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gg surface

Search Result 211, Processing Time 0.02 seconds

포유류 수정과정에서 정자 첨체기질의 기능 (Role of Acrosomal Matrix in Mammalin Fertilization)

  • Kim, Kye-Seong;George L. Gerton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세미나 및 워크숍
    • /
    • pp.4-16
    • /
    • 2001
  • Sperm competent for fertilization can become capacitated, bind to the zona pellucida (ZP)of an egg in a specific manner, and complete acrosomal exocytosis. Failure to carry out these functions results in infertility. Although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ZP and the plasma membrane overlying the sperm acrosome have been considered important for sperm-egg recognition and signalling recent results have prompted a reassessment of current paradigms concerning these interactions. In this review, we're going to discuss about the roles of the acrosomal matrix, the particulate component of the acrosomal contents, in fertilization. The general hypothesis is that acrosomal exocytosis leads to the exposure of acrosomal matrix proteins that become de facto extracellula matrix(ECM) on the surface of the sperm head, and that the dynamic interactions of this newly-exposed sperm ECM with the egg ECM (the ZP) govern sperm-egg recognition and sperm penetration of the ZP. Informations from these experiments may provide new ways to address the poor ZP binding of sperm from some human infertility patients and may offer new avenues for contraception through the disruption of purposeful sperm-ZP binding.

  • PDF

EGG SHELL PARAMETERS IN PHILIPPINE NATIVE CHICKENS AND THEIR UPGRADES

  • Rasali, D.P.;Shrestha, N.P.;Mudgal, V.D.;Serrano, J.V. Jr.;dp Palad, M.;Lambio, A.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6권1호
    • /
    • pp.1-4
    • /
    • 1993
  • Least square means for egg weight (EW), average shell thickness (ST), shape index (SI), shell surface area (SA) and shell breaking strength (BS) were determined in the Philippine native (PN) and F2 upgrades with New Hampshire (NH-N) and White Leghorn (WL-N) blood, respectively. Eggs of PN were smaller in size but had higher SI while their egg shells were thinner and weaker than those of the two upgrades. Highest EW, SA and BS means were observed in WL-N. Significant (p<0.01) positive correlations of EW and SI with SA and BS were noted.

위전도신호의 측정 및 분석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etection and Analysis System for Electrogastrographic Signal)

  • 한완택;김인영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1-268
    • /
    • 1998
  • 위전도는 피부전극을 이용하여 위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측정하여 위운동상태를 측정하는 비관혈적인 검사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으로 유용한 위전도신호 측정 및 분석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개발시스템은 크게 하드웨어(생체증폭기, 필터)와 소프트웨어(유저인터페이스, 분석알고리듬, 환자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다. 개발시스템의 생체신호증폭기는 신호분석에 용이하도록 3채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호의 저장 및 분석은 PC에서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수축 정보의 획득을 위해서 분석신호는 16Hz로 샘플링하였으며, 위전도신호분석은 임상이용에 유용한 여러 가지 분석 파라메터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동물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현재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이 진행중이다.

  • PDF

기계 시각과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파란의 판별 (Detection of Surface Cracks in Eggshell by Machine Vision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 이수환;조한근;최완규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5권5호
    • /
    • pp.409-414
    • /
    • 2000
  • A machine vision system was built to obtain single stationary image from an egg. This system includes a CCD camera, an image processing board and a lighting system. A computer program was written to acquire, enhance and get histogram from an image. To minimize the evaluation time,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with the histogram of the image was used for eggshell evaluation. Various artificial neural networks with different parameters were trained and tested. The best network(64-50-1 and 128-10-1) showed an accuracy of 87.5% in evaluating eggshell. The comparison test for the elapsed processing time per an egg spent by this method(image processing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by the processing time per an egg spent by this method(image processing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by the previous method(image processing only) revealed that it was reduced to about a half(5.5s from 10.6s) in case of cracked eggs and was reduced to about one-fifth(5.5s from 21.1s) in case of normal eggs. This indicates that a fast eggshell evaluation system can be developed by using machine vision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 PDF

고려홍어 Hongeo koreana의 난각(연골어강: 홍어목: 홍어과) (Egg Capsule of Hongeo koreana (Chondrichthyes: Rajiformes: Rajidae))

