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hatching rate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 of Nutritional Requirements and Feeding Regimes at First Feeding on the Survival of the Larval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Cabrera Tomas;Hur Sung Bum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8권4호
    • /
    • pp.228-234
    • /
    • 2005
  • Despite the relatively high production of fingerlings of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ts larval rearing in terms of first feeding has not been fully analyzed. We evaluated the variations of amino acids and fatty acids of starved larvae over 96 hr after hatching. We also investigated depletion of the yolk and oil globule of starved larvae and those fed the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In addition, the optimum size of the rotifers according to the mouth size of the larvae, and the point of no return with delay of the first feeding, were also examined. The amino acids in the egg decreased abruptly during embryo development. At 48 to 72 hr after hatching, the amino acids of starved larvae decreased by $30-40\%$ from the level in newly hatched larvae. The concentrations of fatty acids in newly hatched larvae were lower than those of floating eggs and dropped sharply at 48 hr after hatching, when the yolk disappeared. The starved larvae depleted their yolksacs and oil globules earlier than the fed larvae did. At 84 hr after hatching, rotifers were detec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guts of the larvae, which were about 3 mm in total length. The point of no return appeared to be close to the fourth day from the first feeding. For a high survival rate of P. olivaceus larvae, the first feeding should occur before the third day after hatching.

주머니 깍지벌레의 발생소장, 기주선호성 및 부화습성 (Seasonal Occurrence, Host Preference and Hatching Behavior of Eriococcus lagerstroemiae)

  • 박종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3-89
    • /
    • 1993
  • 감나무와 가로수 및 정원수로 식재되어 있는 배롱나무에 극심한 피해를 주고 있는 주머니 깍지벌레의 발생상태에 관하여 연구한 결과 주머니깍지벌레는 연2회 발생하며 1세대 성충은 4월 하순~5월 하순까지로 발생최성기는 5월 상순이었고, 2세대는 8월 하순부터 10월 상순까지로 최성기는 8월 상순이었다. 월동충태 구성은 난이 57.1%, 유충이 42.9%로 주로 난과 유충으로 월동하였다. 기주식물은 배롱나무 등 7과 7종이 조사되었으며 그중 배롱나무와 감나무를 선호하였다. 각 층태별 크기는 난의 길이가 0.29/0.16mm, 1령 유충은 체장/폭이 0.41/0.16mm, 2령 유충 0.96/0.45mm, 자성충 1.87/1.38 mm, 웅성충 0.93/0.47 mm이었으며, 산란수는 평균 221.9개이었다. 온도에 따른 난기간은 $30^{\circ}C$이하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짧아졌으나 $35^{\circ}C$에서는 $30^{\circ}C$의 6.8일에 비해 12.0일로 길어졌고 부화율은 $30^{\circ}C$이하에서 90% 정도로 높았으나 $35^{\circ}C$에서는 56.5%로 낮아졌다. 광주기에 따른 난기간은 광기간이 길수록 짧아지는 경향이었으며 부화율은 평균 98%이상으로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Influence of Chilling Duration on Oxygen Consumption and Hatchability in Egg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 Yoon, Hyung-Joo;Kim, Sam-Eun;Kim, Jong-Gill;Park, Ji-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8권1호
    • /
    • pp.73-76
    • /
    • 2004
  • The rate of oxygen consumption of the silkworm eggs was measured to set up the barometer for measuring the effect of egg chilling on diapause termination. In diapause eggs, $O_2$ uptake showed a maximum of 79.2 ${mu}ell$/mg eggs/hr, at one day after oviposition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to 2.2${mu}ell$/mg eggs/hr at 9days. The rates of oxygen uptake of eggs raised immediately after HCl-treatment and reached to a maximal level of 484.5 ${mu}ell$/mg eggs/hr in 9-day-old eggs, which corresponds to 220 fold that of diapause eggs, and the hatching ability was also over 50%. In order to break diapause, eggs incubated at $25^{\circ}C$ for 30 days after oviposition had to be kept at least for 45 days at 5$^{\circ}C$, but chilled eggs for 90 days or longer hatched at 10 days as normal hatching periods. We also investigate periods which the value of $O_2$ uptake of eggs chilled during 15 to 120 days at 5$^{\circ}C$ reached at 200 ${mu}ell$/mg eggs/hr. As a result of that, $O_2$ uptake of eggs chilled during 15 to 45days were not reached at 200 ${mu}ell$/mg eggs/hr and longer the chilling durations are, the higher the rate of $O_2$ uptake is and the longer the chilling durations are, the shorter the periods up to hatching is. And also, hatch-ability increased rapidly as $O_2$ uptake reaches over 20/eggs/hr.

