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tomycorrhizal mushroom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2초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cytotoxic properties of fruiting bodies and their mycelia as sources of Cordyceps

  • Si Young Ha;Ji Young Jung;Jae-Kyung Yang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
    • /
    • 2024
  • Mushrooms play crucial roles as reservoirs of naturally occurring bioactive compounds. Among these, Cordyceps militaris is significant because of its well-established reputation for organoleptic excellence and positive health effects, which have led to its widespread commercialization. In contrast, the key properties of Paecilomyces variotii, an ectomycorrhizal symbiont, has received limited attention. In alignment with current research trends, the study of the mycelia and culture media of these mushrooms hold promise in identifying potential sources of valuable bio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C. militaris and P. variotii for their phenolic acids and sterols, assessing antioxidant capacity,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Interestingly, P. variotii mycelia exhibited higher concentrations of ergosterol and phenolic compounds, with comparable levels observed in the fruiting bodies, along with superior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that of C. militaris. In contrast, C. militaris mycelia demonstrated anti-inflammatory effects (which were absent in P. variotii mycelia) and cytotoxicity comparable to, and at times exceeding, that of its fruiting bodies (in contrast to P. variotii). In addition, the species analyzed in this study displayed variations in growth rates and mycelial production, which merit consideration for potential future applications and further study.

Cloning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Chitin Synthase Genes from Tricholoma matsutake

  • Suh, Seok-Jong;Kim, Il-Hyeon;Nam, Ju-Hyun;Ghim, Sa-Youl;Bae, Kyung-Sook;Kim, Jong-Guk
    • Mycobiology
    • /
    • 제29권4호
    • /
    • pp.179-182
    • /
    • 2001
  • Chitin synthases(UDP-N-acetyl-D-glucosamine: chitin 4-$\beta$-N-acetyl-D-glucosaminyl transferase, EC 2.4.1.16) catalyze the synthesis of chitin from UDP-N-acetyl-D-glucosamine. Two zymogenic type of chitin synthase gene(TmCHS1 and TmCHS2) were amplified and its nucleotide sequences were determined. By the amino acid comparison and UPGMA tree grouping, TmChs1 and TmChs2 were classified as class II and class IV chitin synthases respectively. The class II type TmChs1 was grouped with others of Agaricales ectomycorrhizal mushroom. Additionally the phylogenetic tree was well adapted to Hymenomycete previously classified by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 PDF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Tuber himalayense Collected from Rhizosphere of Quercus dentata in Korea

  • Park, Hyeok;Gwon, Ju-Hui;Lee, Jong-Chul;Kim, Hyun Suk;Seo, Geon-Sik;Eom, Ahn-Heum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01-108
    • /
    • 2021
  • We collected the ascomata of Tuber species from the rhizosphere of Quercus dentata in Danyang, Korea. We observ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ctomycorrhizal roots and ascomata, and identified the spec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hylogenetic analysis conducted using the DNA sequences of a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 large-subunit rDNA,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α DNA (TEF1), and MAT. Finally, we identified the fungal species as Tuber himalayense B.C. Zhang & Minter, which has not been recorded previously in Korea. We evaluat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nducted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ascoma and mycorrhiza (associated with Q. dentata) of T. himalayense.

국내 봉화 송이 자생지 내 균환 유래 토양세균의 송이균사체 생장촉진 효과 (Growth promoting effect on Tricholoma matsutake mycelium by bacteria from fairy Ring in Bonghwa-gun, Korea)