  • 정충훈;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83-286
    • /
    • 2009
  • 고려홍어의 모식산지인 한반도 남서해안에서 포획한 암컷개체의 자궁에서 직접 적출한 난각 2개를 새롭게 기재하였다. 본종의 난각은 다른 종과 비교하여 보통 크기이고, 뿔(horn)을 포함한 전장은 124.5~133.7 mm, 뿔을 제외한 주부(main portion)의 체장은 102.8~109.4 mm, 최대폭은 41.0~42.2 mm이다. 측면에서 볼 때 배쪽으로 불룩한 비대칭이고, 표면은 비교적 부드러운 편이지만 세로로 미세한 고랑(longitudinal striations)은 뚜렷하고, 매우 발달한 섬유다발(견상사(絹狀絲) silky fibers)로 덥혀 있다. 앞뒤의 apron은 뚜렷하며, 네 뿔은 짧고 튜브모양이고 그 횡단면은 타원형이고, 앞쪽 뿔은 안쪽으로 심하게 구부러져 있으며, 호흡공(respiratory fissure)은 네 뿔의 끝부분에 위치한다. 신선한 상태에서 밝은 갈색이다.

경골어류 시클리드과 Cichlasoma managuensis의 수정란 난막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Fertilized Egg Envelope in Cichlasoma managuensis, Cichlidae, Teleost)

  • 김동희;장병수;등영건;김석;주경복;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1호
    • /
    • pp.9-15
    • /
    • 2009
  • 경골어류 시클리드과에 속하는 Cichlasoma managuense의 수정란 난막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약황색의 불투명한 부착성 및 침란성란으로 장타원형이었으며 크기는 장축 $1.43{\pm}0.04\;mm$, 단축 $1.85{\pm}0.03\;mm$였다. 수정란의 동물극쪽에서 수정을 위한 정자의 통로로 생각되는 난문이 위치하고 있었고 위란강은 잘 발달되어 있지 않았다. 수정란 난막의 표면에는 부착성 망상구조물들이 덮고 있었고 난문의 형태는 깔때기 형태였다. 수정란 난막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2층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외층은 부착성 층, 내층은 전자밀도가 서로 다른 $13{\sim}15$층의 층상구조를 하고 있었다. 수정란의 외형은 전형적인 시클리드과에 속하는 다른 어류와 동일한 형태를 하고 있어 과의 특성을 보이며 이들 수정란 난막에서 표면과 단면의 미세구조는 Cichlasoma managuense만이 가지고 있는 종특이성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경골어류의 종을 분류하는데 형태학적 형질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body weight at photostimulation on productive performance and welfare aspects of commercial layers

  • Fazal Raziq;Jibran Hussain;Sohail Ahmad;Muhammad Asif Hussain;Muhammad Tahir Khan;Assad Ullah;Muhammad Qumar;Fazal Wadood;Gull-e-Faran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3호
    • /
    • pp.500-508
    • /
    • 2024
  • Objective: Due to current selection practices for increased egg production and peak persistency, the production profile, age at maturity, and body weight criteria for commercial layers are constantly changing. Body weight and age at the time of photostimulation will thus always be the factors that need to be adequately addressed among various production systems. The curr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ullets' body weight (low, medium, and heavy) on their performance, welfare, physiological response, and hormonal profile. Methods: With regard to live weight, 150 16-week-old pulle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using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RD) and held until the 50th week.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evaluate the data under the CRD, and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 was used to distinguish between treatment means. Results: In comparison to the medium and light birds, the heavy birds had higher body weight at maturity, an earlier age at maturity, and higher egg weight, eggshell weight, eggshell thickness, egg yolk index, breaking strength, egg surface area, egg shape index, egg volume, and hormonal profile except corticosterone. However, the medium and light birds had lower feed consumption rates per dozen eggs and per kilogram of egg mass than the heavy birds. Light birds showed greater body weight gain, egg production, and egg specific gravity than the other categories. At 20 weeks of age, physiological response, welfare aspects, and catalase were non-significant; however, at 50 weeks of age, all these factors-aside from catalase-were extreme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layers can function at lower body weights during photostimulation; hence, dietary regimens that result in lighter pullets may be preferable. Additionally, the welfare of the birds was not compromised by the lighter weight group.

