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contents

검색결과 8,492건 처리시간 0.04초

만화애니메이션 저작권교육을 위한 대학교육 연구 (The Study for the Education of Cartoon & Animation and Copyright in College)

  • 박경철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3호
    • /
    • pp.1-12
    • /
    • 2008
  • 이 논문은 문화콘텐츠의 경제적 가치를 인식하고 산업화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저작권 논란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저작권을 누구에게, 언제, 어떻게 이해할 수 있게 교육시킬 것인가'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정규교육기관 중에서 대학은 사회로 나가기 전 단계에 해당한다. 이때가 자신과 타인의 저작권에 대한 중요성을 이해하기 위한 교육에 가장 적절한 시기이다. 특히 문화콘텐츠 산업의 저작권자 또는 종사자가 될 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전공 대학의 학생들에게 대학교육과정에서의 저작권교육은 저작물을 개발하고 보호하는 인재 육성의 밑거름이자 사회 경제적 자산이 될 것이다.

  • PDF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애니메이션 교육콘텐츠 모형 제안 (Development of a Model of Animation Education Contents applied in STEAM)

  • 장세영;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333-341
    • /
    • 2015
  • 본 연구는 융합인재교육(STEAM)에서 애니메이션 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기존의 기능적 표현의 애니메이션 교육이 아닌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애니메이션 교육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애니메이션의 융합적 특성을 살펴보고, 융합적 사고에 의해 창의적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교육 내용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포가티(Fogarty)의 융합방법에 따른 STEAM 애니메이션 교육 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애니메이션은 융합적 특성을 가진 매체로 STEAM의 Arts 영역에서 융합적 사고를 위한 교육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창의적 인성을 가진 융합 인재 양성 교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유아교육기관을 위한 저작권 교육 연수 요구조사 (A Study on demands of education training about copyright for infan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오은순;이소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349-35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육기관을 위한 저작권 교육 연수 요구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육기관 원장과 교사 248명을 대상으로 영유아교육기관을 위한 저작권 교육 연수 요구를 조사하였다.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한 자료는 내용에 따라 빈도, 평균,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였고, 기초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t-검증과 ANOVA 검증을 사용하였다. 영유아교육기관 원장과 교사는 소속기관, 직위, 교육경력 등에 따라서 저작권 교육 연수 요구가 다르게 나타났다. 저작권 교육 연수 주제로는 '영유아교육기관의 업무와 관련된 저작권의 이해'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수 내용으로는 글자체(폰트)와 음원 사용 등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영유아교육현장과 직접 관련있는 내용의 저작권 교육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교육기관을 위한 저작권 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융합영상콘텐츠 교육을 위한 XR 콘텐츠저작 프레임워크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Development of XR Contents Authoring Framework for IT Convergence Education)

  • 임익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633-639
    • /
    • 2020
  • 비전공자 대상으로 확장현실기반 융합영상콘텐츠 제작에 대한 교육적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 교육도구는 턱없이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비전공자 대상으로 확장현실기반 융합영상콘텐츠 제작에 대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요구사항의 구현을 위한 프레임워크 기능을 설계하였다. 기능 설계를 바탕으로 프로그래밍 지식이 없는 IT 비전공자 학생이 게임엔진을 활용하여 드래그 앤드 드롭과 같은 간단한 방법을 통해 확장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여기서 프레임워크란 재사용 가능한 반 완성된 응용프로그램 템플릿 코드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프레임워크의 교육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산업 디자인 전공 2학년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XR 콘텐츠 제작 교육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90%가 넘는 학생들이 실제 오큘러스 리프트에서 작동되는 수준의 콘텐츠 개발에 성공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전공자를 위한 확장현실기반 융합영상콘텐츠 교육과정의 품질을 향상하는 데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 콘텐츠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청소년이 인식하는 중학교 노년기 주생활 교육 실태와 교육 필요도 (Actual Condition & the Need of Education for Elderly Housing Education Perceived by Adolescents)

