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7초

교사도우미 로봇을 활용한 어학교육 서비스 플랫폼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anguage Education Service Platform for Teaching Assistance Robots)

  • 유갑상;최종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223-23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교사도우미 로봇에 초점을 맞추어 클라우드 기반의 교육서비스 모델을 연구하여 서버영역에 적용하고, 클라이언트 영역에서는 교사도우미 로봇을 초등학교 교실환경에 적용하여 어학교육 서비스 플랫폼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새로운 사물인터넷(IoT)기술 접목을 통해 쾌적한 스마트 교실환경을 만들고 다양한 미디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광범위한 선행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해서 서비스 모델구축에 필요한 기본적인 요구조건을 정리하였다. 임베디드 기반의 영상인식, 음성인식, 자율주행은 물론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IR센서, GPS, 온습도 센서에 대한 기술을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서비스를 완성하도록 한다. 본 연구결과의 가장 핵심적인 시사점은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한 최적화된 플랫폼에 로봇러닝 및 IoT, BIM기술 융합을 통한 지능형로봇기반의 스마트 교실구축 가능성 제시에 있다고 본다.

리눅스 기반 초등학교 학급경영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설계 및 개발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lassroom Management Database System Based on Linux in Elementary Schools)

  • 김갑동;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59-167
    • /
    • 2001
  • 교육정보화사업이 이루어지면서 학교 현장에는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학내망과 교육망이 구축되었으며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화 및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 학교와 학급에서의 정보의 관리 및 공유는 효과적으로 이루어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학내망의 저비용과 고효율을 이룰 수 있으며 교사가 학급을 경영하는데 필요한 업무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학급 경영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리눅스기반 초등학교 학급경영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 PDF

스마트 기기 도입이 과학탐구 활동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교육대학원 초등과학 전공 교사의 인식 사례를 중심으로- (How does the introduction of smart technology change school science inquiry?: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장진아;정용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59-37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 도입이 '과학탐구' 활동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스마트 기기 도입이 탐구 활동에서 갖는 여러 가능성과 어려움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대학원의 초등과학교육 전공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 모둠 토의, 전체 토의, 참여자 면담 등의 다양한 출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스마트 기기를 통해 천체나 작은 생물과 같이 직접 관찰하기 어려운 현상에 대한 관찰 기회가 확대되어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독려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새로운 장치에 대한 조작의 부담으로 인해 학생들이 탐구에 집중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해 초등학교 과학탐구 활동에서 디지털식 측정 방식을 도입하기도 했다. 디지털식 측정은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자료를 모을 수 있으며, 정확하고 정량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교사들에게 선호되었다. 하지만 새로운 측정 장치로 인해 추가 변인이 생기거나 탐구 활동의 본질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었으며, 교사들은 아날로그식 측정 방식과 디지털 측정 방식 사이에서 자신의 탐구에 대한 신념에 따라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방식을 선택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교사들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해 다양한 형식의 축적된 자료 수집하여 양질의 과학적 증거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양질의 과학적 증거들은 탐구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탐구 과정에 대한 의사소통에도 보탬이 된다고 보았다. 넷째, 교사들은 교육용 SNS를 활용하여 탐구 과정에서의 공유와 소통 기회를 확장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학생들의 진지한 참여와 상호작용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대화를 통해 적절한 규범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과학탐구와 스마트 기기의 의미 있는 통합을 위해 교사의 과학교육적 신념에 따른 디지털 기기 활용 방식, 과학탐구에서 요구되는 디지털 활용 역량의 유형과 특징,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탐구에서 형성되는 학급 규범의 특징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들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코딩블록을 활용한 초등 과학영재 대상 피지컬 컴퓨팅수업의 교수·학습 과정 분석 (Analysis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n Physical Computing Class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 Science)

