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ible oils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6초

서울, 경남 일부지역 가공식품 표시기준에 대한 인지도 및 만족도 조사 (A Survey 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Food Labeling System in Seoul and Geongsangnamdo Area)

  • 주나미;윤지영;김옥선;고영주;정현아;최은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25-531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consumer-centric food labeling system by investigating usage state, importance evaluation, problems and satisfaction, etc. on the current food labeling system by consumer. For usage state of checking the food label, 50.2% of respondents were replied ‘mostly check the label’, and they were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 ‘education level(p<.05)’, and in case of married respondents, most were relied 'absolutely check the label', For the reason to check the food label, 61.8% of respondents were replied 'to determine whether it is stable or not', and they were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 age(p<.01), marital status(p<.01), and job(p<.01). For the item considered as important things on the label of the whole food, 49.8% of respondents were replied that 'expiration and manufacture date is important', and they were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on age, marital status, job. For item considered as important things on the label of each food, it was indicated that they considered food company as important thing in case of snack, soft drink, edible oils, and noodles, and food company in case of ice cream, and expiration and manufacture date in case of milk product and meat product. For the problems on the current food labeling system, the clauses 'Poor marking on food additives and materials contents' and 'untrue marking of nutrition contents' were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 age(p<0.05, p<0.001), and the clause 'untrue marking of nutrition contents' were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 marital status(p<.01) and job(p<.01).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연료의 제조기술 (Synthesis of Biodiesel Using Supercritical Fluid)

  • 이윤우;송은석;김화용
    • 청정기술
    • /
    • 제11권4호
    • /
    • pp.171-179
    • /
    • 2005
  • 바이오디젤은 동물성 또는 식물성 유지를 알코올과 반응시켜 생성된 물질로서 경유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기존 제품에 혼합하여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대기오염을 감소시키는 효과와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로부터 생산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알칼리 또는 산성 촉매를 사용하는 공정에 비하여 초임계 상태의 메탄올을 사용하여 바이오디젤을 제조하는 공정은 반응시간이 짧고 촉매를 사용하지 않아 분리/정제 공정이 단순하여 경제적이기 때문에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국내의 경우 연간 20만톤의 폐식용유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의 재활용 방안으로 국내 고유의 초임계 공정이 상업화 될 경우 막대한 에너지 회수와 이산화탄소 저감 그리고 환경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칡뿌리의 항산화 성분 (Anitoxidative components of pueraria root)

  • 오만진;이가순;손화영;김성렬
    • 농업과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52-64
    • /
    • 1990
  • 식물체로부터 유용한 천연항산화제를 검색코저 갈근 중의 항산화성분을 추출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gography, TLC, HPLC로 분리동정한 후 가장 항산화능이 강한 성분을 IR 및 GC-MS로 확인하고 항산화성분을 수종의 유지에 첨가하여 그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였다. 갈근 분말로부터 4단계의 용매 추출에 의하여 얻어진 추출물의 수율은 2.54%이였고 linoleic acid기질에 대하여 0.1% 첨가하였을 때 ${\delta}$-tocopherol 100 ppm 첨가구와 비슷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갈근 중에 가장 강한 항산화성분은 puerarin으로 확인 동정되었다. 돈지에 대하여 puerarin의 항산화효과는 ${\delta}$-tocopherol 보다 강하였고 ${\delta}$-tocopherol 보다 약하였다. 또한 식용유지에 puerarin을 100 ppm 농도로 첨가하여 $145^{\circ}C$에서 가열처리 하였을 때 산가의 측정에 의한 항산화효과는 대두유에서 가장 낮았고 돈지에서 가장 높았으며 Co.value TBA value, anisidine value의 측정에 의한 항산화효과는 팝유에서 가장 높았으며 대두유, 면실유에서는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 PDF

식물성 천연 항산화물질의 검색과 그 항산화력 비교 (Screening of Natural Antioxidant from Plant and Their Antioxidative Effect)

  • 최웅;신동화;장영상;신재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2-148
    • /
    • 1992
  • 95종의 식용 혹은 약용식물로부터 에탄올과 물을 용매로 하여 얻은 126종의 추출물을 괌유, 돈지 및 대두유에 첨가하여 Rancimat으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항산화 효과가 인정되면서 추출 수율이 높은 민들레, 질경이, 붉나무, 택란엽, 황기, 포공영 등 6종을 1차 선발하여 각 추출물을 농도별로 실험한 결과 붉나무 추출물이 팜유 및 돈지의 유도기간을 연장시키는데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붉나무 추출물을 팜유에 600ppm 첨가시 AI(Antioxidant index, 각 항산화제 첨가구의 유도기간을 무첨가구의 유도기간으로 나눈 값)는 1.35였고, 돈지에서는 AI가 3.03으로 돈지에 효과가 우수하였다.