  • 이영자;장상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9-75
    • /
    • 2008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노년기 주생활 교육 실태 및 교육 필요도를 파악하여 개정 가정 교육과정 주생활영역에서의 교과서 개발 연구와 교사의 교수 시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 때 배웠던 노년기 주생활 수업이 이론 위주이고 교육내용이 흥미롭지 않아 상당수가 불만족하므로 학습자들이 실습과 체험활동 등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내용과 다양한 수업방식이 필요하겠다. 청소년은 노년기 주생활 교육내용으로 노인을 배려한 공간계획 요소(안전성, 관리, 실내 환경), 노년 주거계획 전반, 노인복지 서비스를 필요로 하였고, 3세대 가족 주거와 노인전용주택의 필요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교육내용은 성별, 거주면적, 가정소득, 출신 중학교 학교형태, 현 주택 거주 년 수의 일부 관련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는 필요도가 높은 교육내용을 적절한 단원에 포함시키도록 한다. 현행 7차 교육과정의 노년기 주생활 교육내용은 교과서별로 편차가 크므로 교과서 집필 시는 노년기 주생활 교육내용이 골고루 포함될 수 있도록 고려한다. 아울러 교사의 교수 시는 특성 변인의 차이를 감안하여 교육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겠다.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수.학습방법으로 학생들의 체험적인 활동을 중시하고,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도록 권장하므로 현재의 장애체험 교육활동의 범위를 확장시켜 노인체험활동을 포함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을 구성한다면 노년기 주생활 교육의 효과가 더 커질 것이므로 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도 요망된다.

  • PDF

어머니와 정년기여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her Adolescents)

  • 김진숙;유영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권1호
    • /
    • pp.77-91
    • /
    • 198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learn about the contents of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her adolescents in this country, and possibl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communication with demographic variables. In particular, I wanted to find out the following; 1)contents of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her adolescents. 2)Contents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with adolescents. 3)Possibl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communication with differences in the level of education, employment status, and age of mother, family income level, and sex, and birth order of children. To test these hypotheses, I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600 mothers of selected high school juniors(11th grade) in Seoul. Four hundred and fourty-eight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distribution, percentage, and x2-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1) In general, mothers communicated well with their adolescents, especially in topics related to studying, friends, school, parents and family, and future career. Communication on sex-education or sex-role, however, was rather limited in contents. ool, parents and family. Communication on sex-education or sex-role of adolescent was almost never attempted. This result showed similarity with 1 above. 3) (1) contents of communication and educational level of mother; contents of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her adolescents differed significantly with educational level on all topics except parents and family, indicating that the educational level of mother, the more diverse was contents of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her adolescents. (2) Contents of communication and employment status of mother: On all topics except sex-education,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her adolescents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indicating that unemployed mothers communicate on greater number of topics with their adolescents than employed mothers do. (3) contents of communication and family income level; Family income level did not affect contents of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her adolescents significantly. (4) contents of communication and age of mother; Age of mother did not affect a contents of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her adolescents significantly. (5) contents of communication and sex of adolescent; The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ents of communication on certain topics; On virginity, sex, marriage, and dating, mother communicate more diversely with daughters than with sons. This result certainly reflects the deep-rooted traditional value system among koreans, with permissive attitude toward males, and far more strict attitude toward females, on sex-related matters. (6) Contents of communication and birth order of adolescents; The birth order of adolescents did not affect contents of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her adolescents significantly.

  • PDF

가정교과교육에서의 학교식생활교육 모색 (Studies Inquiry on School Dietary Education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 김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9-203
    • /
    • 2010
  • 가정과 교육에서 식생활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우리나라 생활환경 변화에 따른 학교 중심적인 식생활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우리나라와 외국의 학교교육을 통한 식생활교육에 대해 살펴봄으로서 우리 가정교과에서의 식생활교육의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중등교육에 있어 학교 중심의 식생활교육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하여 가정과 교육을 기반으로 한 통합접근으로 발달단계에 따른 주제 중심적 접근 그리고 생활 속에서의 실천 및 경험의 통합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가정과 교과와 비교과인 급식시간과의 연계를 통한 원활한 정보 교환은 물론 상호 협조적인 체계를 통하여 효과적인 식생활교육을 운영하고 지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이는 우리나라 성장기 청소년들이 학교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식생활 습관을 확립하는데 중심이 될 학교 중심의 식생활 교육에 있어 가정과 교육의 사명이 있음을 제시하는데 기초가 되고자 한다.