  • 김지예;전영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613-62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코딩블록(MODI)을 활용한 피지컬 컴퓨팅 교수 학습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영재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국제 교육성취도 평가 협회(IEA)에서 개발한 컴퓨터 정보 소양 평가 기준으로부터 MODI를 활용한 수업의 학습목표를 설정하였고, 학습목표에 따라 MODI를 활용한 피지컬 컴퓨팅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연구 개발한 프로그램은 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교육대학교 초등 과학영재교육원 4~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코딩블록(MODI)을 활용한 피지컬 컴퓨팅 수업을 32차시 실시하였으며, 교수 학습 과정을 담은 수업 동영상 및 수업관찰 일지, 교사와 학생 설문지 및 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학교교육 현장에서 코딩블록(MODI)을 활용한 피지컬 컴퓨팅 교수 학습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코딩 교육을 통하여 컴퓨팅 사고력의 확장을 모색하였다.

미국의 초등학교 도서관 특별 프로그램에 관한 사례 연구: 텍사스 주를 중심으로 (Case Studies on Special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 Media Centers in Texas, U. S. A.)

  • 정연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21-242
    • /
    • 2002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방안으로 사용될 수 있는 미국의 학교도서관매체센터의 특별 프로그램에 관한 사례 연구이다. 텍사스 주의 7개 초등학교 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특별 프로그램을 사례로 뽑아 프로그램의 종류, 목적, 요소, 효과와 주제에 관해 분석하였다. 특별 프로그램은 도서판매와 교과과정과 연계하여 전시와 진열, 초청 강연, 학습 센터, 실연, 매체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교과과정의 지원과 학생들의 개인적 관심의 충족, 그리고 교사들의 전문적 성장을 공통적인 목적으로 하였다. 특정 집단에 적합한 프로그램의 연결, 교과과정과 연계한 프로그램의 개발, 특정 주제에 관한 재미있고 효율적인 방식의 제공, 즐기면서 충족시킬 수 있는 행사의 진행, 적절한 시기와 시간의 배정이 필수적인 요소였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학교도서관매체센터와 매체전문가의 존재를 확인시켜주었으며 매체센터의 이용을 증가시키고 교실 수업의 지원, 학생과 교사의 개인적인 흥미의 확대, 평생학습자로서의 개발, 학교도서관매체센터의 홍보를 가능하게 해주었다. 그러므로 학교도서관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의 하나로서 다양한 특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교장과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의 관심과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초등학생의 자기 선택적 독서가 독서흥미에 미치는 영향 - A초등학교 도서선택 수업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elf-Choice Reading on Reading Interes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Book Selection Class in A Elementary School)

  • 박경희;조아라;이명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53-274
    • /
    • 2021
  • 2015교육과정에 '한 학기 한 권 읽기'가 도입되면서 동일한 도서를 학급단위로 읽는 활동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서(교사)는 학급단위로 이루어지는 교사의 도서추천과 도서선정 과정을 적절히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학급에서 교사가 추천한 한 권의 책을 읽을 때 초등학생의 독서흥미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학교도서관 서비스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A초등학교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학급별 투표를 통해 교사추천도서 중 한 책을 정해 읽는 도서선택 수업을 진행하고, 독서를 전후로 학생들의 독서흥미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신이 선택한 도서를 읽은 학생은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도서를 읽은 학생보다 높은 '독서 후 흥미'를 보였다. 그러나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도서를 읽었어도 '독서 전 흥미'가 높았던 학생은 '독서 후 흥미'가 높게 나타났다. 독서 전 흥미는 도서정보를 골고루 제공받고 학교도서관 이용 빈도가 높았던 학생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자기 선택적 독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독서 전 흥미를 높일 수 있도록 도서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하고, 학교도서관 이용 빈도를 높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초·중·고등학교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 환기량 평가 (Evaluation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and Ventilation Rate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 최영태;허정;박진현;김은채;류현수;김동준;조만수;이채관;이종대;양원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44-352
    • /
    • 2020
  • Objectives: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indoor air quality. Ventilation within schools is important because of indoor air quality and its effect on health and learning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arbon dioxide (CO2) concentrations and ventilation rates in schools. Methods: This study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CO2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lassrooms over six months. The seasons during the study were summer, fall, and winter. Sensor-based monitoring was used an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classroom were investigated. The body surface area of the students was used to calculate the CO2 generation rate, and the air change per hour (ACH) was evaluated using mass balance modeling. Results: The average CO2 concentration measured in most schools exceeded 1000 ppm. The ventilation rates varied from season to season. Compared to the recommended ventilation rate of 4.9 ACH, the roughly 3 ACH calculated in this study indicates that most schools possessed insufficient ventilation. Conclusions: The concentration of CO2 in school classrooms could be an indicator of indoor air quality and can affect students' learning ability. In this study, CO2 concentrations exceeding the standard indicate a lack of ventilation along with problems with indoor air quality. Therefore, appropriate improvements are need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수업형태와 수업환경에 대한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들의 선호도 비교 (The Comparison on Preferences about Class Forms and Class Environments between the Science Gifted Students and Normal Students)