  • PDF

동결건조 커피의 순차용매 분획별 특성과 항산화 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tioxidant Fractions Extracted from Freeze-Dried Coffee by Various Solvents)

  • 이주원;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9-116
    • /
    • 1996
  • 동결건조 커피의 순차용매 분획물별 항산화력과 이화학적 성질을 대비하여 그 유효 분획물의 항산화특성을 고찰하였다. 동결건조 커피를 극성도의 크기에 따라 9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각 분획물을 식용유지에 첨가하여 Rancimat과 oven test로 항산화 효과를 시험하였다. 용매별 추출 수율은 분획물의 극성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획물의 항산화력은 acetone>ethanol>ethyl acetate>methanol>50% methanol>water 분획물의 순이였으며, 대두유보다 돈지에서 더욱 효과적이었다. 각 분획물의 항산화력은 갈색도와 환원력의 강도 및 유기산 함량과는 관련이 없었으나 총phenol, 산도 및 caffeine을 포함한 총질소함량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또한, 각 분획물의 UV-visible spectra는 $200{\sim}220\;nm$, $260{\sim}280\;nm$$320{\sim}340\;nm$ 범위의 봉우리로 구분되었으며, 이중 $320{\sim}340\;nm$ 부근이 각 분획물의 항산화력의 크기와 일치하였다.

  • PDF

Morphological characters, Total phenolic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Genetic Resources

  • Awraris Derbie Assefa;Young Jee Kim;Ae-Jin Hwang;Bich-Saem Kim;Jae-Eun Lee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4-94
    • /
    • 2020
  • Safflower, a draught and salt tolerant oil seed crop of Compositae family, has been cultivated around the world mainly as source of edible oils and dyes, where India, the USA, Mexico, Australia, and Ethiopia contributing about 85% of the production altogether. In this study we have characterized some selecte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safflower plant and determined the the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seeds of 237 genetic resources. All the seed coats were white colored while the petals had red, yellow and white pigments. The yellow was the predominant petal color being recorded in 182 accessions followed by red occurring in 49 accessions. The petal color of 47 of the accessions changed with development while the 190 accession showed no change of color. The leaves are ovate to obovate, mostly with dentate (21 moderate and 205 weak) and few smooth (11) margins. The plant length,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ranged between 65.7 and 160.8 cm, 14.3 and 37.0 cm, and 3.3 and 12.1 cm, respectively. The TPC was determined using Folin-Ciocalteu metho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evaluated using gas chromatography. The TPC content ranged from 23.71 to 132.72 µgGAE/mg dried extract (DE). The seeds of safflower genetic resources accounted an average crude fat content of 26.25% (14.84 to 41.70%). The total fatty acid is mainly comprised of 71.72% linoleic acid (18:2) and 20.08% oleic acid (18:1) on average, the remaining palmitic acid (16:0), stearic acid (18:0) and linolenic acid (18:3) contributing 5.84, 2.23 and 0.15 %, respectively.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afflower seeds has shown great variability, where oleic and linoleic acid have a wide range of variation, from 9.23 to 83.35% and from 10.46 to 82.62%, respectively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된 도라지 종자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latycodon grandiflorum Seeds Oil Extracted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김양지;임지영;김석중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9-11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이용해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 종자로부터 유지를 제조하여 새로운 식용유지로서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Soxhlet 용매 추출에 비해 6,000 psi 압력 및 $40^{\circ}C$ 온도조건에서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로 더 많은 유지를 얻을 수 있었고 특히 볶은 종자로부터는 32.7%까지 얻을 수 있었다. 볶은 종자로부터 얻은 초임계 도라지 종자유는 시판 대두유나 들깨유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중성지질로 구성되어 있음을 TLC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 유지는 고도로 불포화된 지질로 대두유나 들깨유보다 linoleic acid(73.27%) 함량이 훨씬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oleic acid(13.16%) 함량이 높았다. 유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으로, 비중 0.92, 점도 45.37 cP, 굴절률 1.48, 색도 L=47.30, a=-3.69, b=25.72, 요오드가 141.57 g $I_2/100g$ oil, 비누화가 191.21 mg KOH/g oil, 산가는 2.60 mg KOH/g oil 였다. 이런 특성들 중에서 지질의 불포화도와 관련이 있는 굴절률, 점도 및 요오드가는 두 시판 유지들의 중간값을 나타내었다. Rancimat 법으로 측정한 산화유도기간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초임계 추출 도라지 종자유(2.03 hr)는 대두유(2.94 hr)보다는 낮으나 들깨유(1.79 hr)보다는 높은 중간값을 나타내었다. 종자 볶음 공정은 유지의 추출 수율을 증가시킬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에스터 함량과 산가 감소에 긍정적 효과도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통해 볶은 도라지종자로부터 높은 수율로 유지를 제조할 수 있었고 이 유지는 식용유지로서 적합한 특성을 가진다고 판단되었다.

