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geography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3초

19세기 역서(曆書)편찬 천문관원의 교육과 선발 (EDUCATION AND SELECTION OF ASTRONOMICAL ALMANAC OFFICIALS IN THE 19th CENTURY)

  • 최고은;민병희;이용삼
    • 천문학논총
    • /
    • 제30권3호
    • /
    • pp.789-800
    • /
    • 2015
  •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Gwansanggam (觀象監, The Royal Astronomical Observatory) was the royal administration in charge of Astronomy (天文), Geography (地理), Calendars (曆), Astronomical and meteorological observation (測候), and Timekeeping (刻漏). Of those affairs, the Astronomical Almanac compilation was most important. In this paper, we study the education and selection of astronomical officials in the 19th century during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Astronomical Almanac officials. According to this study, their main area was calendar calculation, and they were involved in Astronomical Almanac compilation for nearly 40 years, until they resigned. In addition, they served as Samryeok-susulgwan (三曆修述官, Official for calendar calculation by the $Sh{\acute{i}}xi{\grave{a}}n$ calendar), and Ilgwa-gamingwan (日課監印官, Official printing supervisor). To undertake these core duties, an official had to pass several examinations and courses. The Gwansanggam (after Gwansangso) carried out the educational function for the officials. In particular, reserved officials of the astronomy division had to be educated starting with a trainee course.

구글맵 기반 안드로이드 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 개발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haring Application of Android based on the Google Map)

  • 김병수;김종훈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53-158
    • /
    • 2011
  • 최근 교육현장에서 학습에 모바일을 사용하고자 하는 아이디어는 모바일의 이동성, 현장성, 휴대성, 시성, 학습정보 접근의 용이성이라는 장점에서부터 시작된다. 특히 안드로이드폰에서 구글맵 API와 GPS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의 정보(지리 및 문화관련 사진과 텍스트 등)를 공유할 수 있는 본 연구의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장점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이며 교실밖에서, 또 정규수업 이후에도 활용할 수 있어서 지속적인 학습 자원의 관리와 자기 주도적 학습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기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비인만의 해안사구를 활용한 경관생태적 현장학습 프로그램 개발 (Research of landscape ecological field-trip learning program development for students at BiIn Bay, Seocheon in South Chung-chong coastal environment)

  • 강대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1-131
    • /
    • 2019
  • The coast of BiIn Bay, Seocheon, is the potential site for the field-trip learning program. This article is written in the viewpoint of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is study, it is tried to describe geomorphological landscapes of BiIn Bay Seocheon-gun relating with it's physiognomy, based on the Dasa-ri and Songrim-ri coastal sanddunes and the like. Although landforms like tidal flats and rock cliff constitute prominent landscape features in this area, other features such as beaches, coastal dunes, and coastal plains have various ramifications for human communities. Tidal flats, beaches and coastal dunes are formed by the combined actions of longshore current, tidal flows, waves and winds. To some extent, the erosion of sandy coast has been a global phenomenon. Anthropogenic impacts are involved in the transformation of landform. Most favorable field-trip course of BiIn Bay is from Songrim-ri through Dasa-ri and Shinhap-ri to Maryang-ri. This program about coastal landforms in BiIn Bay will contribute not only for educational meanings but also for satisfying the student' curiosity and interest. Also, this field-trip learning program will be suitable for over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한국 산맥론(III): 새로운 산맥도의 제안 (Discussions on the Distribution and Genesis of Mountain Ranges in the Korean Peninsular (III): Proposing a New Mountain Range Map)

  • 박수진;손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76-295
    • /
    • 2008
  • 현재 우리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산맥에 관한 논란은 부분적으로는 산맥 표현에 대한 연구자 혹은 교과서 사이의 불일치, 그리고 산맥의 설정 목적과 성인에 대한 지리학계의 불명확한 설명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성인별로 분류된 산맥을 설정 목적, 지도 축척, 그리고 교육 목적에 따라 계층적으로 제시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한반도의 복잡한 산지분포를 설명하는 개념을 산맥(mountain ranges)과 산줄기(mountain ridges)로 구분하여 사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새롭게 제안하는 산맥도에서는 산지의 분포를 결정하는 지반운동과 삭박작용의 공간적인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7개의 1차 산맥과 8개의 2차 산맥 등 모두 15개의 산맥을 제안하였다. 새 산맥도에서는 기존의 산맥 중에서 적유령산맥, 모향산맥, 멸악산맥, 마식령산맥 등이 제외되었다. 제외된 산맥들은 모두 지표삭박작용이 강하게 작용하여 형성된 산지들로 공간적인 분포가 불분명하거나 설정근거가 불명확한 것들이다. 이에 반해 새롭게 추가된 1차 산맥으로는 길주-명천산맥, 양산산맥, 지리산맥이 있으며, 2차 산맥으로는 월출산맥과 북수백산맥이 있다. 기존의 산맥들의 공간적인 범위와 연속성 역시 새롭게 제안된 산맥도에서 많이 변하였다. 특히, 낭림산맥, 함경산맥, 태백산맥, 소백산맥의 경우에는 그 공간적인 범위에서 대폭적인 수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기존의 산맥과 공간적인 범위는 유사하지만 새로운 명칭이 부여된 산맥으로는 백두산맥(마천령산맥), 화악산맥(광주산맥), 치악산맥(차령산맥), 내장산맥(노령산맥)등이 있다.