미꾸리과 어류 2종에 대한 난막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External Egg Envelopes in Two Cobitid Fishes (Cobitidae))

  • 박종영;김익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9-23
    • /
    • 2001
  • 미꾸리과 어류 2종 수수미꾸리 Niwaella multifasciata, 좀수수치 Kichulchoia brevifasciata의 성숙란에 대하여 난막구조를 조사하였다. 성숙란의 난막 (egg envelope)은 부착구조 (adhesive structure)가 부착하는 zona radiata externa와 여러 전자밀도층을 가지는 zona radiata interna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수미꾸리의 zona radiata externa는 짧은 융모형태 (short villus-like protuberance)의 구조를 가지며 길이는 약 1.5~2.5 ${\mu}m$로서 2.0~2.5 ${\mu}m$ 간격으로 배열하고 있었다. 반면에 좀수수치는 물결모양 형태 (wave-like structure)를 가지는데 길이는 약 1.5~2.5 ${\mu}m$ 크기로 서로 2.5~3.3 ${\mu}m$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 PDF

수수미꾸리 Kichulchoia multifasciata의 난자형성과정과 난막의 구조 (Structure of Egg Envelope and Oogenesis of Kichulchoia multifasciata (Pisces, Cobitidae))

  • 김치홍;김재구;박종영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3호
    • /
    • pp.189-196
    • /
    • 2011
  • 미꾸리과 (Cobitidae)에 속하는 한국 고유종인 수수미꾸리 Kichulchoia multifasciata 생식세포들의 형태학적 특징을 연구하기 위해 조직학적 방법으로 난소 내의 난세포 및 난막의 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2010년 11월 수수미꾸리의 난소에는 다양한 발생단계의 생식세포들을 가지고 있었다. 난원세포의 핵은 평균 $42.9{\pm}6.9$ (31.1~50.3) ${\mu}m$이며, 세포 크기는 평균 $103.9{\pm}24.7$ (69.8~130.1) ${\mu}m$로 나타났다. 핵 내 에는 인이 산재하였으며, 전체적으로 hematoxylin에 강하게 염색되었다. 제1난모세포의 핵은 난원세포의 핵보다 커졌으며, 핵 내 의 인들이 핵막 인근으로 이동하여 분포하였고 세포는 평균 $277.5{\pm}60.5$ (216.7~354.9) ${\mu}m$였다. 제1난모세포 성숙 초기에는 세포질에 난황포를 형성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난막의 방사대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성숙단계가 진행될수록 평균 $617.6{\pm}85.1$ (503.4~723.6) ${\mu}m$의 크기에 제2난모세포가 발달하였고 핵막과 인을 제외한 부분이 호염성 염색물질인 eosin에 강하게 염색되었다. 또한 세포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난황포에는 난황구가 축적되기 시작하였으며 일부 난황괴가 형성되고 있었다. 한편 난막에는 미세융모가 관통하는 방사대와 외측의 미세융모가 확 인되었다. 2011년 3월 수수미꾸리의 수정난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난막의 표면에는 2~3 ${\mu}m$의 미세융모가 분포하였으며 외경이 크고 내경이 작아지는 깔대기 모양의 난문이 관찰되었다. 난문 주변의 미세융모는 평균 $5.26{\pm}1.22$ (6.79~3.39) ${\mu}m$로 난막 표면의 미세융모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추와 담배포장에서의 담배나방 알의 공간분포 및 기주식물내 분포 (Intra- and Inter-plant Distribution of Helicoverpa assulta (Lepioprera: Noctuidae) eggs in Red Pepper and Tobacco Fields)

  • 한만위;이준호;손준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11
    • /
    • 1994
  • 담배나방의 알의 고추화 담배에서의 포장내 공간분포와 식물내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식물체 1주를 표본단위로 할 때 고추포장에서의 알의 공간분포는 집중분포 유형 (a=1.3915,b=1.1648)을 보였으나 담배포장에서는 균일분포 유형(a=1.6.35, b=0.6880)을 보였다. 알의 고추 부위별 빈도는 잎(76.2%), 과실(16.8%), 줄기(6.5%), 꽃(0.45)의 순서로 대부분 잎에 위치를 하였다. 잎에서는 70.1%가 잎의 앞면, 25.2%가 잎의 뒷면에 위치하였다. 담배의 경우도 대부분 잎에 위치하였으나, 잎 앞면과 잎 뒷면이 각각 33.7%와 66.3%로 잎뒷면에 더 많이 위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