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elgrass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8초

광양만 잘피밭에서 잘피와 착생해조류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of Eelgrass (Zostera marina) and Epiphytic Algae in Eelgrass Beds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남기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6-62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잘피 및 착생해조류의 계절 변동을 연구하였다. 잘피의 잎 길이는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 100cm 이하의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봄철에 접어들면서 잎 길이가 계속 증가하여 여름철인 6월과 7월에는 조사기간 중 최고치인 200cm에 달하였다. 그러나 가을철에는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잘피의 현존량은 가을과 겨울에 낮았으나, 봄부터 현존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여름철에는 $200g\;DW/m^2$ 정도의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잎 길이의 계절변동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잘피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착생해조류는 봄과 여름철에 Calliophyllis rhynchocarpa, Champia sp. 등이, 가을과 겨울철에 Polysiphonia japonica, Lomentaria hakodatensis 등이 다른 종들에 비하여 우점하였다. 착생해조류의 현존량은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 $30g\;DW/m^2$ 정도의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수온이 증가하는 3월부터 현존량이 감소하여 여름철에는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9월부터는 현존량이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착생해 조류의 현존량은 잘피밭 식물 현존량의 $15\~20\%$를 차지하고 있었다. 잘피의 현존량과 착생해조류의 현존량은 수온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잘피의 현존량은 수온과정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착생해조류의 현존량은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경남 통영의 소규모 잘피밭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 in a Small Scale Eelgrass Bed of Tongyeong, Korea)

  • 김준섭;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1-200
    • /
    • 2012
  • 경남 통영 풍화 잘피밭에서 2010년 11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예인망(surf net)으로 채집하여 어류의 종조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30종, 5,511개체, 6,933.4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베도라치(Pholis nebulosa), 실고기(Syngnathus schlegeli), 그물코쥐치(Rudarius ercodes), 가시망둑(Pseudoblennius cottoides), 볼락(Sebastes inermis), 실비늘치(Aulichthys japonicus)로 총 출현 개체수의 93.4%를 차지하였다. 출현한 대부분의 어류는 크기가 작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잘피의 밀도는 2011년 4월이 가장 높았으며 2011년 1월이 가장 낮았다. 수온과 잘피의 밀도 및 중량, 주 먹이생물의 양적 변동이 어류 군집의 계절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풍화 잘피밭이 많은 어종들에게 좋은 성육장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물코쥐치의 먹이습성의 일별 변화: 낮은 잡식성, 밤은 육식성 (Diel Changes in the Diet of Rudarius ercodes: A Diurnal Omnivore and Nocturnal Carnivore)

  • 곽석남;허성회;최창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8-183
    • /
    • 2006
  • 진동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그물코쥐치의 먹이습성의 일별변화를 조사하였다. 출현한 그물코쥐치는 1.6~4.3 cm SL의 범위였으며,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에 속하는 옆새우류, 잘피, 갯지렁이류, 그리고 미삭동물이었다. 그물코쥐치의 먹이습성의 일별변화는 뚜렷하였다. 낮에는 잘피와 옆새우류를 주로 먹은 잡식성을, 밤에는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그리고 미삭동물을 주로 먹는 육식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낮보다는 밤에 이들 먹이생물의 활동이 활발하여 그물코쥐치가 섭이하기가 용이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그물코쥐치의 섭이활동은 저조보다는 고조에 활발하였다.

Production Ecology of the Seagrass Zostera marina in Jindong Bay, Korea

  • Lee, Kun-Seop;Park, Jung-Im;Chung, Ik-Kyo;Kang, Dong-Woo;Huh, Sung-Hoi
    • ALGAE
    • /
    • 제19권1호
    • /
    • pp.39-47
    • /
    • 2004
  • Production dynamics of eelgrass, Zostera marina was examined in Jindong Bay on the south of the Korea peninsula. Eelgrass leaf productivit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underwater photon flux density, water temperature, and nutrient availabilities in the water column and sediments were monitored from March 2002 to December 2003. While water temperature exhibited a distinct seasonal trend, underwater irradiance and nutrient availabilities exhibited high degree of fluctuation, and did not show a seasonal tren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s. Eelgrass leaf elongation and production rates showed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s. Leaf productivity was highest in May (30.0 mg dry wt sht$^{-1}$ d$^{-1}$ or 3.7g dry wt m$^{-2}$d$^{-1}$) and lowest in November (3.2 mg dry wt sht$^{-1}$ d$^{-1}$ or 0.12 g dry wt m $^{-2}$ d$^{-1}$). Eelgrass leaf productivities did not show a strong correlation with underwater irradiance or environmental nutrient availabilities. The production rates, howev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during spring periods, and were correlated negatively at high water temperature exceeded 20℃ during summer months. While relative growth rates were highest in spring and lowest in high water temperature periods, plastochrone interval was longest during summer and shortest during spring. These results imply that seasonal growth dynamics of eelgrass, Z. marina was mainly controlled by water temperature.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nd Decapods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of Jindong Bay