가치 판단에 기초한 의사결정 모형과 기준.대안의 평가 방법: 대학생의 주택 선택을 사례로 (The Model of Decision Making and the Method of Evaluating Criteria and Alternatives by Value Judgement, In Case of the University Student's Housing Choice)

  • 박규택;이상율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5-15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복잡하고 구조화되어 있지 않은 현실의 문제를 체계적으로 조직 평가하여 최적의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방법으로 가치판단에 기초한 의사결정 모형과 기준과 대안을 평가할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 이것을 대학생의 미래주택 선택에 적용하는 데 있다. 미래주택 선택을 위한 모형을 수립하기 위한 설문시 조사에 따르면 대학생들은 주택 선택의 기준으로 주택 자체의 특성보다 주택과 관련된 지역의 사회 경제 환경 특성을 중요시하고 있다. 일반적 기준의 관점에서 대학생들은 사회 교육, 접근성, 경제, 시설, 자연환경 그리고 주택 특성 순으로 중요도를 평가하고 있으며, 중요도 간의 차이는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적 평가 방법에 의한 대학생들의 주택 선호도는 아파트, 단독주택 그리고 연립주택 순으로 나타났지만 세부기준의 관점에서의 주택 선호도는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것은 세부적 기준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가치판단은 일반적 관점에서보다 복잡하고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계층분석법(AHP)을 이용한 세부 기준들의 중요도 순위는 동일 기준에 대한 직관적 판단의 결과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 기준들에 대한 두 가지 분석 방법의 적용 결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의사결정 모형과 평가 방법에 관한 개념적 틀은 불확실성과 위험이 내포된 다양한 현실 문제에 실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수정 보완을 통해 효용성도 높아질 것이다.

  • PDF

클러스터의 동태적 진화와 대학의 역할 - 케임브리지 클러스터를 사례로 - (The Dynamic Evolution of the Cambridge Cluster and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 이종호;이철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89-502
    • /
    • 2015
  • 실리콘펜 또는 케임브리지 현상으로도 알려져 있는 케임브리지 클러스터는 생명공학 산업 및 정보통신 산업에 특화되어 있는 혁신 클러스터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케임브리지 클러스터의 진화구조를 트리플힐릭스 관점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케임브리지 클러스터는 케임브리지대학을 중심축으로 형성된 자연발생적 클러스터로 간주할 수 있으나, 오늘날 케임브리지가 세계적인 첨단산업 클러스터의 기반을 갖추게 된 밑바탕에는 1960년대 후반에 결성된 산-학-관 협력체인 '케임브리지지역발전위원회'의 활동과 그 결과로 만들어진 모트보고서가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그 후 1970년대부터 본격화된 클러스터의 성장과정에는 케임브리지대학의 칼리지들이 조성하기 시작한 사이언스 파크와 케임브리지대학의 스핀오프(스핀아웃) 활동이 활발하게 나타났다. 클러스터 진화의 역동성을 주도하는 지역 내 스핀오프 활성화의 기저에는 케임브리지 지역에 오랜 세월 누적되어 온 기업가주의 문화와 창업 및 기업 활동을 촉진하는 기업가 네트워크와 사회자본의 영향이 중요하게 작용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대학의 재정 지원을 축소하고 기업가적 대학으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정부의 정책기조가 심화됨에 따라 케임브리지대학의 스핀오프 활동은 크게 위축되었고, 이것이 케임브리지 클러스터의 역동적 진화를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 PDF

중관촌(中關村) 클러스터 연구개발 네트워크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R&D Network in Zhongguancun Cluster)

