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검색결과 384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예비교사의 과학 동기유발과 과학적 소양의 역량에 대한 인과구조 (The Causal Structure to the Scientific Motivation and the Scientific Literacy Competency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김동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3호
    • /
    • pp.208-218
    • /
    • 2017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nd disclose causal model of the scientific literacy competency about the motivation for science and the scientific literacy competency. The 3 grad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1 grade university students a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participated to questionnaire investig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factor analysis metho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metho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3 grad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1 grade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the science interest factors and science usefulness factors as the motivation for science, and also revealed the scientific problem recognition factor and the scientific evidence use factor as the scientific literacy competency. Second, the science interest factor had a greater effect on the scientific problem recognition factor than the scientific evidence use factor in both the 3 grade and 1 grade university students. In the path from the science usefulness factor to the scientific problem recognition factor, the science usefulness factor of the 3 grade university students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direct route to the scientific problem recognition factor than that of the 1 grade university students. In the path from the science usefulness factor to the scientific evidence use factor, the science usefulness factor of the 1 grade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d more on the direct route to the scientific evidence use factor than that of the 3 grade university students.

무중력 상태에 대한 예상의 확인 결과가 예비 초등 교사의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Result of Ascertaining Predictions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gnitive Conflict and Conceptual Change in the Concept of Weightlessness)

  • 최혁준;김준태;권재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1호
    • /
    • pp.43-50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result of ascertaining predictions on cognitive conflict and conceptual change when students teamed the concept of weightlessness. Participants were 200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y answered the pretest composed of two items. Through the demonstration on either of two items of the pretest, they identified whether their predictions were correct or not. In addition, students' cognitive conflicts were measured. After brief instructional treatment, the pos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ore students who identified their own predictions on the experiment were incorrect there were, the more effective it was on cognitive conflict and conceptual change. And cognitive conflicts and conceptual changes of students who identified that their predictions were incorrect were generated meaningfully more than those of students who identified that their predictions were correct.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students who identified that their predictions were correct experience cognitive conflicts, but their cognitive conflicts and conceptual changes were smaller than those of students who identified that their predictions were incorrect.

  • PDF

분할과 반복 조작을 통한 분수지도 탐구 (A Study on a Fraction Instruction via Partitioning and Iterating Operations)

  • 최근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3호
    • /
    • pp.411-424
    • /
    • 2010
  • 이 연구는 Steffe의 분수 조작과 스킴의 바탕이 되는 분할 및 반복과 관련된 예비 초등교사가 지니고 있는 개념 인식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약간의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 분할과 반복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 실제적인 응용의 일환으로, 나누는 수가 분수인 분수 나눗셈과 관련된 초등 수학교과서 내용을 재구성하는 예시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과 요구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on STEAM Education)

  • 임청환;오보정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bout the awareness and demand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TEAM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er administered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160 pre-service teachers and 191 in-service teachers who were sampl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n the awareness and demand for knowledge and necessity on STEAM, first, on the understanding related knowledge, most respondents have heard of STEAM education(97.7%), and well aware of STEAM(91.4%) through the teacher training course(80.3%). Second, on the necessity, 60.4% respondents were located in "very necessary" and "necessary" entry. On the awareness and demand for applying STEAM, first, on the reasons of applying STEAM was to help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Also 67.3% respondents would like to apply STEAM on their science class. The reason was necessity on STEAM, and the most suitable subject for blending with science of applying to STEAM was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the most difficult subject was art. Second, on the effect of STEAM, most respondents had positive awareness on the all categories. Third, on the purpose of science education, also had positive awareness on the all categories of the purpose of science education. On the awareness and demand for blending ways of STEAM and improvements, first, on the blending ways of STEAM, topic centered blending related to real life had a majority. Second, on the improvements, to improve the STEAM education, many respondents pointed out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STEAM program and dissemination of related resources.

예비 초등 교사들의 환경에 대한 태도 연구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Environmental Issues)

  • 이은아;최성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5-140
    • /
    • 2003
  • 본 연구는 예비 초등 교사들의 환경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이러한 태도에서 비롯된 환경 관련 인식이 학교환경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예비 초등 교사들은 경제적인 성장 내지는 과학기술의 발달이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과 환경보호의 필요성은 비교적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런 인식과는 대조적으로 삶의 질의 저하에 대하서는 매우 두려워하고 있으며 이는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실천적 지식으로 연계되고 있지 못함을 보여준다. 아울러 예비 초등 교사들은 환경 문제에 대해 균형감이 상실된 편향된 태도 및 인식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이들의 환경에 대한 태도 및 지식이 대개 대중매체를 통해 형성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예비 초등 교사들이 환경에 대하여 균형 있는 태도를 갖추고 이와 연계된 올바른 인식을 형성하며, 이것이 실천적 지식으로 연계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을 통한 체계적인 환경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광합성 실험에서 나타난 초등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와 실험 수행 능력 분석 (The Analysi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nd Experiment Performance Ability on Photosynthesis Experiment)

