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and meat production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5초

Restriction of Metabolizable Energy in Broiler Growers and Its Impact on Grower and Breeder Performance

  • Sunder, G. Skyam;Kumar, Ch. Vijaya;Panda, A.K.;Raju, M.V.L.N.;Rao, S.V. Rama;Gopinath, N.C.S.;Reddy, M.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8호
    • /
    • pp.1258-1265
    • /
    • 2007
  • Metabolizable energy (ME) required for basal metabolism, activity and growth was considered as the criterion for targeting specific increases in body weight (100 g/week) of broiler chicks during the grower phase (5-20 weeks) and its impact was evaluated on breeder performance. Broiler female chicks (460) from a synthetic dam line were randomly distributed to 4 test groups with 23 replicates of 5 birds each and housed in cages. The first group (ME-100) was offered a calculated amount of ME by providing a measured quantity of grower diet (160 g protein and 2,600 kcal ME/kg) which increased with age and weight gain (133-294 kcal/bird/day). The other three groups were offered 10 or 20% less ME (ME-90 and ME-80, respectively) and 10% excess ME (ME-110) over the control group (ME-100). From 21 weeks of age, a single breeder diet (170 g protein and 2,600 kcal ME/kg) was uniformly fed to all groups and the impact of grower ME restriction on breeder performance evaluated up to 58 weeks. The targeted body weight gain of 1,600 g in a 16-week period was achieved by pullets of the ME-100 group almost one week earlier by gaining 8.7 g more weight per week. However, pullets in the ME-90 group gained 1,571 g during the same period, which was closer to the targeted weight. At 20 weeks of age, the conversion efficiency of feed (5.21-5.37), ME (13.9-14.1 kcal/g weight gain) and protein (0.847-0.871 g/g weight gain), eviscerated meat yield, giblet and tibia weights were not influenced by ME restriction, but the weights of abdominal fat and liver were higher with increased ME intake. Reduction of ME by 10% in the grower period significantly delayed sexual maturity (169.3 d), but increased egg production (152.5 /bird) with better persistency. Improved conversion efficiency of feed, ME and protein per g egg content were also observed in this group up to 56 weeks. The fertility and hatchability at 58 weeks of age were higher in the ME-90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and 10% excess ME feeding.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argeted weight gain in broiler growers by feeding measured quantities of ME during the rearing period with consequential benefits in breeder performance.

한국 재래닭의 부화 후 성장단계별 넙다리뼈와 정강뼈 성장에 관한 연구 (The growth stage study on the femur and tibia of Korean native chicken after hatching)

  • 태현진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81-188
    • /
    • 2015
  • Skeletal development of chicken has been widely discussed in industrial forums and various research reports. However, these studies were emphasis on the commercial chicken strains for improve egg and meat production whereas the skeletal quiet remains as a potential weak link related to facilitating in the physical support of heavier carcasses at ever younger ages. For that, the study of standardization of skeletal development is important but it was rarely reported in Korean native chicken (KNC). The study was investigated the skeletal characteristics of KNC for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We studied in KNC at 2, 14, 28, 42, 56, 70, 84, 98, 112, 126, 147, 168, 196, 224, 336 and 448 days after hatch (male and female, n=13 for each group). We measured the body weight (BW), and after sacrifice measured organs and remove muscle from femur & tibia and measured bone weight. Data were analyzed by ANOVA, 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f SAS 9.1. We analyzed the data of BW, femur & tibia and made growth curve also. The BW was significantly increased up to 147 days after hatch (male, $1,927.88{\pm}68.92g$; female, $1,456.00{\pm}50.11g$), and then increased gradually. At 336 days, these growth was stop (male, $2,467.00{\pm}42.84g$; female, $1,568.71{\pm}62.62g$). The growth of femur & tibia length and width was stop on 98~126 days after hatch. At 98 days, we measured the length and width of femur & tibia in male were $132.39{\pm}3.18mm$ & $25.98{\pm}0.59mm$ whereas in female at 112 days the length of femur & tibia was $116.40{\pm}1.55mm$ and at 126 days width was $21.41{\pm}0.38mm$. Our study suggests that the growth of male KNC was classified pre-puberty (0~98 days), puberty (98~336 days) and maturity (after 336 days), meanwhile female was shown similar trend however puberty period of KNC was 112 or 126 days after hatch.

