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일기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변화 유형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the Views on Nature of Science (NOS) Appeared i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Journals)

  • 임성만;신정윤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0-42
    • /
    • 2023
  •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과학 일기를 양적·질적 분석하여 초등 예비교사들이 지닌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의 특징과 그 변화 과정을 분석하여 범주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예비교사 13명이 쓴 과학 일기 112편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과학의 본성 4가지 영역의 연구 개념틀을 이용하여 영역별 빈도수를 분석하였고, VNOS-C 검사 분석틀을 이용하여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 변화 양상을 귀납적으로 도출하여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과학 일기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은 과학의 사고적 본성, 지식적 본성, STS적 본성, 탐구적 본성은 비교적 비슷한 비율로 서술되었으나 그 중 과학의 사고적 본성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과학의 탐구적 본성이 가장 낮은 비율로 기술되었다. 과학 지식의 가변성, 경험적 증거의 중요성, 과학의 긍정적·부정적 작용에 대해서는 특히 집중적으로 언급되었다. 또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 변화 양상은 '고전적 관점 유지형', '현대적 관점 유지형', '회귀형', '발전형', '혼재형'으로 유형화 할 수 있었다. '과학 지식의 경험적 본성' 요소는 학생에 따라 변화 양상이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과학 지식의 잠정성에 대해서는 현대적 관점을 여러 회기 동안 유지하였다.

과학 개념 학습에서 배경 지식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ckground Knowledge on Solving Problems in Learning Scientific Concept)

  • 최혁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1호
    • /
    • pp.24-3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background knowledge on problem solving. To achieve this aim, I proposed the model which shows problem solving process centering around background knowledge, conducted the lessons concerning the concept 'weightlessness'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then classified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to several groups by the difference of the results presented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s on weightlessness. And I examined qualitatively the effects of background knowledge on problem solving through the interview with 11 volunteers. On the cause of the failing the problem solving, the failure of acquiring or activating the background knowledge related to the learning concept was most frequently, secondly the use of the background knowledge unrelated to the learning concept, and thirdly the failure of understanding the teaming concept. To acquire or activate the background knowledge related to the teaming concept was more difficult than to understand the new teaming concept, and the cases that use the background knowledge unrelated to the learning concept failed to solve problem. The result of interview, all interviewee understood the learning concept correctly, but all of them who fail to acquire or activate the background knowledge related to the learning concept, or use the background knowledge unrelated to the learning concept, could not solve the problem.

  • PDF

의미네트워크를 활용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물질 개념체계 분석 (An Analysis of Conceptual Structure in the Subjects related to Matter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using SNA Method)