착색투명(着色透明)셀로팬 및 피리딘, 벤조페논, p-아미노벤졸산(酸) 등(等)으로 처리(處理)된 무색투명(無色透明)셀로팬으로 덮은 식용대두유(食用大豆油)의 직사일사광선(直射日射光線)에 의한 산패(酸敗)에 대하여 (Effects of Colored Transparent Cellophane Films and Colorless Transparent Cellophane Films Coated Respectively with Pyridine, Benzophenone, and p-Aminobenzoic Acid on the Sunlight Accelerated Oxidation of Edible Soybean Oil)

  • 이영시;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39-244
    • /
    • 1972
  • 1) 시판(市販) 식용대두유(食用大豆油)를 아크릴수지제(樹脂製) 용기(容器)($28{\times}16{\times}2.5cm$)에 넣어 무색(無色), 적색(赤色), 녹색(綠色) 투명(透明)셀로팬 그리고 자외선흡수제(紫外線吸收劑) 피리딘, 벤조페논, p-아미노벤졸산(酸) 등의 접착제(接着劑) Cemedine C용액(溶液)(10%, 중량비(重量比))을 도포건조(塗布乾燥)시킨 무색투명(無色透明)셀로팬으로 덮고 매일(每日) 일정시간(一定時間)(4.5시간(時間)) 직사일사광선(直射日射光線) 조사(照射)시켜 각종(各種)셀로팬필름의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를 무색투명(無色透明)셀로팬의 경우를 Control로 하여 비교검토하고, 또한 각시료(各試料)의 산화속도(酸化速度)와 각종(各種) 셀로팬필름의 광선투과율(光線透過率)과의 관계(關係)도 검토하였다. 2) 적색(赤色) 및 녹색(緣色)의 투명(透明)셀로팬은 현저한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를 보였으며, 양자중(兩者中)에서는 적색투명(赤色透明)셀로팬이 녹색투명(綠色透明)셀로팬에 비해 약간 더 강한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를 나타냈다. 이는 적색투명(赤色透明)셀로팬이 녹색투명(綠色透明)셀로팬에 비해 단파장영역(短波長領域)의 광선투과율(光線透過率)이 적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3) 자외선흡수제(紫外線吸收劑)를 도포(塗布)할때 사용한 접착제(接着劑) Cemedine C자체도 상당한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를 보였었다. 이는 접착제(接着劑)에 의한 얇은 피막형성(被膜形成)으로 control의 무색투명(無色透明)셀로팬보다 각파장(各波長)에서의 광선투과율(光線透過率)이 적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피리딘, 벤조페논, p-아미노벤졸산(酸)의 Cemedine 용액(溶液)을 처리(處理)한 투명(透明)셀로펜은 무색투명(無色透明)셀로팬에 비하여 적은 광선투과율(光線透過率)을 보였다. 그러 나 피리딘, 벤조페논처리(處理) 투명(透明)셀로팬은 실험초기(實驗初期)에는 무색투명(無色透明)셀로팬과 비교할때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가 어느정도 인정(認定)되었으나 실험기간(實驗期間)이 각(各) 10일(日), 4일(日)을 경과하면 그 산화억제(酸化抑制) 작용(作用)은 급속(急速)히 상실(喪失)되었다. p-아미노벤졸산처리(酸處理) 투명(透明)셀로팬은 전실험기간(全實驗期間)을 통하여 무색투명(無色透明)셀로팬에 비할 때 현저한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를 보였다. 4) 결론적(結論的)으로 식용대두유(食用大豆油)의 직사일사광선(直射日射光線)에 의해서 촉진(促進)되는 자동산화(自動酸化)에 대한 이상의 각종(各種) 셀로팬필름의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의 크기는 다음의 순서였었다. 적색투명(赤色透明) 셀로팬>녹색투명(綠色透明)셀로팬>p-아미노벤졸산처리(酸處理) 투명(透明)셀로팬>Cemedine C단독처리(單獨處理) 투명(透明)셀로팬>무색투명(無色透明)셀로팬>피리딘처리(處理) 투명(透明)셀로팬>벤조페논처리(處理) 투명(透明)셀로팬.