  • 김동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4호
    • /
    • pp.502-518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수록된 광합성 실험을 초등 예비교사들이 직접 수행하고 그 실험결과와 자신의 반성을 담은 탐구과정상의 어려움과 해결책을 탐구보고서에 작성하도록 하였다. 10개조의 탐구보고서와 발표자료를 바탕으로 초등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와 실험 수행 능력을 분석하였다. 반성적 사고에 대해서는 10편의 탐구보고서에서 '지식', '과정', '지향', '태도' 4가지 유형과 관련된 총 108개의 진술 문장을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광합성 실험을 통해 획득한 '지식'에 대한 반성적인 사고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았다. 지식유형에서도 실험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것이나 기존의 개념이해가 변화한 내용에 대한 반성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실험 수행 능력은 10개조 중 반성적 사고 4가지 유형을 합산하여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한 개 조와 가장 낮은 빈도를 보인 한 개 조의 탐구보고서를 '실험준비 및 안전사고 예방', '실험 수행', '실험결과 정리 및 일반화', '실험결과 보완 및 피드백' 4단계에 따라 분석하여 56개의 문장을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결과 보완 및 피드백' 단계에서 두 조 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최하위 조의 경우 '실험결과 정리 및 일반화' 단계의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대체 시약 및 재료 탐색', '대체 실험법 고안' 능력과 관련된 내용은 탐구보고서에서 찾을 수가 없었다.

교사가 수업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 초등 수학 수업지도안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What Teachers Consider Important in Lesson Design: Focusing on the Analysis of a Lesson Plan of Elementary Mathematics)

  • 선우진;방정숙;박예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15-36
    • /
    • 2021
  • 수학 수업을 잘 설계하는 능력은 좋은 수학 수업을 구현할 수 있는 토대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직교사들이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직교사 27명을 대상으로 수학 수업을 설계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자유기술식으로 응답하게 했고, 현직교사들에게 예비교사가 작성한 수학 수업지도안을 제공한 후 그 수업지도안의 장점과 개선사항을 분석하게 하였다. 교사들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현직교사들은 자신이 평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를 중심으로 예비교사가 작성한 수학 수업지도안을 분석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수업지도안의 장점을 분석하거나 개선사항에 대한 피드백 의견을 제안할 때 수학 수업의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들이 더욱 구체적으로 드러났으며, 특히 수업 전략 및 자료의 측면을 자세하게 고려하는 경향을 보였다. 현직교사의 수학 수업 설계에 대한 주요 결과를 토대로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초등 예비교사들이 '배추흰나비 한살이' 탐구 수행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A Study on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arrying out a Research on 'the Life Cycle of a Common Cabbage Butterfly')

  • 김동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2호
    • /
    • pp.306-321
    • /
    • 2014
  • This study aims to analyze difficulties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 in investigating the life cycle of a common cabbage butterfly in person. As difficulties they face during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they pointed out collecting eggs, observing molting, creating environments for a breeding cage, feeding, building a breeding cage, and making butterfly specimens. Out of all the environmental difficulties related to their school fields, they pointed out a difficulty of time management most of all, followed by placing a breeding cage in the classroom and the lack of microscopes for observation. In regard to difficulties related to their evaluations on students' activities, they found it difficult to evaluate students' activity with the life cycle of an insect in the aspect of knowledge and even to set evaluation criteria. Besides, many of them responded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evaluate a research on the life cycle of an insect through a portfolio or an observation journal. In regard to difficulties in terms of teachers' knowledge, they fou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insect molting, metamorphoses, complete metamorphoses, incomplete metamorphoses, the structure of an insect body, and how to distinguish a female insect from a male one. In regard to the application of class models, they knew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have various experiences through direct observation, so the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was proper for the process of observing the life cycle of a common cabbage butterfly. However, they found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observe each stage of the life cycle in person.

과학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가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 중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eflective Thinking on Verbal Interaction of the Pre-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 신애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4호
    • /
    • pp.428-439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반성적 사고가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2명이 예비교사가 선정되었고, 각 예비교사마다 3차시의 과학 수업을 하였으며, 연구자가 매 차시 과학 수업을 녹화 녹음하였다. 녹음된 자료 중 1차시와 3차시의 자료만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전사하였다. 예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와 특징을 분석한 결과, 수업이 진행될수록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호작용 빈도의 증가는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관점과 수업 준비도에 따라 다른 패턴을 보였다. 또한 예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질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수업이 진행될수록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거나 열린 사고를 유발하는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학생들에게 닫힌 사고를 유발하는 낮은 수준의 상호작용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변화 역시 예비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과학 수업에서 반성적 사고를 통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에 효과는 있었으나, 예비교사 개인의 특성 특히, 과학 수업에 대한 관점과 준비도에 따라 효과의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 PDF

양초 연소 탐구 과제 상황에서 초등 예비교사가 생성한 관찰 및 가설의 오류 특성 - 학습자의 선행 지식의 활용을 중심으로 - (The Features of the Observation and the Hypothetical Faults Generat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Candlelight Inquiry Tasks - Focusing on Usage of the Participants' Prior Knowledge -)

  • 오창호;양일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2호
    • /
    • pp.93-10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rior knowledge and processes of observations and hypotheses generation via analysis of descriptive fault patterns during observation, problem generation and hypotheses generation process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rty-four undergraduate students were participated and descriptions of participants' responds were analyzed. As the result, four patterns of descriptive fault on the process of generating hypothesis were classified; 1) descriptive fault from the causalities, 2) descriptive fault from repetition of observational facts, 3) descriptive fault from the priority of prior knowledge, and 4) descriptive fault from negation of the observational facts. From the result, the researcher was able to explore the faults caused by pre-service elementary students' prior knowledge through the observational descriptive analysis with hypothetical descriptive ana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