  • 김도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1호
    • /
    • pp.39-5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 structure of subjects related to matter having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apply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SNA). The analyzed concepts in the subjects of matter were 6 words such as 'atom', 'molecule', 'ion', 'electron', 'matter' and 'particle'. The results of SNA of the concepts are as follows : 1. In the semantic network of 'atom', words having a high betweenness centrality were linked with the words based on both the scientific context and the everyday context. 2. The network of 'molecule' was analyzed to be more organized than the network of the 'atom'. 3. In the network of 'ion', the group of words of the scientific context was distinguished from the group of words of the everyday context. 4. The network of 'electron' was analyzed to be more oriented on electricity and magnetism in the field of physics. 5. In the network of 'matter', the words related to compounds were linked with knowledge of history of science. 6. The network of 'particle' was not structured with words based on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일반학생, 영재학생, 예비교사, 현직교사의 다전략 수학 문제해결 전략 분석 (An Analysis o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of Ordinary Students, Gifted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 박만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419-44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학생, 영재학생, 예비교사, 현직교사들의 다전략을 가진 수학 문제해결 전략을 분석하여 각 그룹 간의 해결 전략을 비교하여 수학 문제해결 학습 및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초등학교 6학년 일반학생 98명, 초등 영재학생 96명, 초등 예비교사 72명, 초등학교 현직교사 60명을 선정하여 '닭과 돼지' 문제를 제시하고, 30분 동안 자유롭게 문제를 해결하면서 해결 전략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연구의 결과, 영재학생들이 일반학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다양한 해결 전략과 시간적으로 효율적인 전략을 사용하고, 다른 그룹에 비하여 가장 많은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4가지 이상의 전략을 제시한 비율은 각각 일반학생은 1%, 영재학생 54%, 예비교사 42%, 현직교사 43%로 전략의 다양성에서 영재학생, 현직교사, 예비교사, 일반학생들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별로 가장 많은 문제해결 전략의 제시는 일반학생 4가지, 현직교사 6가지, 예비교사 7가지, 영재학생 8가지 순서로 나타났다. 제언으로, 학생들과 교사들에게 다전략을 가지는 양질의 다양한 수학 문제해결 경험의 제공, 문제해결 전략에서 시간적 효율성 추구, 다전략 문제의 개발 및 현장에 보급하여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 등을 주장하였다. 후속 연구로, 다전략의 수학 문제를 교실수업에 적용하면서 보다 학생들의 의사소통 및 협력적 문제해결에 대한 협력적 문제해결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다양한 전략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런 연구 결과를 수업연구 방법 등을 활용하여 교사연수에 적극 반영하여, 교사들이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의 문제해결지도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An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Awareness and Needs on SW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Kim, Dong-Man;Lee, Tae-W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137-144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policy direction of SW education i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ith an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awareness and needs on SW education. One hundred two pre-service principals had been questioned about their acknowledg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SW education and willingness to develop the better SW curriculums. In details, 1) it is necessary to change of starting time to initiate SW education in 3rd grade or 4th grade, which is younger than it was planned at the 2015 Revision National Curriculum, and change over to be the independent subject. 2)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for selecting a specialized teacher, such as a dedicated teacher. 3) It is necessary to urgently be obtained of government budget for wireless Internet. These changes in the SW education policy would lead to the positive results from works by students and teachers.

$7^{th}-12^{th}$ Grade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and Science Teachers' Views on the Dissolution of Salt in a Liquid

  • Won, Jeong-Ae;Kang, Dae-Hun;Paik, Seoung-Hey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87-196
    • /
    • 2008
  •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f students in grades 7 through 12, student teachers enrolled in their senior year at teachers' colleges, and science teachers. Subjects were surveyed on their conceptions of phenomenon related with dissolution, saturation, and extraction. The models and analogies used by student teachers and science teachers to explain dissolution were sought. The highest percentage of students thought of dissolution as a phenomenon in which particles broke into the spaces between other particles. The models or analogies used by the highest percentage of science teachers were similar. They generally conceived of dissolution phenomenon through what we call the 'space conception'. A conception of dissolution phenomenon as 'hydration through attraction of solvent and solute' was held by more student teachers than science teacher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however, according to their academic background. The percentage of teachers professing this view decreased when they attempted to explain the process of extraction of matter in a solution after other matter had dissolved or after the solution was cooled, indicating that the 'hydration' conception was not firmly established in the student teachers' cognition.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conceptions of dissolution as 'hydration' were transformed into the conceptions of dissolution as 'space' after teaching dissolution phenomenon as practicing teachers. This finding should be considered in teacher-training courses.

딱따구리 과제에서 초등예비 교사들의 가설 평가 지식에 대한 분석을 통한 가설 평가 능력 지수 산출식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Quotient Equation of the Hypothesis Evaluating Ability by Analysis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Knowledges for Evaluating Hypothesis on a Woodpecker Task)