육용종계의 산란능력과 수정율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g Production and Fertility in Broiler Breeder)

  • 오봉국;강민수;최연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
    • /
    • 1985
  • 육용종계의 수정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산란능력과 수정율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GPS 5계통을 가지고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30주령에서 60주령까지의 평균산란율은 60.5-65.2%를 나타냈고 평균수정율과 평균란중은 각각 82.7-87.9%, 61.79-64.79$\ell$을 나타냈으며 산란율과 수정율은 일정한 주령에서 최대점을 나타내고 이후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 PDF

대왕범바리(Epinephelus fuscoguttatus ♀ × E. lanceolatus ♂) 수정란의 장거리 수송을 위한 염분, 수온 및 발생단계에 따른 생존율 및 부화율 (Effects of Salinity, Water Temperature and Development Stage on the Hatching Rate and Survival of Fertilized Eggs in Hybrid Grouper (Epinephelus fuscoguttatus ♀ × E. lanceolatus ♂) for Long-distance Transport)

  • 김강래;문신주;박종연;;박중열;김근식;한상봉;방인철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0권3호
    • /
    • pp.161-167
    • /
    • 2018
  • We examined the effect of salinity and water temperature on hatching and survival rates of fertilized eggs of hybrid grouper (Epinephelus fuscoguttatus ♀ ${\times}$ E. lanceolatus ♂)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determining optimal conditions for their long-distance transportation. Deformities and hatching rates of fertilized grouper eggs were observed at salinities of 24, 27, 30, 33, 36, and 39 psu. The optimal salinity was determined to be 36 psu, with a survival rate of $70.0{\pm}2.0%$. Transportation experiments at 36 psu were conducted at water temperatures of 21, 24, 27, and $30^{\circ}C$,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such as morula, 5-myomere, and tail beating for hatching and survival rates. The optimal water temperature and developmental stage for transporatation were $30^{\circ}C$ and tail beating stage and those hatching rates were $50.6{\pm}1.9%$ and $86.3{\pm}1.3%$, respectively. At $21^{\circ}C$, the survival rate by transportation water temperature was highest ($73.1{\pm}10.6%$), but the hatching rate ($17.1{\pm}3.1%$) was lowest. Therefore, the hybrid grouper fertilized eggs (E. fuscoguttatus ♀ ${\times}$ E. lanceolatus ♂) can be most efficiently produced under long-distance transportation conditions during the tail beating stage and at a water temperature of $30^{\circ}C$.

해삼, Stichopus japonicus 유생의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먹이 및 수용밀도의 영향 (Influence of Food and Density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 이채성;박영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9-45
    • /
    • 1999
  • 해삼의 인공종묘생산 기술개발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산란유발, 유생발달 과정, 유생 사육시 먹이와수용밀도에 관한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란유발은 수온자극에서 6.0~17.5%의 반응이 있었으며, 간출자극에서는 1.4~4.0%로 낮은 반응률을 보였다. 산란량은 50~500만개였고, 수정률은 84.0~96.0%였으며, 부화율은 71.4~84.6%로 나타났다. 해삼의 수정난은 $154{\mu}m$이며, 난발생은 수온 $23^{circ)C$에서 수정후 2시간 10분만에 4세포기, 3시간 40분이 지나면 16세포기로 되며, 14시간 30분 후에는 포배기로 되면서 부화하였다. 그 이후 3일째에는 auricularia 유생으로 되었고, 11일째에는 doliolaria 유생, 15일째에 pentactula 유생으로 변태하였다. 유생의 먹이로는 Chaetoceros calcitrans와 Pav-lova lutheri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중 Chaetoceros calcitrans는 변태가 빠르고 생존율도 높아 해삼 유생의 먹이로 가장 좋았으며, 유생 사육을 위한 최적 밀도는 2개체/ml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육환경에 따른 붉바리 Epinephelus akaara 수정란의 난질 및 아미노산 조성 (Egg Quality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Fertilized Eggs of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 박종연;조재권;한경호;홍창기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9-144
    • /
    • 2022
  • 본 연구는 붉바리 어미의 사육환경에 따른 난질의 변화를 난의 생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난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육상수조에서 사육하는 것보다 해상가두리에서 사육할 때 부상률, 수정률, 난 발생 생존율 및 부화율이 우수하였다. 그리고 해상가두리에서 생산한 수정란의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다. 즉, 해상가두리에서 사육관리할 때 난질이 우수한 수정란을 생산할 수 있고, 난질이 우수할수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다.