사료 및 보조사료로서의 생균제 급여에 따른 돈사 환경개선과 돼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 and Probiotic Feeding on the Improvement of Hoggery Environment and the Productivity of Swine)

  • 이은영;임정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00-209
    • /
    • 2011
  • 동물은 고기, 우유, 및 달걀과 같은 중요한 산물을 생산한다. 현대사회의 도시화과정 및 고도 성장은 보다 많은 동물성 산물을 요구하고 작은 농장에서 밀집화된 사육이 이루어지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가축 분뇨생산량이 증가되었으며, 그에 따른 악취문제도 필연적인 결과로 나타났다. 분뇨로 인한 악취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축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환경개선을 이루는 큰 장애가 될 것이다. 축산환경으로 생산되는 악취는 휘발성지방산, 암모니아와 휘발성아민, 인돌과 페놀, 그리고 황화합물 네 종류로 분류된다. 질소성분의 절반이상은 뇨로 배설되기 때문에 동물을 사육하는 과정에서 저단백 사료와 합성아미노산을 급여시키고, 소화효소나 미생물제제 혹은 생균제를 사료에 첨가시켜줄 경우 질소원의 배출량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 될 것이다. 따라서, 축산환경의 개선과 축산분야의 생산성을 향상시켜주기 위하여 사료 및 보조사료를 급여하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Influence of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 on Broilers and Laying Hens

  • Ao, X.;Zhou, T.X.;Kim, H.J.;Hong, S.M.;Kim, I.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7호
    • /
    • pp.993-1000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 (FRGE) as feed additive in broilers and laying hens. In broilers, 480 Arbor Acre male broilers were randomly allotted to 4 treatments with 6 replications per treatment and 20 chicks per pen. The experiment lasted 5 weeks and dietary treatments were as follows: i) CON, basal diet; ii) FRGE1, basal diet+1 g/kg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 iii) FRGE2, basal diet+2 g/kg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 and iv) FRGE3 basal diet+4 g/kg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 Throughout the experiment, no effects were observed (p>0.05) in performance in response to FRGE.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FRGE administration improved (p<0.05) the lymphocyte level compared with CON. The relative weight of bursa of fabricius and spleen were increased (p<0.05) by the inclusion of FRGE3. Besides, redness ($a^*$) value for the breast meat was higher (p<0.05) in FRGE1 and FRGE3 treatments than that in CON. In laying hens, 240 ISA brown layers at 35 weeks of age were used in this 8-week trial. Dietary treatments were the same as in the broilers trial with 10 replicates per treatment and 6 layers per replicate. During the entire experi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performance or egg quality among all the treatments. However, the layer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FRGE had higher lymphocyte level (p<0.05) compared with those fed CON. In conclusion, the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FRGE did not influence performance but improved the lymphocyte level in both broilers and laying hens.

비타민 C와 비타민나무 부산물 첨가가 산란 성계의 생산성 및 계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Vitamin C and Sea Buckthorn on the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Old Laying Hens)

  • 강환구;김지혁;황보종;김찬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81-189
    • /
    • 2015
  • 본 연구는 100주령 이상의 산란성계 사료 내 비타민 C 및 비타민나무 부산물의 첨가 급여가 생산성, 도체수율, 혈액성상 및 계육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공시 동물은 100주령 Hy-Line Brown 200수를 선별하여 A형 2단 케이지에 대조구 포함 총 5처리구로 구성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2수 수용 케이지 10개) 난괴법으로 임의 배치하였다. 비타민나무 부산물은 강원도 양구 소재 비타민나무 재배지에서 생산, 건조된 비타민나무 잎과 가지를 이용하였으며, 시험에 이용된 사료는 한국가금사양표준(2012) 요구량에 준하여 배합하였다. 처리구로는 비타민 C와 비타민나무 부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Basal)와 Vit. C 0.1% 첨가구, 비타민나무 부산물 0.1% 첨가구, 비타민나무 부산물 0.5% 첨가구 그리고 비타민나무 부산물 1.0% 첨가구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 섭취하게 하였고, 일반적인 점등관리(자연일조 + 조명; 16 hr)를 실시하였다. 산란율 및 도체율은 전 시험기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부분육 비율은 가슴육을 제외한 다른 부위에서 대조구와 비교 시 차이가 없었으나, 가슴육 비율은 비타민나무 부산물 0.5%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하지만 산란성계육의 일반성분, 보수력, 가열감량 및 지방산 함량에 있어서는 비타민 C 및 비타민나무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산란 성계 사료 내 비타민나무 부산물의 첨가는 생산성 및 계육품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부분육 중 가슴육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산란성계육 수출 시 부위별 무게로 가격이 결정됨을 감안할 때 경제적인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산란성계육 수출량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품질 개선을 위한 연구가 미흡한 점을 감안할 때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almonella Enteritidis 분리주에서의 선발된 불활화 백신균주의 방어효과 및 면역원성 (Protective effects and immunogenicity of Salmonella Enteritidis killed vaccine strains selected from virulent Salmonella Enteritidis isolates)

