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chromic devic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6초

전기변색 외피시스템 적용 업무공간의 채광 성능 분석 (Daylighting Performance of Office Space Applied with Electrochromic Façade System)

  • 김재향;한승훈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1호
    • /
    • pp.131-140
    • /
    • 2022
  • 스마트 윈도우는 건물의 에너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신소재 건축 자재이며, 상황에 따라 가시광선 투과율(Visible Light Transmittance), 일사획득계수(Solar Heat Gain Coefficient, g-value)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Electrochromic(EC), Suspended Particle Device(SPD),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PDLC) 등이 스마트 윈도우에 해당되며 현재 실용화 단계에 있다. 최근 스마트 윈도우의 VLT 및 g-value 조절 기능을 통해 건축물의 에너지를 절감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고 있다. 하지만, 건축물의 에너지 절감에 대해서 연구의 영역이 제한되어 있고, 실내 환경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에너지 절감에만 초점을 맞춘 실내 공간은 충분한 쾌적성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실내 환경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사무공간을 기준으로 채광성능(Daylight Performance) 분석이 수행되었다. 세계 각 국의 친환경 건축인증제도인 LEED, BREEAM, CASBEE, G-SEED의 기준을 통해 스마트 윈도우의 VLT 조절에 따른 채광성능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쾌적한 실내 채광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의 VLT 범위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졌다. 분석을 위해 사용된 스마트 윈도우는 VLT 조절 범위가 가장 넓은 EC가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한국의 친환경 건축인증제도인 G-SEED의 평균주광률을 충족하기 위한 스마트 윈도우의 최소 VLT는 25%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 윈도우의 VLT 조절은 균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EED의 실내 최소조도의 기준을 적용할 시 적용되어야 하는 계절 및 향에 대한 스마트 윈도우의 VLT 조절 범위 값이 도출되었다.

Flexible 기판 위의 전고상 전기변색 소자 제작 (All-solid-state electrochromic devices on flexible substrate)

  • 나윤채;심희상;조인화;성영은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강연 및 논문개요집
    • /
    • pp.129-129
    • /
    • 2003
  • 전기변색(electrochromism)은 전기화학적 산화, 환원 과정을 통해 가역적인 광학특성의 변화를 갖는 현상을 말하며, 이를 이용한 전기변색소자(electrochromic device)는 전력 소모가 적고 변색효율이 크다는 장점으로 인해 smart window, display, mirror 등에 응용될 수 있다. 전기변색소자는 구조상 투명 기판, 투명 전도체, 환원 착색 물질 (cathodic coloration material), 산화 착색 물질(anodic coloration material), 그리고 투명 이온 전도체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투명 기판으로는 열적 안정성이 좋은 유리기판을 사용하여 window에 응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다양한 형태를 갖는 소자를 제작하기에는 그 한계가 있다.

  • PDF

스마트 윈도우용 리들 전도성 전해질 개발 (Development of Lithium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for Smart Windows)

  • 박태성;백희원;진교원;김영호;조봉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2-265
    • /
    • 1997
  • Various polymeric electrolytes were prepared from PEG, PEO and PMMA with LiClO$_4$ to develop lithium conductive electrolytes for smart windows. The complementary electrochromic devices were fabricated with these electrolytes involving cathodically coloring WO$_3$ and anodically coloring V$_2$O$\sub$5/ thin films. The performance of electrochromic device with PMMA/LiCLO$_4$ electrolyte was found to be excellent

  • PDF

Fabrication of Electrochromic Devices Using Double Layer Conducting Polymers for Infrared Transmittance Control

  • Kim, Jin Kyu;Koh, Jong Kwan;Kim, Bumsoo;Jeon, Seokwoo;Ahn, Joonmo;Kim, Jong Hak
    • Rapid Communication in Photoscience
    • /
    • 제3권2호
    • /
    • pp.32-34
    • /
    • 2014
  • We report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electrochromic devices for modulating the transmittance contrast of long wavelength infrared light between 1.5 and 5.0 ${\mu}m$ based on a double layer of conducting polymers. The device, fabricated with poly(3-hexylthiophene) (P3HT) and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as the first and second layers, respectively, showed an transmittance contrast of 60% with a response rate under 5 s, which is greater than the transmittance contrast of cells based on only P3HT or PEDOT (approximately 40%).

전기화학 기반의 전기 변색 센서 연구 동향 (Recent Advances in Electrochromic Sensors)

  • 서민지
    • 전기화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25-133
    • /
    • 2022
  • 현장 진단 검사가 가능한 센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이동성과 편리성이 개선된 센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센서들 중에서도, 전기 변색 물질을 도입하여 분석 물질의 존재 유무 및 농도를 색 변화를 통해 나타낼 수 있는 전기 변색 센서들은 기존의 전기화학 센서 및 비색 센서의 강점들을 합친 형태의 센서로 각광받고 있다. 전기 변색 센서들은 기존 센서들에 비해 소형화 및 단순화하기 용이하며, 결과 해석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넓은 범위의 분석 물질들에 대해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전기 변색 센서를 유연한 기판 위에 형성하거나, 센서 자체에서 자가 발전이 가능하도록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어 분석 물질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웨어러블 센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리뷰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전기 변색 센서들을 주요 전략 및 특징에 따라 나누어 그 원리 및 응용을 소개하였다.

바이올로진 기반의 일체형 유연 전기변색소자 (Viologen Based All-in-one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s)

  • 박보성;김현정;신현호;박성민;이재운;전성건;나윤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32-138
    • /
    • 2021
  • Electrochromic devices (ECDs) have been drawing great attention due to their high color contrast, low power consumption, and memory effect, and can be used in smart windows, automatic dimming mirrors, and information display devices. As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such as LEDs (light emitting diodes), solar cells, and transistors, the mechanical flexibility of ECD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report on flexible ECDs (f-ECDs) fabricated using an all-in-one EC gel, which is a mixture of electrolyte and EC material. The f-ECDs are compared with rigid ECDs (r-ECDs) on ITO glass substrate in terms of color contrast, coloration efficiency, and switching speed. It is confirmed that the f-ECDs embedding all-in-one gel show strong blue absorption and have competitive EC performance. Repetitive bending tests show a degradation of electrochromic performance, which must be improved using an optimized device fabrication process.

0.5 mm 이내의 두께를 갖는 4층 구조의 스마트 윈도우에 적용되는 전기변색 ECD(electro-chromic device) 필름 제조 및 특성 (Characteristics of an electrochromic ECD (electro-chromic device) film in applications for smart windows with a 4-layer structure, a thickness of 0.5 mm)

  • 김남일;김극태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6-21
    • /
    • 2024
  • 전기변색(electrochromic devices, ECD)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전압 인가에 의해 착색된 상태에서 투명한 상태로 색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필름 형태의 스마트 윈도우를 제조하였다. 기존 유리 대신 투명 PET 필름을 기재로 사용하였고 ITO/Ag/ITO 전극층, WO3/TIC2 유기변색층, Nafion 전해질층을 차례로 도입한 이후 합지 공정을 통하여 총 두께가 50 ㎛ 정도인 다층 박막 ECD 모듈을 제조하였다. 길이가 80 mm 이상인 대면적의 ECD 모듈을 제조하기 위하여 스퍼터링, 바코팅, 열압축 공정을 최적화하였다. 보통 상태에서 54 % 수준의 투과율을 보였으나 DC 3.5 V의 전압을 인가했을 때 24 %까지 떨어졌으며 색 변화는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역적인 색 변화에 의해 외부 태양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냉난방에 필요한 에너지 저감 측면에서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