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breaking rat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1초

Evaluating the Effects of Salicornia Extract 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Profile of Laying Hens

  • Mohammadi, Mohsen;Li, Hanlin;Kim, In Ho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1-196
    • /
    • 2015
  • 함초추출물을 산란계에 급여하여 난생산성, 난품질 및 혈액의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총 216수의 40주령 하이라인 브라운 산란계를 10주간 공시하였다. 함초추출물의 급여수준은 0(대조구), 1cc/L(T1) 및 5cc/L(T2)로 음수로 급여하였으며, 공시계는 처리구당 3반복, 반복당 24수씩 배치하였다. 사양시험의 결과, 함초추출물은 산란계의 난생산성, 난품질 및 혈액의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시험 마지막 주의 산란율과 난각 두께를 개선시켰고, 파란율은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산란계에 있어서 방란시간이 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viposition Time on Egg Qualities in Laying Hen)

  • 이춘지;정선부;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3-123
    • /
    • 1987
  • 본 연구는 백색레그흔 산란계에 있어서 초산후 일령의 1일중 방란시간의 경과가 란중, 란각질, 란형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6년 9월 1일부터 1987년 1월 6일까지 약 4개월간에 걸쳐 산란계 150수를 가지고 시험을 실시한 결과, 초산후 일령이 경과함에 따라 방란비율이 오전중에는 감소했고 오후에는 증가했다. 란중은 270일령까지는 증가속도가 빨랐으나 그 이후에는 둔화되었다. 란각두께는 일령이 경과함에 따라 얇아졌고 란각강도도 일령이 경과됨에 따라 저하되었으며 란형계수는 커졌다. 1일중 방란시간이 늦어짐에 따라 란중은 점차 가벼워졌으며 발란시간에 대한 란중의 회귀계수는 -0.6788--0.4170로 방란시간이 1시간 늦어짐에 따라 란중은 0.4170-0.6788g이 가벼워졌다. 란각두께는 방란시간이 1시간 늦어짐에 따라 0.00377-0.00643mm씩 두꺼워졌으며 란각강도는 방란시간이 1시간 늦어짐에 따라 0.0287-0.0349kg/$\textrm{cm}^2$씩 향상되었다. 그러나 란형계수는 방란시간과 서로 상호관계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산란계에 대한 펠렛사료의 급여효과 (Effects of Pelleting Layer Diets on Laying Hen Performance)

  • 이규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9-44
    • /
    • 1997
  •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elleting layer diets on the laying perforrnance and nutrients utilizability, using either 50-wk-old(Experiment 1) or 80-wk-old (Experiment 2) layers. There was no effect of pelleting layer diets on hen-day egg production and average egg weight but decreased (P<0.05) feed conversion ratio(intake /egg weight) in both experiments. Although both egg specific gravity and eggshell thickness were not influenced by pelleting eggshell breaking strength was improved(P<0.05) only in Experiment 1. Utilizability of dietary fat was improved(P<0.05) by pelleting layer diets with no difference in other nutrients utilizabilit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assage rate of mash and pelleted layer diets.

  • PDF

맥섬석과 한방제재 첨가급여가 재래닭 교잡종의 계란생산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Macsumsuk and Herb Resources on Egg Performance and Quality in Korean Native Crssbred Chicken)

  • 김병기;황은경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2호
    • /
    • pp.125-131
    • /
    • 2012
  • 본 시험은 산란계에 대한 맥섬석과 한방제재의 첨가급여가 계란의 생산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산란초기에 있는 재래닭교잡종(재래닭${\times}$레드브로교잡종) 360수를 공시하여 4처리로 임의 배치하였다(각 처리구당 30수${\times}$3반복), 대조구(무첨가), 시험 1구(맥섬석 0.3% 첨가), 시험 2구(한방제재 0.3% 첨가), 시험 3구(맥섬석 0.3%+한방제재 0.3%)로 나누어 8주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료섭취량과 난중 및 평균 산란율은 처리구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P>0.05), 그러나 파란율은 대조구(3.41%)가 시험구보다 크게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시험 3구가 가장 낮은 파란율을 나타내었다(P<0.05). 전란 중에서 조지방의 경우는 대조구(11.20%)가 시험구(9.67 - 10.01%) 보다 크게 높게 나타났다(P<0.05). 계란품질에서 호우유니트 계수, 난황색, 난각 두께 및 난각 강도는 시험구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그러나 난각 강도는 시험구(36.98 - 37.52)가 대조구(35.56)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난황 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시험 3구(14.91 mg/g)가 다른 처리구보다 크게 낮았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포화지방산 함량은 대조구가 시험구보다 더 높았으나, 불포화 지방산은 시험구(66.82 - 67.00%)가 대조구(64.58%)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맥섬석과 한방제재 혼합첨가제는 난황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고, 계란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산란계 사료내 Conjugated Linoleic Acid(CLA)와 불포화지방산 함유 Oil의 첨가가 산란율과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Oil Containing Unsaturated Fatty Acid Supplementation on Egg Production Rate and Quality in Laying Hens)

