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for the elderly

검색결과 2,065건 처리시간 0.033초

오팔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fe Style and the Preparation of Old Age in Opal Generation)

  • 임미정;최규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9-65
    • /
    • 2022
  • 최근에 신중년이라 불리는 1955년에서 1974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는 거대 인구 집단을 형성하며 이전의 전통적 노인 세대와는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전체 국가 인구의 33%를 차지하는 이들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신세대 노인인구집단의 등장과 이에 따른 정책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오팔세대라고 불리기도 하는 신중년층은 평균수명의 증가로 늘어난 노년기를 생산적이고 자율적으로 보내고 싶어 하며 노후에 해외여행을 즐기는 등 어느 정도 경제적 능력도 지니고 있지만, 다른 한편 여가·취미활동, 대인관계 등 활동적 노년에 대한 준비가 미흡해서 신세대로서의 신중년층을 위한 정책적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오팔세대의 정의, 그들의 소비생활을 비롯한 태도, 사회활동, 여가활동, 건강에 대한 노력 등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해 알아보고, 오팔세대에 맞는 고용창출, 사회적 재교육, 지역의료시설 구축, 여가문화 생활을 위한 사회적 배려 등 노후준비에 대해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년 여성가구주의 노후준비 경험: 직업이 있는 여성가구주를 중심으로 (Female Middle-Aged Householders' Experiences in Preparation for Old Age: With Focus on Career Female Householders)

  • 이남;한정란
    • 한국노년학
    • /
    • 제37권1호
    • /
    • pp.151-171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변동의 한 실태로 나타나는 다양한 가족형태 중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40세 이상 60세 미만의 직업이 있는 중년 여성가구주를 대상으로 그들의 현재 삶을 생생히 들여다보고 노후를 위한 준비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여성가구주에 대한 삶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여성가구주가 된 배경 및 여성가구주로서 삶에 적응하기까지의 삶의 궤적과 향후 노후준비를 해가는 경험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Colaizzi의 현상학적 질적 분석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9월~12월까지 총 4개월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1회당 1시간~1시간 30분의 개방형 질문을 통한 인터뷰를 총 2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자세한 답변에 대한 불충분한 부분은 전화나 메일을 통해 추가하였다. 본 연구의 본질주제는 <외발로 선 낯선 세상>, <서서히 밀려오는 노후불안>, <힘이 되어주는 울타리>, <한걸음 다가선 자립적 노후준비>, <채우고 싶은 반쪽>, <노후 삶에 대한 소망> 등 6개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년 여성가구주에게 노후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 제공과 노후대비 교육 및 노후 적응프로그램 등 국가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삼킴장애 위험 지역사회 재가노인들의 흡인성 폐렴 예방을 위한 자가간호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elf-Care for Aspiration Pneumonia Prevention Scale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with Risk of Dysphasia)

  • 양은영;이신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474-486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Korean version of the Self-Care for Aspiration Pneumonia Prevention (SCAPP-K) scale in older adults at risk of dysphasia. Methods: The Hertz and Baas model of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was used. In the development stage, items were generated via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medical experts, older adults, and caregivers. Ten experts assessed the items for content validity. Subsequently, 12 older adults participated in a pilot test to determine the comprehensi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SCAPP-K scale. The validation stage involved a cross-sectional survey with 203 older adults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200 older adults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to determin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EFA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ith varimax rotation and CFA were conducted,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s well a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ere determined. Results: As a result of EFA, three self-care factors (knowledge, resources, behaviors) with 21 items were validated. The CFA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indicated the applicability of the three-factor self-care scale. The reliability of the SCAPP-K scale was acceptable, with Cronbach's α=.87~.91. Conclusion: The SCAPP-K scale has acceptable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can contribute to clinical practice, research, and education to improve self-care for the prevention of aspiration pneumonia in older adults at risk of dysphasia.

요양병원 낙상 고위험 노인 환자를 위한 King의 목표달성이론 기반 낙상 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a Fall Prevention Program Based on the King's Goal Attainment Theory for Fall High-Risk Elderly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

  • 박봄미;유호신;권경은;이춘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03-21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develop a fringed fall prevention program based on King's goal attainment theory and education. This study is applied to the personal, interpersonal, and social systems of fall high-risk patients to test its effects. Methods: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There were 52 fall high-risk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5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ix sessions, with the group sessions lasting 60 minutes and the individual sessions lasting 20~30 minut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 ${\chi}^2-test$, a paired sample t-test, and a Wilcoxon signed-ranks test utilizing IBM SPSS software. Results: For the 3-month intervention period, the fall prevention program was found to be particularly effective for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from 3.38 to 1.69 per 1000 patient days; p=.044), as opposed to the control group (from 1.94 to 1.49 per 1000 patient days; p=.300). For the 6-month follow up period, the fall prevention program was again found to be effective for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from 3.26 to 0.76 per 1000 patient days; p=.049)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rom 1.98 to 1.01 per 1000 patient days; p=.368).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ringed fall prevention program is very effective in reducing falls, not only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but also after the intervention period has ended. We can therefore recommend this program for use concerning fall high-risk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전문치과위생사제도에 대한 견해 (Opinions of dental hygienists on the advanced dental hygienist system)