  • Kwak, Seok-Nam;Park, Joo-Myun;Huh, Sung-Hoi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59-269
    • /
    • 201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o determine seasonal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nd decapod assemblag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ir abundance in an eelgrass bed of Jindong Bay. A total of 26 fish species and 29 decapod species were collected by a small beam trawl from an eelgrass bed in Jindong Bay in 2002. The dominant fish species were Hexagrammos otakii, Pholis neulosa and P. fangi and these accounted for 48.4 % in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Dominant decapod taxa were Palaemon macrodactylus, Charybdis japonica, Pagurus minutus and C. bimaculata. These were primarily small species or early juveniles of larger species.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varied greatly showing a peak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in April and May, and peak biomass in fish in July and decapods in August. Catch rate was low in winter months both in fish and in decapod. Seasonal changes in the abundance of fishes and decapods corresponded with eelgrass biomass and abundance of food organisms indirectly.

광양만 장피밭에 서식하는 농어 ( Lateolabrax Japonicus ) 의 식성 (Feeding Habits of Lateolabrax Japonicus in the Eelgrass ( Zostera Marina )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4권2호
    • /
    • pp.191-199
    • /
    • 1998
  • Feeding habits of Lateolabrax Japonicus collected from the eelgrass bed in Kwangyang Bay from January 1994 to December 1994 were studied. L. Japonicus was a carnivore which consumed mainly amphipods (gammarid amphipods and caprellid amphipods), crabs, caridean shrimps and copepods. Its diets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fishes, mysids, polychaetes, tanaids and isopods. Three distinct ontogenetic feeding groups were noted : (1) 1~2 cm SL individuals preyed heavily on copepods. (2) 2~15 cm SL individuals preyed heavily on amphipods. (3) individuals over 15 cm SL preyed heavily on crabs, caridean shrimps and fishes. L. Japonicus showed seasonal changes in prey composition. These changes were not caused by seasonal changes in food availability, but by changes in the size composition of L. Japonicus occurred in the eelgrass bed.

  • PDF

섬진강 하구의 조간대와 조하대에 자생하는 거머리말(Zostera marina)의 탄소와 질소 성분의 계절변화 (Seasonal Changes in the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of Zostera marina Populations in the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of the Seomjin Estuary, Korea)

  • 김정배;박정임;이원찬;이근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65-75
    • /
    • 2012
  • To study the difference in growth characteristics between intertidal and subtidal eelgrass Zostera marina populations, environmental factors and changes in tissue carbon (C) and nitrogen (N) contents in eelgrass from the lower intertidal and upper subtidal zones were surveyed monthly in the Seomjin Estuary from May 2003 to December 2004. Water temperatures, water column nutrient concentrations, sediment pore water, and ammonium and phosphate concentratio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Sediment pore water nitrate+nitrite concentrations were slightly higher in the intertidal zone than in the subtidal zone. Average monthly exposure times in the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were $42.4{\pm}5.8h\;month^{-1}$ and $15.3{\pm}3.5h\;month^{-1}$, respectively. Eelgrass leaf N content decreased from March to August and increased from September to February in the subtidal zone, whereas these trends were not observed in the intertidal zone. Eelgrass rhizome C content increased from April to September and decreased from October to March in the subtidal zone, whereas those tendencies were not recorded in the intertidal zone. Eelgrass rhizome C:N ratios showed a strong reverse trend to leaf C:N ratios in the subtidal zone, but these tendencies were not observed in the intertidal zone. The effects of exposure appeared to cause no seasonal trend in eelgrass tissue C and N content or C:N ratios in the intertidal zone in the Seomjin Estuary.