  • 김효진;유종상;신승오;조진호;진영걸;황염;김영준;황광연;양무성;김도중;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1-136
    • /
    • 2008
  • 본 시험은 산란계 사료내 conjugated linoleic acid(CLA)와 불포화지방산 함유 oil의 첨가가 산란율과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동물은 36주령 ISA Brown 갈색계 288수를 공시하였으며, 사양 시험은 5주간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1) BO(basal diet + 1% soybean oil + 1% oat), 2) BS(basal diet + 1% safflower oil + 1% oat), 3) BF (basal diet + 1% free fatty acid + 1% oat), 4) CD(basal diet + 1% CLA containing diglyceride + 1% oat), 5) CT(basal diet + 1% CLA containing triglyceride + 1% oat), 6) CP(basal diet + 1% CLA by-product + 1% soybean oil)로 6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8반복, 반복당 6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산란율에 있어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난각 강도에 있어서는 3주째에 CP 처리구가 BS, BF, CD, CT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4주째에는 BO와 CP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난각 두께에서는 3주와 4주째 모두에서 CP 처리구가 BS, BF, CD, CT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난중에 있어서는 3주와 4주째 모두에서 CP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시험 4주째의 난황고에 있어서는 BF와 CT 처리구가 BO, CD, CP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BO와 CD 처리구는 CP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또한, 4주째의 난황색에 있어서는 CP 처리구가 BO와 BS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호우 유닛(Haugh unit)에 있어서는 3주와 4주째 모두에서 BO와 CP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본 시험 결과 산란계 사료내 CLA와 불포화지방산 함유 oil을 첨가.급여하면 산란율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계란 품질에 있어서는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지렁이 분변토 발효사료가 고품질 계란생산 및 악취 저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earthworm cast feed on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eggs and odor reduction)

  • 신종서;양부근;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77-586
    • /
    • 2017
  • 본 연구의 목표는 분변토로부터 분리한 Bacillus subtilis외 2종의 복합 생균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사료가 산란계 생산성, 계란품질 및 양계장 악취저감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산란계 240마리를 4개의 처리구로 구분하여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실험 처리구는 대조구, 분변토발효사료 0.3, 0.5% (FECF3, FECF5), 일반생균제 0.2% (CP)로 구분하였다. 산란율은 일반사료를 섭취한 대조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는 유의하게 높았으나 CP 처리구는 차이가 없었다. 호우유닛, 난각두께, 파란강도, 난황색 지수 및 농후난백 높이는 대조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증가하였으나 CP 처리구와 차이는 없었다. 계란의 n-3 함량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높았으나 n-6/n-3 비율은 낮았으며 CP 처리구와의 차이는 없었다. 계분을 실온에서 5일간 방치 후 암모니아 발생량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CP와 FECF 처리구가 낮았다.

Effects of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on Production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 Cheon, Y.J.;Lee, H.L.;Shin, M.H.;Jang, A.;Lee, S.K.;Lee, J.H.;Lee, B.D.;Son, C.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9호
    • /
    • pp.1318-1323
    • /
    • 2008
  •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DDGS) is a completely new feed ingredient in the Korean feed market. There is an ever increasing need for the Korean feed industry to import and make the best of it as a high protein and high energy feed ingredient. A layer feeding trial was conducted for 10 week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 of light-colored DDGS to layer diets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ies and yolk fatty acid composition. Also, the economics of using DDGS in the Korean situation was analyzed. Nine hundred Hy-line Brown layers, 24 weeks of age, were employed in a feeding trial consisting of four dietary treatments (0, 10, 15, and 20% DDGS), and five replicates per treatment. All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as iso-protein (17%) and iso-calorie (TMEn 2,780 kcal/kg). The use of DDGS up to 20% in layer diets did not exert any influence on feed intake, laying rate, total egg mass, mean egg weight and feed conversion ratio (p>0.05). The color and breaking strength of eggshell, as well as the albumin height and Haugh unit were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DDGS up to 20% in the diet. The yolk colo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DDGS supplementation (p<0.05). As the DDGS level increased, the oleic acid content decreased, and the linoleic acid increased (p<0.05) in egg yolk. The degree of saturation of yolk fatty acids was not affected by DDGS supplementation. The inclusion of light-colored DDGS up to 20% in layer diets resulted in a decrease of feed cost per kg without any undesirable effect on laying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light-colored DDGS (L* 56.65) could be used up to 20% in layer diets without any harmful effect on laying performance, and possibly provide economic benefits to the Korean poultry industry.

