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검색결과 459건 처리시간 0.026초

학교 급별에 적합한 지구의 공전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Research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in Experiments of Earth's Revolution by School Level)

  • 한제준;채동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97-304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의 공전 실험에 대해 알아보고,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지구의 공전 실험이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자는 지구의 공전을 학습할 수 있는 8가지의 실험 방법을 조사 또는 개발하였다. 초등 예비교사 26명에게 이 실험을 실시하고 토의하도록 한 후,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지구의 공전 실험을 선택하고 이유를 쓰도록 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계절별 별자리가 달라지는 실험, 중·고등학교에서는 계절별 별의 스펙트럼을 비교하는 실험, 대학교에서 외행성의 역행운동이 효과적이라고 선택하였다. 예비교사는 직접 체험의 가능 여부, 교과 내용과 연계되는 정도, 배경지식과 고차원적인 사고의 정도를 실험 선택의 이유로 제시하였다.

영재교육 담당교원 직무연수 대상자들의 관심도 분석 및 교사연수 후 변화 (An analysis of Concerns of the Teachers Responsible for Gifted Education and Differences by stage after the OJT (On-the-Job))

  • 왕유진;박선화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917-934
    • /
    • 2014
  • 이 연구는 관심중심수용모형(Concern-Based Adoption Model)을 통해서 영재교육 담당교원 직무연수 연수대상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단계별 관심도와 연수 후 관심도 변화 수준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B광역시 영재교육진흥원에서 주관한 2014학년도 초 중등 영재교육 담당교원 직무연수에 참여하였던 연수 교원 162명 중에서 설문에 성실하게 응답해준 102명을 대상으로 교사들의 변인별(성별, 학교 급별, 과목별)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연수 전과 후의 관심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영재교육 담당교원 기초과정 직무연수는 영재교사를 양성하고 영재교육에 대한 저변확대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연수이며, 연수대상 교사들에게 영재교육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 시켜주고 관심도에 대한 필요를 충족시켜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실습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Teaching Practices up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 강훈식;김은경;최숙영;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61-274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이 국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1개 교육대학 3학년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전과 후에 DASTT-C를 실시했다. 또한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도 실시했으며, 이 학생들 중 일부 학생들이 실습 기간 동안 실시했던 수업도 관찰했다. 연구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는 교육실습 전에는 '학생 중심' 이미지에 근접했으나, 실습 후에는 '교사 중심' 이미지에 근접하게 변했다. 그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학생들은 교육실습 전에는 초 중등 교육과정이나 교육대학에서의 교수-학습 경험을 제시했다. 그러나 실습 후에는 실습에서의 교수-학습 경험을 제시했으며, 이는 크게 3가지 유형, 즉 실제 수업 경험의 영향, 동료 예비교사의 영향, 지도교사의 영향으로 세분화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초등 예비교원을 위한 교양수준의 정보교육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Informatics Curriculum(Plan) for General Education Level in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 안영희;김자미;우호성;양혜지;김민정;정다윤;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1-30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원들이 정보교육에서 갖추어야하는 교양 수준의 정보교육과정(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 고등교육과정 표준인 CS2013을 비교 분석하여 내용과 수준을 마련하였다. 둘째, 고등교육과정 표준인 J07-GE 분석과 중등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과목을 구성하였다. 셋째, 과목과 영역, 내용 체계구성 등을 고려하여 전문가 검토를 통해 과목명을 정하였다. 전문가의 의견 분석 결과, 정보 사회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컴퓨터과학의 관점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컴퓨터과학 I, 컴퓨팅시스템의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하는 영역으로 컴퓨터과학 II, 데이터 관리를 포함한 패턴이나 관계를 파악하는 데이터관리 및 분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교원의 기본 역량 강화를 바탕으로 하는 문제해결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고등학교 정보과목에 대한 계속성과 계열성을 고려하여, 교양수준의 과목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DACUM 기법을 활용한 유치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분석 (Job Analysi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Using DACUM Technique)

  • 김경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05-316
    • /
    • 2022
  • 본 연구는 DACUM 기법을 사용하여 유치원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의 직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특수학급 교육경력이 풍부한 6명의 유아특수교사로 DACUM 위원회를 구성하고 총 6회기의 DACUM 워크샵을 거쳐 직무정의, 직무기술서, 직무명세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유치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명세서는 9개의 책무와 53개의 과업으로 구성되었고 직무 기술서는 80개의 지식, 98개의 기술, 22개의 태도로 구성되었다. 유치원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는 가정연계지도, 건강과 안전관리, 초등학교 전이지도, 놀이주제에 따른 환경구성, 실내외 놀이 활동지도가 초·중등 특수교사와 차별화된 과업이었다. 지식의 경우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행동수정에 대한 지식이 우선순위를 차지하였고, 기술은 관찰과 기록, 부모면담 및 부모교육기술이, 태도는 전문가와 행정가로서의 태도가 우선순위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직무분석의 결과는 대학에서 직무역량이 높은 유아특수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초·중등 기업가정신 교육 현황과 교육요구도 분석: 초·중등 교사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 Focused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 백민정;강경균;이범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64-574
    • /
    • 2017
  • 최근 세계적으로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주요 이슈로 기업가정신과 창업 활성화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창업에 대한 긍정적인 사회분위기를 조성하고 기회를 지속적으로 탐색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가정신 발현을 통한 양질의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시기부터 체계적인 교육을 편성 운영하여 학생들의 기업가정신을 함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현재 초 중등학교에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 교사들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에 대한 필요수준이 매우 높았다. 둘째,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에 대한 필요 수준에 비해 현재 진로 교사들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에 대한 수준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에 대한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을 비교하여 Borich의 교육 요구도 산출 결과,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의 함양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구성원의 인식에 대한 요구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을 위한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에 대하여 교사 전문성, 교육 환경, 교육 지원, 구성원들의 인식 등 기업가정신 교육 전반에 걸쳐 교육 여건이 미흡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회 및 학교 구성원들의 연수 및 홍보를 활성화 하고, 연수를 통해 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함양하여야 한다. 또한 청소년들이 진로를 스스로 혁신하여 개척할 수 있도록 정부 기관에서 협력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 져야 한다.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조사와 양성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vision of Teacher Education System and Survey of the Teaching Competency of Teacher Librarian)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1-72
    • /
    • 2008
  • 본 연구는 사서교사의 수업 전문성 즉, 교수역량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여 사서교사 양성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의 선행연구 $\ulcorner$사서교사의 교수역량 구성 모형에 관한 연구(2007)$\lrcorner$에서 제시한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모형을 바탕으로 52문항의 설문지를 작성하여, 120명의 현직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교수역량을 측정,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서교사 양성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중·고등학교 기술교사의 공학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Analysis of Middle and High School Technology Teachers' Recognition and Educational Needs about Engineering Education)