  • 전은선;이형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46-35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 a help with designing science curriculum and developing science programs for the science gifted students by comparing their preferences about science class forms and class environments between science gifted students and normal students. For this study, 2 classes of science gifted students and 5 classes of normal students in 4th, 5th grade joined in this survey and their preferences about science class forms and class environments were checked using questionnaire.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in the area of class form, from comparing their preferences about teaching content domain, science gifted students showed meaningful higher preferences in all factors such as clarification, structuralization, thinking of high level and diversification. In comparing their preferences about teaching process domain, science gifted students also showed meaningful higher preferences in all factors such as diversification and self directed learning. Second, in the area of class environment, from comparing their preferences about classroom domain, science gifted students showed meaningful higher preferences in all factors such as teacher's support and rule and organization. In comparing their preferences about mentality domain, science gifted students also showed meaningful higher preferences in all factors such as influence of friends and parents. Third, in science gifted students, from comparing their preferences by gender about science class forms and class environments, female students showed meaningful higher preferences in factors of clarification. And in other factors females showed similar preference tendency with male students. In normal students' comparing, female students showed meaningful higher preferences in factors of teacher's support. And male students showed meaningful higher preferences in factors of high level thinking and influence of friend and influence of parents.

초등학생의 1년간 시력변화와 관련된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Changes in the Visual Acuity of Primary School Children Over One Year)

  • 이규영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9-192
    • /
    • 1997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identify factors related to changes in visual acuity of primary school students over one year period.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980 students in the first to fifth grades of on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Koyang City, Kyungki Province. The visual acuity tests of students and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for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were administered in 1995 and 1996.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AS PC.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Visual acuity in both eyes is significantly lower in girls than in boys. 2. Overall visual acuity of the students decreased over the one year. Notably, decreases in visual acu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first to the second grade and from the third to the fourth grade. 3. Students with visual acuity ranging from 0.4 to 0.7 and those above 1.0 in 1995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acuity in 1996 than other students. 4. Students who needed glasses in 1995 showed significantly lower visual acuity in 1996 than those without glasses. 5. Other factors related to visual acuity are lights in the classroom, difficulty reading a blackboard, posture of children while watching TV, and distance from the TV set. Some of these factors may be the result of students' already poor visual acuity rather than causes of the decrease. In conclusion, many elementary school children experience significant decrease in visual acuity and need special intervention to maintain or improve their visual acuity.

  • PDF

과학영역에서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의 매개효과 (The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in Science)

  • 조선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58-96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역에서의 자기효능감, 과학성취,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초등학교 5학년 158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되었다. 학생들의 과학관련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시연, 정교화, 조직화, 초인지)이 측정되었고 과학성적이 수집되었다. 기초통계분석으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검증방법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이 사용되었다. 매개 효과가 있을 경우 이를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가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은 과학성적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과학영역관련 자기효능감 역시 과학성적을 예측하는 중요한 심리적 구인임이 검증되었다. 매개효과검증 결과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은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있어 부분매개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 분석결과 시연전략은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매개자의 역할을 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학생들의 과학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