  • PDF

유아교사의 메이커 교육 인식에 기초한 교사 교육과정 구성 방향 (The Composition of Teacher Curriculum based on Maker Education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이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05-61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의 메이커 교육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사 교육 과정 구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메이커 교육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 결과 메이커 교육에 대한 개념 및 의미와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은 낮게 나타난 반면 메이커 교육의 효과, 중요성, 가치, 지속적 적용과 발전가능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메이커 교사교육과 교육환경 구성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조사결과를 기초로 교사 교육과정 구성안은 크게 기본과정과 심화과정으로 분류하였다. 기본과정에는 메이커 교육과 메이커 스페이스의 개념 및 의미 등에 대한 기반 내용을 포함시켜 인식과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심화과정에서는 다양한 도구, 재료 및 디지털 매체 활용방법과 메이커 교육 수행 방법 및 평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메이커 교육활용 능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메이커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과정 구성안은 향후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사들의 디지털 수업역량을 강화하는데 기본방향을 제안해 줄 수 있다.

치과위생사의 보수교육 실태 및 희망보수교육 내용 요구도 (Dental hygienist's status and demand of continuing education contents)

  • 이선미;이정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5-206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that can help the development and quality management of effectiv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by analyzing the status and demand of continuing education contents for dental hygienists. Methods: The questionnaire had 30 questions, which included 5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4 on continuing education status, 3 o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and 18 on desired continuing edu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members attending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in 2018.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30.08 years, with an average career of 8.19 years. The continuing education was highly recognized, through the homepage of the association (52.5%); as speakers for continuing education, dental hygienists in the field of specialization were preferred (45.8%). Additionally, the preferred frequency of programs was twice a year (45.7%). For promoting continuing education, the use of mobile phone letter was preferred (65.8%). Moreover, 92.9% of respondents were aware of online continuing education, 49.9% had experience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and 59.9% said that they will actively use smart devices in the future. The requirement for the contents of continuing education was the highest at 4.34 points for health insurance cost and the lowest at 2.75 points for liberal arts classes. Conclusions: To provide effective continui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stomized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various variables, such as career, work place, and career break experience, thus reflecting the systematic requirement of surveys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전문계고 교수-학습 효과성 제고를 위한 학습자 주도형 e-Learning 콘텐츠 모델 개발 및 적용 연구 - 「공업입문」 교과목을 중심으로 - (A Study of Developing and Applying of Learner-leading e-Learning Contents Model for Vacational High school)

  • 김선태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4-66
    • /
    • 2008
  • 본 연구는 공업 입문 과목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자 주도형 e-Learning 콘텐츠 체제를 구안하고 그에 맞는 콘텐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요연구 내용은 첫째, 전문계고 교수-학습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학습자 주도형 e-Learning 콘텐츠 모델 개발 및 적용, 둘째, 학생들의 특성 및 성취 수준에 적합한 스토리 보드 개발, 셋째, 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의 "공업 입문" 과목 교수학습 콘텐츠 등을 개발하는 것이다. 주요연구 결과로, 학습자 특성 분석을 통해서 "공업입문" 콘텐츠에 적용될 모델로 선형 모델이 선정되었다. 개발된 콘텐츠에 대한 학교 현장의 만족도 조사 결과 이러닝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습자의 79%가 학업성취도 증진에 도움이 되었다고 답변했으나, 19%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응답하였다. 국가와 교육청, 학교와 교사는 학생들의 자발적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다양한 e-learning 콘텐츠의 개발과 교수-학습 환경 조건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직업교육 효과성 제고를 위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동기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자 주도형 e-Learning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