의고(白衣考)를 중심으로 - (Discussion on the Background of the Baekeuihosang Phenomenon in Korea - Focusing on Baekeuigo written by Yoo, Changseon -)

  • 서봉하
    • 복식
    • /
    • 제64권1호
    • /
    • pp.152-164
    • /
    • 2014
  • Korean people have revered the white color and enjoyed wearing white clothes. Various kinds of white clothes have been worn by the Korean people, ranging from everyday wear(便服), and scholar's robe(深衣) for the upper class, to religious costumes like Buddhist monk's robe(僧服), shaman costumes(巫服) and costumes for ancestral rites(祭服), or mourning(喪服). There have been many differing opinions by historians regarding the background of this Baekeuihosang(白衣好尙, the preference for white clothing) tradition and even now, it is frequently being discussed. This study aims to consider and discuss the background of this Baekeuihosang tradition, focusing on Chang-seon Yoo's Baekeuigo(白衣考, the consideration of white clothing), which was published in Dong-A Ilbo in 1934. The purposes of studying literature such as the Baekeuigo is to analyze the arguments on the origin of Baekeuihosang, to analyze Chang-seon Yoo's claim of its origin, and to discuss the culture of Baekeuihosang. Chang-seon Yoo claimed that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background of Baekeuihosang based on the lack of dyes, or undeveloped technique, economic privation and national control strayed from historical facts, according to literature review. It is not worth discussing the farfetched arguments such as the use of costumes for ancestral rites as everyday wears, or the nation of sorrow. Baekeuihosang tradition mostly originated from the effects of many religions and the taste for innocence, or naturalness. White clothes were infused with the sorrow and emotion of Korean people and were also worn to show resistance to foreign power as symbols of ethnicity. Therefore, there should be a new view of the discussion of white clothes and Korean aesthetic sense, away from the logic distorted by the Japanese colonial view of history.

락(Rock) 음악의 발전에 따른 스트리트 스타일의 발생과 변천 (The origination and Changes of Street Style on the Development of Rock Music)

  • 정미진;정흥숙;김선화
    • 복식
    • /
    • 제52권5호
    • /
    • pp.173-186
    • /
    • 2002
  • Street Style, occurred in British and America, has been expressed the character of the new generation by repeating developments and changes. Nowadays, pop music reflects the phase of society. and simultaneously it has influence on from culture to society. Rock Music was rooted in Country 8l western of America. Upon Country & Western, Afro-Americans Rhythm & Blues was added, and that was the birth of Rockabilly. Rockabilly developed to Rock'n 'roll and it started to change to various forms of Rock since 1950s. As the commercial impact and the breakthrough of teenagers emotion, the rock culture comprised the base of the youth culture. However. it formed the anti-establishment culture against the established value, accepting working class subculture. The teenager culture was affected by the Rock culture, also found relief in the opulence provided by the established generation, imitating it as it was. Simultaneously, it had a contrary aspect as anti-establishment form under the banner of revolt against languor in richness. The youth culture created street style that was escaped from high fashion, every time Rock music had changes. Since Street style was based on resistance of established culture and it fully refused vogue, it was indifferent from high fash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every time Rock music had changes, the new youth culture was concomitant with, the youth culture created street style. Secondly, rockahibilly style was characterized as diamond shaped design, embroidery, extra wide shirt collar, vivid contrast color . Rockers style was represented as metal studs, beads, denim, leather jacket, boots. Fusion of hippies style and Psychedelic, long hair, beads. worn denim were elements of headbangers style. Punks style was characterized as ripped T-shirt. rooster hair, over decorated jacket, short skirt. net or plastic T-shirt. Lastly, the firm relation between popular art and fashion was proved by examining the history of Rock Music and Street Style.

20세기 상징적 패션 아이콘에 따른 아이템 연구 (A Study on the Fashion Item of the Symbolic Fashion Icons in the 20th Century)

  • 이은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9-10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shion item of the symbolic fashion icons in the 20th century. The symbolism of fashion icons was grouped into four classes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a social-cultural change. 1. Icons between dream and reality: A dreary emotion that was caused by material richness has a longing for an ideal image. A typical style was Art Nouveau style, which pressed into a grotesque S-bend. While as the world placed on a economic reconstruction after World War I, rational fashion icon which pursued more function and simplify than cumbersome style and complexity came out. 2. Icons between solid and liquid: A solid icons was connected with a mode of female body during World War 1. This extremely stylized female figure. Flowing fabrics enveloped the stylized female figure and they brought a liquid icons into relief. 3. Icons between uniformity and variety: At a time when uniformity was appeared strongly within 20th century is during World War II and about 1940-1950. The uniformal icon was classified into uniformity by uniform and by mass production. A repugnance for the uniformity and imitation of fashion was tried a new fashion style. It could be called with the various of fashion icon. 4. Icons between social secession and rediscovery: In 1950-1960, 1970-1990, and the end of 20th century, the advent of the young culture was born a consumer who newly breaks in fashion. It could be included within the domain of social secession icon. While the rediscovery of fashion icon was associated with experimental new fibers, leotard, suitable replacement for wool or acrylic knit, silk that could stretch in any direction, new fabrics that were transparent, took color beautifully, and could be painted, tie-dyed, or embroidered.

  • PDF

간호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만다라 분석 (The Type of Enneagram and the Meaning of Mandalas by the Nursing Students)

  • 한주연;이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645-655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심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설문지와 자유만다라 그리기를 이용하여 2020년 10월 16일부터 11월 13일까지 4주간 충남 일개 간호대학 재학생 127명을 대상으로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version을 이용하여 χ2 test, t-test, ANOVA 및 Scheffé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만다라는 Fincher(1991), Kellogg(1977), 정여주(2001)의 만다라 분석방식과 평가 기준 등을 참고하였고 분석기준 구성체계의 적절성과 명확성을 논의하기 위해 총 3인이 평가기준 항목 및 그림을 보며 논의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압도색의 경우 사고형에서, 명암의 경우 본능형에서, 일원상의 만다라 형태의 경우 사고형과 감정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신입생 시기부터 간호교육 과정에서 자신의 성격유형을 이해하고,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보완해 갈 수 있는 과정을 연계하여 제공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