북한강 지류 상천천에 서식하는 대륙종개 Barbatula nuda (Pisces: Nemacheilidae)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Siberian Stone Loach, Barbatula nuda (Pisces: Nemacheilidae) in the Sangcheoncheon Stream, a Tributary of Bukhangang River, Korea)

  • 곽영호;송미영;송하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5-33
    • /
    • 2022
  • 대륙종개의 난발생 및 초기생활사 연구를 위해 2020년 4월 26일 북한강 지류인 상천천에서 대륙종개를 채집하였다. 성숙한 암컷과 수컷의 복강에 HCG 10 IU/g를 주사하였고 15시간 후에 건식법으로 인공수정하였다. 대륙종개 암컷 전장 70.64~79.24 mm (n=3)의 포란수는 1,308±293개였고, 성숙란은 황회색의 침성점착란이었다. 수정란의 난경은 1.13±0.01 mm (n=10)였고 수정 후 104시간 만에 부화하였다. 난발생 시 수온 15℃ 그룹의 부화율은 평균 80.1±1.2%로 나타났고, 수온 20℃ 그룹은 61.5±6.8%로 나타나 발생 수온은 15℃에서 적합하였다 (p<0.05).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 3.12±0.06 mm (n=10)였으며 몸은 투명하였다. 부화 후 4일에는 전장 4.89±0.09 mm (n=10)로 입과 항문이 열리면서 먹이활동을 시작하였고 난황이 모두 흡수되면서 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14일에는 전장 8.66±0.14 mm (n=10)로 척색말단이 위로 휘어지기 시작해 중기자어기로 이행하였고 부화 후 21일에는 전장 10.98±0.40 mm (n=10)로 척색말단이 45°로 완전히 휘어졌다. 부화 후 26일에는 전장 13.47±0.37 mm (n=10)로 모든 지느러미 기조가 정수가 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섬진강에서 채집한 황어(Tribolodon hakonensis)의 난 발생 및 초기생활사 연구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the Anadromous Fish Tribolodon hakonensis in the Seomjin River, Korea)

  • 최성국;이완옥;홍양기;송미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62-272
    • /
    • 2021
  • 섬진강에서 채집한 황어 Tribolodon hakonensis의 난 발생과 초기생활사를 연구하였다. 건식법으로 수정한 수정란은 평균 2.89 mm (2.79~2.96)이고, 난황이 황색이며, 약한 점착성을 가지는 구형의 침성란이었다. 부화 50%를 기준으로 수온 20℃에서 63시간에 부화가 완성되었으며, 자어의 크기는 6.92 mm (6.09~7.60)이었다. 부화 8일 후 전장 13.75±0.67 mm (n=10)로 성장하고,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고 입과 항문이 열린 후기 자어기에 도달하였다. 부화 40일 후에는 전장 26.99±1.82 mm (n=10)로 성장하였고, 모든 지느러미는 분리되고, 기조수가 완성되어 치어기에 도달하였다. 부화 137일 후에는 72.63±10.7 mm (n=10)로 성장하였으며, 체형, 색 그리고 행동이 성어와 유사하였다. 황어속 어류들의 종 및 집단 간 알의 크기, 부화 직후 자어의 크기가 초기성장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수온에 따른 수정란의 부화 시간과 자어의 성장속도에 차이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