  • 강정무;원호근;김은희;노윤희;최환원;한태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1-28
    • /
    • 2011
  • Salmonella Enteritidis (SE) has been a major causative agent of food-borne human disease due to consumption of contaminated eggs and poultry meat. To prevent SE infection in poultry, and therefore minimize human infections, vaccination with either killed or live SE vaccine is suggested. We evaluated a newly developed killed bacterin using a representative SE isolate in Korea. Among pool of SE isolates, two highly virulent isolates (the one isolate from chicken, the other from human) were selected by measuring mortality in mouse and chickens administered. The chickens were injected intramuscularly with killed vaccine and were challenged with highly virulent SE strain 3 week after vaccination. The recovered colony count (cfu/g) of spleen and cecal content in the vaccinated groups was reduc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unvaccinated control group. The antibody level in the vaccinated groups was higher at 3 week post vaccin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accination with killed vaccine was effective in preventing the infection of virulent SE. Further study for a large number of layers should be needed for the effect of egg production, SE shedding in feces, persistence of antibody level.

동물성 식품에 대한 안전성 확보의 문제점과 대책 (Control of Chemical Residues in Animal Foods - Problems and their Countermesures -)

  • 이문한;신광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39-158
    • /
    • 1990
  • 동물성 식품의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ehdafn성 약물이 사용되고 있고 공업의 발달과 더불어 각종의 공해물질이 수질과 토양을 오염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화학물질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동물성 식품을 오염시키거나 식품에 잔류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농림수산부와 보건 사회부에서는 약제 잔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잔류 허용기준을 따로이 마련하였고 독자적으로 잔류에 대한 조사연구에 착수하였다. 잔류 약제에 대한 규제는 국민건강을 지킨다는 의미에서 착실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나 생산기반이 흔들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점진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고, 국내에서의 동물성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통하여 수출을 확대하고 무분별한 수입을 억제할 수 있도록 이원화되어 있는 업무를 일원화되어야 한다. 검사를 통하여 잔류를 방지하고자 하는 정책 보다는 생산 단계에서 안전휴약기간을 지키도록 적극 교육, 홍보, 지도하여야 한다. 이 심포지엄 연제에서는 미국과 한국 농림수산부에서는 잔류검사기법에 대한 개요와 검사 계획, 국내에서의 잔류물질에 대한 조사연구 개황, 그리고 허용기준 설정방법 등에 대하여 논의한다.

  • PDF

느티만가닥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 급여가 산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ermented spent mushroom (Hypsizygus marmoreus) substrates on laying hens)

  • 김수철;문여황;김혜수;김홍출;김종옥;정종천;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50-356
    • /
    • 2014
  • 느티만가닥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 급여가 산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도준농산에서 수거한 느티만가닥버섯 수확후배지를 Bacillus subtilis EJ3 배양액과 혼합하여 2주 동안 발효시킨 것을 공시사료로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인 12주령된 Hy-line brown 갈색계 24수는 시판사료 급여구인 대조구(T0)와 5(T1), 10(T2), 15%(T3)의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이 첨가된 시판사료 급여구인 시험구로 나누어 12주 동안 공시사료를 급여하였다. 12주동안 평균 산란율은 대조구에 비해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구에서 증가하였다가 버섯수확후배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와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구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간 증가하였다.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5% 버섯수확후 배지 첨가구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10% 버섯수확후배지 첨가구부터는 버섯수확후배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산란량과 산란율은 대조구보다는 5% 버섯수확후배지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12주의 사양시험기간 동안 난중, 난각강도, 난각두께, 난황색 모두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을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계란의 내부 품질을 평가하는 기준인 난황색은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10% 이상의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을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난황색이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계란의 내부 오염 지표인 육반과 혈반에서는 처리구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외부 품질 기준인 난각색도 처리구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계란의 포장과 수송과정에서 계란의 상품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난각중과 난각 두께는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구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의 급여구에서 산란계의 가스발생량은 버섯수확후배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BROILER 육종기술의 전망 (Future Development of Genetics and the Broiler)