사료의 급여시간 및 급여회수가 육용종계의 산란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Time and Frequency on the Performances of Broiler Breeder Hens)

  • 이규호;이상진;이종선;정선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3-79
    • /
    • 1988
  • 본 시험은 육용종계의 사료급여시간 및 급여누수가 산란율. 난중 사료요구율, 1일 중 산란분포와 종란의 수정율 및 부화율과 난각질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마니커 육용종계 1,248수를 공시하여, 사료의 급여시간 (08:00시와 14:00시)과 급여구수(1일 1회, 1일 2회, 2일 1회)의 효과를 36주간 비교시험 하였는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육용종계의 산란율과 사료요구율은 사료의 급여시간이나 급여회수에 영향을 받지 않았고, 난중은 42주령이전에는 사료를 오후에 급여함으로서 증가하였으나 (p<0.01) 42주령 이후에는 사료급여시간이나 급여회수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2. 1일 중 산란분포는 격일급여구 (시험2)를 제외하고 오후사료급여구는 오전사료급여구에 비해 오전 산란수는 적고 오후산난수는 많은 경향이었다 (p<0.01). 3 36주령과 60주령에 각각 조사한 종란의 수정률과 부화율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고, 종란의 난각질은 36주령시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60주령시에는 사료를 오후에 급여함으로서 난각강도가 증가하였다. (p<0.05).

  • PDF

산란사료 내 석회석에 대한 고막조개 패분의 부분 대체 급여가 산란후기의 난 생산성 및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Granular Ark Shell Partially Replacing Limestone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shell Quality in Aged Hens)

  • 박태순;유선종;김성권;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7-185
    • /
    • 2004
  • 본 실험은 산란계의 칼슘 공급원으로서 국내산 고막조개패분(GAS)을 석회석과 대체하여 산란후기의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부존 원료의 사료 자원화 가능성을 시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54주령 Hy-Line Brown Variety 산란계 암탉 200수를 공시하였고, Ca 3.6% 수준의 실험사료(Control)에 유사한 입자도의 GAS를 1%, 2% 및 3% 수준으로 석회석과 대체하여 첨가한 실험사료(GAS 1%, GAS 2% 및 GAS 3%)를 6주간 급여하였다. In vitro 용해도는 석회석에 비해 GAS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사료섭취량 및 난 생산성에서는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는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GAS의 대체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주별 난각 강도 및 난각 두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전체 실험기간의 평균 난각 강도 및 두께의 결과에서는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P < 0.05). 경골 파쇄 강도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경골 내 회분 함량은 GAS 3%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혈청 내 Ca 및 P의 농도는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산란사료내 석회석을 국내산 고막조개 패분으로 대체 급여를 통해 산란후기 난각질의 긍정적인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산란계 사료에서 Ca 공급원으로서 부존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옥수수주정박의 급여가 산란계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on Production Performance in Laying Hens)

  • 천영주;이학림;신명호;이수기;이봉덕;손찬구
    • 농업과학연구
    • /
    • 제34권1호
    • /
    • pp.53-60
    • /
    • 2007
  • 본 시험은 품질이 양호한 미국산 DDGS를 산란계 사료에 급여시 산란성적, 계란의 품질 및 난황지질의 총지방 함량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양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4주령의 Hyline Brown 계통의 산란계 900수에게 DDGS를 각각 0%, 10%, 15%, 20%를 첨가한 4가지의 동에너지 (TMEn 2,780 kcal/kg)-동단백질(17%) 사료를 10주간 급이하였다. 실험설계는 4처리 5반복의 완전임의 배치법을 사용하였다. 사료섭취량, 산란율, 총난중 및 사료요구율 등의 산란 생산성은 모든 처리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DDGS 첨가는 계란의 난각중, 난각강도, 난각색, 난백고 및 Haugh units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그러나 난황색도의 경우 DDGS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DDGS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난황색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linear, P<0.05). 한편, 난황지질의 총지방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DDGS가 증가함에 따라 난황 oleic acid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linear, P<0.05), linoleic acid는 증가하였다(linear, P<0.05). DDGS 첨가는 난황지방산의 불포화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산란계사료에서 DDGS를 15~20%까지 옥수수-대두박을 대체하여 사용할 경우 제반 산란성적에 아무런 영향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