  • 이준기;이일선;권용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1호
    • /
    • pp.49-5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nt a quotient equation which could quantitatively evaluate individual's hypothesis evaluating ability. The equation was induced by the analysis of the classification types about hypothesis evaluation knowledges generated by 15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quotient equation on hypothesis evaluating ability. The hypothesis evaluation task administered to subjects was dealt with the woodpecker behavior. The task was initiated by generating hypothesis on the following question: 'Why don't woodpecker have brain damage after pecking wood?' Subjects then were asked to design and perform experiments for testing hypothesis. Finally they were asked to evaluate their own hypothesis based on the collected, analyzed and interpreted data. The knowledges generated from their evaluating hypothesis were analyzed by 4 major categories (richness, type, level and accuracy). Then, a general equation which could quantitatively and systematically evaluate individual's hypothesis evaluating ability was invented by an inductive process. After combining all the categories the following quotient equation was proposed; '$VQ\;=\;{\sum}(TE_n\;{\times}\;AE_n)\;{\times}\;LE$'. According to this results, woodpecker task and hypothesis evaluating ability quotient equation (VQ) which invented i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a practical use of measuring students' ability of scientific hypothesis evaluation.

  • PDF

창조적 지식기반사회 구축을 위한 초등수학과 실생활과의 연계 지도 방안 연구 (Exploration of Teaching for Mathematical Connections to Real Worlds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 김민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2호
    • /
    • pp.389-401
    • /
    • 2000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troduce how elementary mathematics pre-sevice teachers in pre-service teacher program could use and integrate poster, a kind of instructional media, to connect mathematics knowledge to real worlds. Poster examples include such as connection to mathematicians and mathematical connections to real world as well as nature. Further, future study will continue to foster students and teachers to try to construct their alive mathematics knowledge.

  • PDF

빛의 반사 현상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시각적 모델링 과정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Visual Modeling Process for Reflection of Light)

  • 윤혜경;이인선;박정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9-3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빛의 반사 현상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시각적 모델링 과정을 Halloun (2004)이 제안한 모델링 사고의 세 측면, 정합성(coherence), 대응성(correspondence), 통약성(commensurability)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초등 예비교사 20명이 참여하였으며 무작위로 2명씩 짝을 이루어 빛의 반사 현상을 관찰하고 이에 대한 시각적 모델을 처음에는 개인적으로 그리고 이후에는 협동적으로 구성하도록 하였다. 개인적 모델과 협동적 모델을 비교한 결과 특별한 교육적 처치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모둠에서 대응성과 통약성 수준이 다소 높아졌다. 또한, 이들의 추론 과정에서 세 가지의 주요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반사의 법칙을 적용하는 통약성 수준은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계속 변했고 구두 설명과 그림 설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시각적 모델링 과정에서 통약성, 정합성보다 대응성을 우선으로 고려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대응성과 통약성이 서로 갈등하는 상황에서 참여자들은 보조 가설에 대한 검토 및 수정을 통해 이 갈등을 해결하고 추론을 발전시켜 나갔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모델링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데 주는 몇 가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초등 예비교사들이 자유 탐구 활동 중에 겪은 어려움 조사 (Investigation on the Difficulties dur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Open-inquiry Activities)

  • 임성만;양일호;김순미;홍은주;임재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91-303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15주 동안 자유탐구를 경험한 초등 예비교사들이 자유탐구 중에 어떤 어려움을 겪었으며, 경험한 이후에 자유탐구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자유탐구를 경험하면서 주제 선정, 제반 여건, 외부 변인에 의한 실험 실패, 탐구 과정의 이해부족, 배경지식의 부족과 관련하여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제선정과 탐구과정의 이해부족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나 현장 적용을 앞두고 있는 자유탐구와 관련된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이 연구에서는 자유탐구에 대해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들어보았다. 예비교사들 대부분은 자유 탐구 경험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자유탐구 후 과학적 호기심이 증가되었고, 탐구를 적극적으로 실천하고자 하는 등 과학적 태도가 변화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예비교사들에게 자유탐구가 과학학습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판단하게 하였으며, 자유탐구를 경험한 학생들은 과학교과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뀔 것이며, 과학에 대해 흥미를 갖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2010년부터 현장에 적용되게 될 자유탐구에 대한 교사교육의 필요성과 자유탐구 지도에 대한 방향설정에 도움을 주리라 생각된다. 학생들이 자유탐구 중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그리고 자유탐구의 안정된 정착을 위해서 자유탐구에 대한 올바른 이해, 탐구과정에 대한 지도와 같은 노력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