  • 오봉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5
    • /
    • 1981
  • 2000년대 Broiler육종기술의 전망은 개량 역사로 보아 비교적 짧은 기간의 예측이라고 할 수 있다. Broiler의 본격적인 육종은 1945년경부터 시작되었는데 지금까지의 개량진도는 놀랄 만큼 향상되었다. 앞으로의 개량방향과 기대효과는 지금까지의 개량진도를 고찰하고 앞으로 개발될 육종기술의 추찰에 따라 추정될 것이다. 1. Broiler육종의 개량진도 (1) 성장률은 매年 4 -5%외 개량효과를 가져왔으며 (2) 사료효율도 매년 약1%의 향상을 가져왔다. (3) 부로일라의 복부지방 축적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으며 (4) 소비성향으로 보아 부분육 해체판매가 유망시되어 살부침이 양호한 닭으로 개량되어야할 것이다. (5) 다수수, 밀사의 환경조건에 알맞는 강건하고 온순한 체질로 개량되어야 하며 이로 인하여 사료효율 향상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6) 모계통 육종에 있어서 산육능력라 기타 경제형질은 대부분 부의 유전상관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7) 모계통의 산묘능력(연산묘수160개)과 부화율은 상당 수준의 개량을 가져왔다. (8) 부계통의 육종은 앞으로 더욱 성장률이 빠르고 산육능력이 높은 대형종으로 개량될 것으로 추측된다. 2. 앞으로 육종개발될 방향과 전망 : 앞으로의 육종기술의 개발은 추측에 지나지 않으나 선진국에서 연구하고 있는 방향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칠면조와 닭과의 교배와 같이 앞으로 종간교배종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엿보이며 (2) 생화학의 발달로 혈액형의 구명이 육종진도를 가속화 할 수 있을 것이다. (3) 방사성 동위원소와 화학물질의 이용으로 돌연변이를 일으켜 지금까지 없던 새로운 인자를 작출할 수 있을 것이며 (4) 나체성, 주익우 흠제인자 등을 이용하여 우모로 전환되는 영양소의 절감으로 사료효율를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5) 사양환경의 개선이 또한 Broiler의 발육속도와 사료효율 등을 개량할 것으로 추측된다.e의 pattern을 paper chromatography로 확인한 바 2개의 효소단백질 Band는 동일한 작용 pattern을 나타내었다. 5. Soluble starch로부터 생성되는 유일한 초기 가수분해산물은 maltohexaose이었다. system 내의 주요 subsystem의 하나로서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그러나 만약 기업의 외부환경에서 초래되는 stress, 즉 주민의 소득저하, 타 recreation 산업이 쇠퇴하게 되면 이 공업 또한 쇠퇴될 것이다. 요컨대 담수 지향성과 관련된 입지상의 특색을 제외하고는 연구지역의 소규모 boat 공업은 타 소규모 공업과 동일한 입지상의 특색을 가지고 있다.및 성안 등이 비교적 낮았고 기타 품종은 중정도였으며, 대체로 단백질함량이 높았던 품종들이 지방함량이 낮은 경향이었다. 7. 단백질과 지방함량기간의 상관은 5월 25일 파종에서 고도의 부의 상관(r=-0.5914)이나 6월10일과 6월 25일 상관에서 각각 r=-0.3038과 -0.2975로 부의 상관경향만을 보여 파종기에 따란 상관의 정도가 약간 달랐다. 8. 10a당 종실수량은 6월10일 파종(100%)에 비해 5월 25일 파종에서 104%로 그 착 적었으나, 6월 25일 파종에서는 76%로 만파에 의한 감수정도가 컸다. 품종별 수량은 5월 25일 파종에서 동산7003, Hill 및 Williams, 6월 10일 파종에서 동산 6001, 동산 7003, Williams 및 Hill 등이 대비품종인 광교에 비해 유의증수하였고, 6월 25일 파종에서는 동산 7003만이 증수하였다. 조생종서천백묘, H-25)은 어느 파종기에서나 가장 낮은 수량이였다. 9. 만파(6월 25일 파종)에 의한 감수정도를 기준하여 내만식성정도를 분류하면 광교, 수원8003, 동산69호, 성안, H-25 및 Harosoy 등은 컸고 수원8006, 수원9003, 서천백묘, 강림, 동산 7003,

  • PDF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Ball 제품의 제조 및 품질 특성 (Processing and Quality Propertie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alls Product)

  • 윤문주;이재동;박시영;권순재;공청식;최종덕;주종찬;김정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11-416
    • /
    • 2015
  •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production has increased gradually in recent years, but prices have fallen. Thus,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processed foods incorporating olive flounder would help to increase the income of fisherm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est method for olive flounder ball processing. Clean olive flounder were divided into five portions. Olive flounder meat (100 g with added egg white 39 g) was chopped and then mixed with 10 mL fresh cream and ingredients. The dough was molded into the shape of a ball. The olive flounder balls were then processed by two different methods. In the first method, the flounder ball was boiled in water for 3 min then vacuum-packed in polyethylene film and stored at $-20^{\circ}C$ for 7 days. After 7 days, the ball was thawed and heated in a microwave for 2 min (Sample-1). In the second method, the ball was vacuum-packed in polyethylene film without boiling and then stored at $-20^{\circ}C$ for 7 days before thawing and boiling in water for 3 min (Sample-2). After heating, both types of olive flounder balls were evaluated.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viable bacterial count, chemical composition, pH, hardness, thiobarbituric acid level, salinity, and free amino acid content) were measured, and a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nsory and hardness evaluations, Sample-1 was deemed to be superior to Sample-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