  • 첨군;이철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50-56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중국 베이징시(북경시(北京市)) 중관촌(中關村) 클러스터를 사례로 첨단산업 연구개발 네트워크의 특성을 기업간, 산 학, 산 연, 산 관에 초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관촌(中關村) 클러스터 기업의 국제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연구개발의 강화가 요구된다. 기업의 연구개발 네트워크 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살펴보면, 조사 대상 기업들은 현재에도 어느 정도는 연구개발 네트워크가 활성화되고 있다. 특히 기업의 협력 대상별 연구개발 네트워크의 내용에 있어서 차이는 있으나, 기업들은 다양한 내용으로 연구개발 네트워크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개발 네트워크가 어느 정도 자리잡은 수준에 이르고 있지만 아직까지 기업들이 연구개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많은 애로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문은 기업들이 연구개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애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TIMSS 2019의 8학년 지구과학 평가틀을 이용한 남한과 북한 지구과학 내용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 and North Korean Earth Science Curriculum using the TIMSS 2019 Eighth Grade Earth Science Evaluation Framework)

  • 박기락;박현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61-27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과 북한 지구과학 내용의 학습 시기와 학습량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설계 및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 시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으로는 남한은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과학 교과서와 고등학교의 통합과학과 지구과학 I·II 교과서이며, 북한은 초급중학교의 자연과학 1·2와 조선지리 2, 고급중학교의 지리 1 교과서이다. TIMSS 2019의 8학년 지구과학 평가틀로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은 반복 학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학습 이해에 효과적인 반복 학습이 적용된 내용은 8학년까지 1개에 그친다. 둘째, 남한은 학습 시기 조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북한과의 내용 시기 차이가 발생하고 TIMSS 기준 50%에 해당하는 내용의 학습 시기가 부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남한과 북한은 학습하지 않은 TIMSS 내용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국제 사회에서 교육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다. 향후 남·북한의 지구과학 내용에 대한 접근 방법 비교 분석과 통합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실질적 연구를 제안하였다.

거제도 해금강 지오투어리즘 정착을 위한 정책적 접근 (Strategical Approaches for Enhancement of Geotourism in the Haegeumgang Geosite in Geoje Island)

  • 박민영;박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5-187
    • /
    • 2012
  • 지오투어리즘은 지오파크 활동의 핵심 영역 중 한 부분으로, 지역경제 발전과 교육적 측면의 조화를 추구할 수 있으며 계절적 제약이 적다는 면에서 장점이 있는 새로운 관광 패러다임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오투어리즘에 관한 학문적 접근과 국내 정착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오투어리즘에 관한 개념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형 지오투어리즘 정립 및 국내 정착 방안 고찰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국내 외 지오투어리즘 관련 논문을 통해 한국형 지오투어리즘 개념을 정립하고, 국내 지오파크 및 지오투어리즘 운영 사례가 부족하여 해외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이를 한국형 지오투어리즘 모델에 반영하였다. 새로운 지오투어리즘 운영 조직 모델을 거제도 해금강에 적용하였다. 따라서 거제도 해금강의 유람선 관광이 바람직한 한국형 지오투어리즘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오투어리즘 운영 조직을 마련하고, 각 분과의 파트너십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 PDF

한국에서의 지오투어리즘(Geotourism) 연구동향과 과제 (Research Trends and Tasks of Geotourism Studies in Korea)

  • 김범훈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76-493
    • /
    • 2013
  • 2000년부터 지금까지 지오투어리즘(Geotourism) 관련 연구 활동은 지형학, 지질학, 관광학 등을 비롯한 제 학문간 각각의 논리적 전개와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져 오고 있다. 2013년 5월 현재 국내 전문 학회지 등을 통해 발표된 지오투오리즘 관련 논문 및 연구보고서 등은 모두 172편이다. 이들 연구는 자원개발(자연자원개발, 인문자원개발, 지오파크 개발), 보존 관리, 교육개발, 지오투어리스트, 주민참여 및 홍보 마케팅, 정책적 접근 등 크게 6개의 주제로 분석하였다.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자원개발을 다룬 논문이다. 이 분야는 가치 있는 지형 및 지질경관자원 개발과 관광자원으로의 활용방안, 문화지형과 연계한 스토리텔링 개발, 지오파크 가입을 위한 콘텐츠 개발 등을 주로 다루고 있다. 전반적으로 볼 때, 지오투어리즘 연구동향은 지형학 등 지리학계의 활동이 지질학계보다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지금까지 이들 주제들 역시 특정분야에 편중되어 왔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들 주제들 간의 연구 비중에 있어 균형을 이루는 노력을 보여야 한다. 그리고 더욱 다양한 새로운 연구 주제 개발도 요구된다. 이와 함께, 지역주민들의 참여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주민-지자체-학계가 공동체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