  • PDF

수산가공공장 폐액의 등전점 침전처리에 의한 유용성분 재회수 이용 1. 고등어 육 고기풀 제조시 발생되는 폐액의 처리장치 개발 (Recovery and Utilization of Proteins and Lipids from Washing Wastewater in Marine Manufacture by Isoelectric Point Precipitation Method 1. The Coagulation Treatment for Washing Wastewatfr of Minced Mackerel Meat)

  • 서재수;조순영
    • KSBB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1-8
    • /
    • 1995
  • 냉통고기풀 또는 수산연제품 등의 수산가공품 제조시 수세공정에 의해 폐액 중으로 많은 수용성 단백질과 지질성분이 유출되고 있는데, 이로 인하여 폐수의 BOD 및 COD값이 상승되어 해양의 오염과 연안의 적조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오염 방지 빛 미이용 자원 의 개발이라는 두 측면에서 수세폐액 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 단백질을 등전점 pH이동침전법에 의해 최적으로 회수하는 조건을 규명하였고, 아울러 그 회수단백질의 이용가능성 타진을 위해 기초척인 성 분 분석도 행하였다. $\circled1$ 수세폐액 중의 수용성 단백질을 회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여러 가지 등전점 응집법 중 산이통법이 효율적이었다. 즉 수세폐액을 먼저 pH 2.5~3.0으 로 낮춘 후 pH 6.5~7.5로 재조절하여 원심분리한 것이 높은 단백질 회수율을 나타내였다. 한편, 폐액 내 잔존지방은 산이통 처리후 대부분 부유하여서 그 상충수를 따라 부어내어 유분리기로 쉽게 수거가능 하므로 본 처리 장치로써 잔존단백질과 지방을 동시 회수할 수가 있다. $\circled2$ 최척처리조건에서 회수한 단백질구분의 수분과 단백 질 함량은 80.6 및 14.4 % 였다. 한편, 회수단백 질구분의 VBN함량은 9.6mgj100g로서 선도가 양 호하였으며, 구성아미노산 중 lysine 등 필수아미노 산이 여전히 많은 비율로 존재해 있어 영향학적으로 도 손색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냉통고기풀이나 어묵 의 제조공정 중에 나오는 수세폐액으로부터 수용성 단백질 벚 유지를 통전점침전법의 한 변형인 산이통 법으로 간단히 재회수할 수 있음을 얄 수 있었다. 그래서 이들 성분의 재회수로 수산가공공장폐액에 의 한 하천의 오염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음은 물론 이고 수산가콩폐기물의 완전 식량화의 가능성도 찾 아볼 수 있게 되었다고 판단되어진다.

  • PDF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을 중심으로 한 오메가-3 지방산 함유유지의혈행개선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omega-3 fatty acids on improvement of blood flow while focused on evaluation of claims for health functional food)

  • 정세원;김지연;백주은;김주희;곽진숙;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3호
    • /
    • pp.226-238
    • /
    • 2013
  •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re essential fatty acids because humans cannot synthesize them de novo and must obtain them in their diet. Fish and fish oil are rich sources of omega-3 fatty acids, including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Significant evidence of the beneficial role of dietary intake of omega-3 fatty acids in blood flow has been reported and putative mechanisms for improvement of blood flow include anti-thrombotic effects, lowered blood pressure, improved endothelial function, and anti-atherogenic effects. Edible oils containing omega-3 fatty acids were registered as functional ingredients in the Korea Health Functional Food Code. Although omega-3 fatty acids have been evaluated by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periodic re-evaluation may be needed because emerging data related to omega-3 fatty acids have accumula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re-evaluated scientific evidence for the effect of omega-3 fatty acids as a functional ingredient in health functional food on improvement of blood flow. A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for collection of relevant human studies using the Medline and Cochrane, KISS, and IBIDS databases for the years 1955-2012. Search keywords were used by combination of terms related to omega-3 fatty acids and blood flow. The search was limited to human studies published in Korean, English, and Japanese. Using the KFDA's evidence based evaluation system for scientific evaluation of health claims, 112 human studies were identified and reviewed in order to evaluate the strength of the evidence supporting a relation between omega-3 fatty acids and blood flow. Among 112 studies, significant effects on improvement of blood flow were reported in 84 studies and the daily intake amount was ranged from 0.1 to 15 g. According to this methodology of systematic review, we concluded that there was possible evidence to support a relation between omega-3 fatty acid intake and blood flow. However, because inconsistent results have recently been reported, future studies should be monito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