  • 김영민;김기수;김현정;김진연;이영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13-2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iddle and high school technology teachers' recognition and educational need about engineering education. For this, we surveyed secondary school technology teache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most technology teachers perceive that engineering contents are lack in technology education, therefore they recognize the needs of reinforcement of engineering contents. Second, most technology teachers perceive that present technology subject does not give positive affect to students for their own career selection on engineering field. Furthermore, they perceive that if it contained the contents of engineering in technology education, students would experience creative desig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Third, most technology teachers perceive that they are able to teach engineering in technology education and they need the change of national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engineering program contents. Fourth, they perceive that the 7~9 grade is the best grade to start to study engineer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Fifth, they perceive that 'design', 'problem solving' and 'creative thinking' are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of teaching ability and knowledge about engineering. Sixth, they perceive that the aerospace engineering, the electrical engineering, the electronic engineering, the mechanical engineering, the computer engineering and the environmental engineering are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of teaching knowledge about engineering fields.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의 체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of Environmental Education major in the Granduate School of Education)

  • 강환국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8권1호
    • /
    • pp.122-137
    • /
    • 1995
  • The Environmental Education(E.E.) is very important fiel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nd the first important problem of E.E. in school is no special teacher.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ystem of E.E. major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 The aims of E.E. major are training of E.E. teacher and developing research of E.E. 2. The curriculum of E.E. major is consisted of E.E. theory and E.E. content. 3. The student of E.E. major is admited a university graduate of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department. 4. The professor of E.E. major is organized a specialist of E.E.

  • PDF

학교 쓰레기 처리현황과 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립 초.중등학교를 대상으로 - (A Study of School Waste Disposal Status and Its Reforms (Public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Seoul))

  • 노성빈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3권1호
    • /
    • pp.130-140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trends of waste products in schools, its gathering and disposal, identification of problems and to analyze its disposal. Moreover, this study was aimed at basic suggestions about the establishment and plans of waste environmental education. 98 public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were surveyed in Seoul during the month of March and April, 1991.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each educational association by random sampling. Questionaries were used for this survey. To understand the disposal status of school waste and its reforms, this study surveyed the amount of waste by products, their origin and analyzed the disposal by type, one number of schools and teachers involved. The dump sited and disposal methods of school waste, its problems, and the status of school waste educations were researched, and ideal disposal methods and plans for waste education were sugges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chool's trash was produced by followings: paper, vinyle plastics, food, woods, metals, ceramics, glass, bottles, and ash from the heating system. The biggest cause of the school's waste as shown by the survey was a lack of environmental awareness(39.8%). The second biggest was the use of a one time use of disposable paper products(27.6%). 2. Waste collection by different grade levels were proven to be important but as you move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the waste collecting operation decreased, in this connection between the students and waste collection itself it was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were not working as significant variables. 3. Of the school that collected waste 69.5 percent of the schools separately grouped common waste and recyclable waste. 25 schools(42.4%) received improvement on their environmental awareness of trash collection through this method. 4. From the number of disposal sites in surveyed schools, it was determined that the education of the necessity for separation of waste was performed in vain and accordingly the should require a real education in the future. 5. Regarding the method of disposal of waste the survey indicated that the #1 method of disposal was partial burning and the remains carried to a dump site by others(35,7%). In elementary schools the entire waste was taken by individuals to a dump site (33.3%). In high schools partial burning and then transported by individuals #1 in our survey(50%). 6. Relative to the problem of the treatment to waste, the emission of smoke from the burning was considered to be the #1 priority in our survey (62.3%) the problem of trash collection being delayed was 52.1%(1in our survey). 7. The present sit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of waste us lacking. Under present circumstances, the practice of public announcements for improvement and waste-paper collection has been going on vigorously but lacking in education as to the preparation of compositions for students the themes of public exhibitions, the organizing of voluntary associations should be part of the education system to reinforce student's awareness of proper waste disposal. 8. The most economical alternative for disposal was recycling usable waste or combustible material through a variety of education we can therefore educate students bring this education to their homes public servants will also be able to benefit in the waste disposal process with proper education. In conclusion we should intensify the systemical organization and the education of our waste disposal for a better environ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