Seasonal Dynamics of the Seagrass Zostera marina on the South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 Lee, Kun-Seop;Kang, Chang-Keun;Kim, Young-S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8권2호
    • /
    • pp.68-79
    • /
    • 2003
  • Although seagrasses are relatively abundan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seagrass physiology and ecology in Korea. Zostera marina is the most abundant seagrass specie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all coastal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To examine seasonal dynamics and spatial variations of eelgrass, Zostera marina distributed on the coast of Korea,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iomass, tissue nutrient constituents, leaf productiv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monitored monthly from the eelgrass beds in Kabae Bay and Kosung Bay on the south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June 2001 to June 2002. Eelgrass density, biomas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leaf productivities, and tissue nutrient constituents exhibited clear seasonal variations, and these seasonal trends reflected seasonal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Eelgrass shoot density and biomass at Kabae Bay site showed more obvious seasonal trends than Kosung Bay. No strong seasonality in Kosung Bay site appeared to be caused by high water temperature ($>30{\circ}C$) during summer months at this site. Despite differences in nutrient availabilities between two study sites, eelgrass biomass and leaf produ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tudy sites, and this lack of spatial variations implies that the ambient nutrient availabilities at the present study sites are in excess of seagrass nutrient demand. Eelgrass tissue N content and sediment pore water DIN concentrations exhibited reverse relationship at the present study. This reverse relationship suggests in situ nutrient concentrations are not good indicator of nutrient availabilities, and regeneration and turnover rates of sediment nutrients are also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nutrient availabilities at the site.

남해군 삼동면 연안 어류의 월별 종조성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Fish Species Composition in the Coastal Water of Samdong-myeon, Namhae, Korea)

  • 김준섭;이용득;이승환;박준수;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5-64
    • /
    • 2018
  • 남해 삼동면 연안의 사질과 잘피밭의 어류군집을 비교하기 위해서 2011년 3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소형 beam trawl과 지인망을 이용하여 어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두 곳의 조사지점에서 공통으로 출현한 종은 총 19종이었다. 실고기, 풀해마, 가시망둑, 돌팍망둑, 감성돔, 베도라치, 문절망둑, 줄망둑, 날개망둑, 살망둑, 두줄망둑, 문치가자미, 복섬 등이 공통으로 출현하였고, 이 중 실고기, 풀해마, 가시망둑, 베도라치, 복섬은 잘피밭에서, 돌팍망둑, 감성돔, 문절망둑, 줄망둑, 날개망둑, 살망둑, 두줄망둑, 문치가자미는 사질연안에서 주로 출현하였다. 실비늘치와 해마, 볼락, 농어, 독가시치는 잘피밭에서만 출현하였고, 풀반지, 숭어, 쑤기미, 양태, 쥐노래미, 알롱횟대, 꼼치, 동갈양태, 댕기망둑은 사질에서만 출현하였다. 채집된 어류 대부분은 소형어나 유어로 남해 연안의 잘피밭과 사질연안이 이들 어류의 성육장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출현 종수는 2011년 8~9월에, 개체수는 2011년 8월이 가장 높았다. 생체량은 2011년 4월과 9월에 가장 높았다. 대체적으로 겨울철에는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이 모두 낮았다. 개체수 및 생체량은 사질연안에 비하여 모두 잘피밭에서 높았으며, 사질연안에서는 잘피밭을 선호하는 어류들이 다수 출현하였지만, 잘피밭에서는 사질연안을 선호하는 어종이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진동만 잘피발과 인근 잘피가 없는 해역의 어류군집 비교 (Comparisons of Fish Assemblages Associated with Eelgrass Bed and Adjacent Unvegetad Habitat in Jindong Bay)

  • 곽석남;허성회;최창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9-128
    • /
    • 2006
  • 진동만 다구리 잘피밭과 인근 잘피가 없는 해역의 어류군집을 비교하기 위해서 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소형 빔 트롤을 이용하여 어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우점하였던 쥐노래미, 감성돔, 농어, 베도라치, 흰베도라치, 주둥치, 문절망둑, 그리고 실양태가 우점하였다. 특히 감성돔과 농어는 잘피밭에서 문절망둑과 실양태는 잘피가 없는 해역에서 많이 출현하였다. 청보리멸, 산호해마, 복섬 및 돌팍망둑, 실고기, 흰꼬리볼락 및 볼락 등은 잘피밭에서만, 양태 및 날개망둑 등은 잘피가 없는 해역에서만 출현하였다. 본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어류는 대부분이 소형 어종이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잘피밭이 작은 크기의 어종들에게 좋은 성육장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어류군집은 뚜렷한 계절변동을 보였는데, 출현 종수는 2002년 5월에, 출현 개체수는 2002년 4월에서 7월 사이에 아주 높았다. 한편 생체량은 2002년 4월과 7월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대체적으로 겨울철에는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이 모두 낮았다. 잘피밭과 잘피가 없는 인근해역의 어류 군집을 비교해보면,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이 모두 잘피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잘피밭은 잘피가 밀생되어 있어서 먹이 이용 가능성 및 포식자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서식처의 특성에 의한 것으로 주요 우점종의 체장분포에서도 두 서식처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