  • 이선미;김창희;심선주;김형미;이근유;유명숙;원영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13-425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introduction of an advanced dental hygienist system by sampling dental hygienists' views about the system. Methods: A nationwid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857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local health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Duncan as post-analysis), and crossover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interest level in the advanced dental hygienist system was 3.83±0.95 points. The necessity by field was confirmed to be the highest during dental hygiene for the elderly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working experience necessary for becoming a specialized dental hygienist is 5.56±2.99 (years). The education period necessary for becoming a specialized dental hygienist is 77.30±77.61 (hours). The work authority level for an advanced dental hygienist was indicated to be 50 respondents (5.8%), who said they required direct guidance from a dentist, 313 respondents (48.2%) who said they needed indirect guidance from a dentist, 200 respondents (23.3%) who said OK when given an advanced dental hygienist's separate judgment, 194 respondents (22.6%), who said that the authority must be varied depending on the work. Conclusions: The interest and need of the advanced dental hygienist system were proven to be high and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basic data for the introduction and settlement of the system.

농어촌 정보화의 포스트 코로나 대응 변화에 대한 사례 연구: 해외 농어촌 정보화 정책의 코로나19 시기 변화 방향을 중심으로

  • 이종태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13권1호
    • /
    • pp.26-40
    • /
    • 2021
  • 2019년 12월부터 진행된 코로나19(Covid-19)의 팬데믹 상황이 지속되면서, 많은 산업 분야에서 IT 융합형 비대면 서비스와 무인화 서비스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기술 및 사회적 인프라의 구축에 대한 관심과 활용 분야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함께 고려할 것은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 즉 도시 지역에서 생활하는 일반국민 계층이 누리는 디지털 서비스의 수준을 100으로 두었을 때, 농어촌 주민, 고령층, 장애인, 저소득층 등의 4대 소외계층이 체감하는 격차를 평가하는 것이다(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1). 문제는 이러한 4대 소외계층과 신소외계층의 다수가 농어촌 거주민에 속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농어촌 지역이 겪고 있는 디지털 격차, 이른바 스마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국내외 관련 사례 연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유럽지역의 대표적인 농어촌 지역 정보화 성공 사례를 분석하고, 각 사례의 장점과 단점에 기반하여 농어촌 지역 정보화의 핵심 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례 분석 결과, 유럽 지역은 한국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농어촌 지역의 정보화를 단순한 IT활용 격차의 감소보다는 경제력과 지역의 자체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검토, 추진하고 있으며, 코로나19에 대응해서는 기존의 현장 활용 중심의 IT교육과 인프라 육성을 탈피하고 개별적으로 비대면 정보화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변화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일개 대학병원에서 비뇨기계 암 생존자의 수술 후 건강행태 수준 및 관련요인 (Health Behavior Level and Related Factors of Survivors After Urological Cancer Surgery in a University Hospital)

  • 조현준;김형수;박형근;최우석;정성원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9권2호
    • /
    • pp.102-110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evaluated the health behavior level of urological cancer survivors after surgery.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change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it for health. Selection of the best intervention steps and effective intervention adopt a lifestyle. It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guideline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patients diagnosed with urological cancer at a hospital in Seoul. Study data were obtained by having 100 patients who agreed to the study self-fill out a questionnaire through interviews, and the 2018 World Cancer Research Fund and American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Score (2018 WCRF/AICR SCORE) was used to estimate the level of health behavior. Results: The study examines health behavior among urolgical cancer survivors based on the 2018 WCRF/AICR SCORE. Higher household income and younger age were associated with better health behavior scores, with those under 60 and earning over 3 million won being more likely to have higher scor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requires comprehensive data collection considering the missing variables, suggesting that high household income and young age can positively affect healthy behavior. In addition, we conclude that education for cancer survivors and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bridge the health gap for low-income and elderly populations are necessary.

다음 세대와 한국교회 주일학교의 새 전망 (New Perspectives on Sunday School of Korean Church for Next Generation)

  • 김정준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7권
    • /
    • pp.11-44
    • /
    • 2021
  • 21세기 초반 제4차 산업혁명 기술과학의 발전 속에서 갑자기 다가온 코로나19 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은 한국사회의 산업, 경제, 사회, 교육, 문화, 종교 등 모든 분야가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코로나19 전염병의 확산을 막기 위한 정부 방역 당국의 방역 지침은 안전을 위하여 '삼밀금지', 즉 밀집, 밀접, 밀폐를 금지 혹은 축소하는데 초점이 있다. 이러한 방역 지침은 한국교회는 물론 주일학교 운영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일반적으로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한국교회 주요 교단의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교회 성장의 정체 혹은 퇴조기에 들어섰음을 보여주고 있다. 주일학교 역시 학생 수가 감소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자는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한국교회 주일학교의 위기를 가져온 원인을 네 가지로 파악하였다. 첫째, 포스트모더니즘의 경향성인 근대 보편주의의 해체, 지식의 확실성과 객관성의 해체, 거대담론의 해체와 분산의 세계관 등의 영향이다. 둘째, 한국사회의 인구절벽시대에 노인 인구의 증가와 반대로 젊은 인구가 감소하는 현상이다. 한국교회 미래의 주인공이 될 젊은 인구가 감소하기 때문에 주일학교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 셋째,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교회와 주일학교 교육활동의 제약이다. 마지막으로, 교회의 비전 상실과 교육열 감소 현상 등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한국교회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교인수 200명 이하 규모에서 운영하는 주일학교를 염두에 두면서, 다음 세대를 위한 주일학교의 새로운 방향을 네 가지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모든 것이 불확실하고 상대화된 포스트모던 시대에 절대적 기독교 진리를 확신하는 교사가 필요하다. 둘째, 젊은 세대의 인구가 감소하는 인구절벽 시대에 가정 친화적인 주일학교 패러다임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셋째, 위드 코로나19 시대에 대면과 비대면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식의 교육활동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어려운 시대적 상황에 처한 한국교회 주일학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님의 지상명령'(The Great Commandment, 마 28:18-20)을 따라 복음을 전파하고, 가르치는 교육의 비전과 열정을 회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모두가 어려운 시대에 한국교회를 다시 세울 미래세대를 위한 주일학교 교육활동에 작은 단초가 되기를 소망한다.

삼척지역 성인 및 노인 남녀의 연령별 식행동과 식사의 질 평가 (The Evaluation Study on Eating Behavior and Dietary Quality of Elderly People Residing in Samcheok According to Age Group)

  • 김미현;이재철;배윤정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95-50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ating behaviors and dietary quality of various aged adults. This study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 and dietary survey by 24-hr recall to 850 adults residing in Samcheok.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age in male and female, which included 20~29 yrs group (male n = 94, female n = 66), 30~49 yrs group (male n = 201, female n = 216), 50~64 yrs group (male n = 88, female n = 96), and $\geq65$ yrs group (n = 46, female n = 43). In male, 20~29 yrs group had a larger proportion of subjects who skipped breakfast, lunch and dinner compared to other groups (p < 0.001, p < 0.05, p < 0.01). The daily food and energy intakes in $\geq50$ yrs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 50 yrs. Protein and fat intakes of 20~29 yr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But ND (Nutrient Density) of minerals as like calcium, iron and plant iron in 20~29 yrs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The KDDS (Korean's Dietary Diversity Score) of 20~29 yrs group, 30~49 yrs group, 50~64 yrs group and $\geq65$ yrs group in male were 4.1, 3.8, 3.7 and 3.5 respectively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 < 0.001). In female, skipping breakfast and dinn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20~29 yrs group than in other groups (p < 0.001, p < 0.001). And the use of nutrient supplementation was higher in 30~49 yrs group than that of other groups (p < 0.05). The daily energy intakes was higher in 20~49 yrs group than that of $\geq65$ yrs group. The ND (Nutrient Density) of animal protein, vitamins A and $B_1$ in 20~29 yrs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The KDDS of 20~29 yrs group, 30~49 yrs group, 50~64 yrs group and $\geq65$ yrs group in female were 4.0, 3.9, 3.9 and 3.6 respectively and $\geq65$ yrs group was significant lower than other groups. According to these results, $\geq65$ yrs and 20~29 yrs group had more dietary habit problems and poor nutrition status than 30~64 yrs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nutritional management and education for adequate meals should be emphasized in adults and elderly.

혈액투석 노인의 건강문해력, 자가관리지식과 자가간호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Health Literacy, Self-Management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s in Elderly with Hemodialysis)

  • 유혜선;이영휘;김화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09-619
    • /
    • 2021
  • 본 연구는 혈액투석을 받는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건강문해력, 자가관리지식, 자가간호행위 수준을 파악하고 각 변수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인천광역시 내 9개 병원에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60세 이상 193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는 건강문해력, 혈액투석에 대한 자가관리지식과 자가간호 행위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t-검정, ANOVA, Pearson 상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건강문해력은 17점 만점에 평균 13.66(±2.09)점, 자가관리지식은 15점 만점에 평균 13.33(±1.85)점, 그리고 자가간호행위는 80점 만점에 평균 63.95(±10.32)점이었다. 건강 문해력과 자가관리지식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21, p=.003), 건강 문해력의 하위 척도인 독해력과 자가관리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25, p=.001). 그리고 자가간호행위와 자가관리지식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15, p<.05). 본 연구를 바탕으로 혈액투석을 받는 노인의 자가간호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개인별 건강문해력의 수준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교육을 할 필요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