  • 최두호;이은지;이강효;안기홍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7-30
    • /
    • 2024
  • 본 연구실에서는 송이의 인공재배 조건 확립을 목표로 세균을 활용한 생장촉진 유도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봉화에서 확보한 7 점의 세균에 의한 송이 균사체의 생장촉진 결과를 확인하였다. 생장촉진 효과가 가장 높았던 3 점의 세균 B22_7_B06, B22_7_B07, B22_7_B08은 Paenibacillus 속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배양된 송이 균사체의 생장면적 측정 이외에 다양한 방식을 통한 균사체 생장결과 확인 기준이 필요한 실정이며, 이에 향후 확보된 세균들이 모두 그람 양성균인 것에 착안하여 각 세균들로부터 대사산물을 추출한 후 (Eltokhy et al., 2021), 추출한 대사산물을 활용하여 송이 균사체의 세포외 효소활성 변화 정도를 측정하여 보다 체계적인 송이 균사체 생장촉진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한다. 더불어 미생물에 의한 송이 균사체 생장촉진 사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하여 송이 종류에 따른 미생물의 생장촉진 효과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확보된 촉진균으로 부터 추출한 물질이 함유된 영양 배지를 활용하여 송이 인공재배를 위한 생태모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송이발생림(松栮發生林)과 미발생림(未發生林)의 버섯분포(分布)에 관(關)한 비교연구(比較硏究) (A Comparative Study on the Mushroom Populations between Matsutake-Producing and Non-producing Pinus densiflora Stands)

  • 이경준;김양섭;이태수;김교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2권1호
    • /
    • pp.27-31
    • /
    • 1986
  • 송이발생림(松栮發生林)과 미발생림(未發生林)의 고등균류(高等菌類)의 분포(分布)와 균근(菌根)버섯의 역할(役割)을 비교분석(比較分析)하기 위하여, 강원도(江原道) 양양군(襄陽郡) 현북면(縣北面)에 위치(位置)한 두 적송림(赤松林)에서 송이(松栮)가 발생(發生)하는 기간(期間)인 1984년(年) 9월(月) 25일(日)에 지상(地上)에서 발생(發生)하는 버섯을 채집(採集)하여 분류(分類)하였다. 평균(平均) 28년생(年生)인 송이발생림(松栮發生林)에서는 총(總) 12속(屬) 18종(種)을 채집(採集)하였으며, 그 중(中) 1종(種)을 제외(除外)한 나머지 17종(種)은 모두 균근(菌根)버섯이었다. 흔한 버섯 속(屬) Suillus, Russula, Lactarius, Hydnum, Amanita속(屬)이었다. 평균(平均) 55년생(年生)인 송이발생림(松栮發生林)에서는 총(總) 22속(屬) 30종(種)의 버섯을 채집(採集)하였는데, 그 중(中) 22종(種)이 균근(菌根)버섯이었고, 8종(種)은 부후균(腐朽菌)이었다. 흔한 버섯속(屬)은 Hydnum, Tyicholoma, Laccaria, Cantharellus속(屬)이었다. 두 임분(林分)에서 함께 발현(發見)된 버섯은 6종(種)이었다. 송이발생림(松栮發生林)은 성숙(成熟)한 임분(林分)으로써 미발생림(未發生林)에 비(比)해서 유기질(有機質)의 함량(含量)이 많고 하층식생(下層植生)이 더 발달(發達)해 있었으며, 이에 따라서 더 다양(多樣)한 버섯의 분포(分布)를 나타냈으며, 상대적(相對的)으로 송이(松栮)를 포함(包含)한 균근(菌根)버섯의 비율(比率)이 낮아졌다고 할 수 있다.

  • PDF

한국산 가송이(가칭)의 균사생장 특성과 소나무에 외생균근 형성 (Mycelial Growth and in vitro Ectomycorrhizal Synthesis on Pinus densiflora Seedlings of Tricholoma bakamatsutake in Korea)

  • 전성민;가강현;홍기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12-321
    • /
    • 2014
  • 가송이(Tricholoma bakamatsutake)는 송이(Tricholoma matsutake)의 근연종으로 식용 가능한 외생균근성 버섯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신갈나무림에서 수집한 가송이 균주들의 생리학적 특성에 관한 최초의 보고로, 자실체의 조직으로부터 순수 분리한 균주를 대상으로 다양한 조건(배지, 온도, 질소원)에서 이들의 배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균주들은 PDA 배지, 20 또는 $25^{\circ}C$의 배양온도에서 균 생장력이 높았으며, 시험균 중 2균주는 그들의 균사생장에 질산염보다 암모늄 형태의 무기질소원을 더 선호하였다. 가송이는 근연종인 송이와 최적배양 조건이 유사하기는 하나, 균사생장 속도가 송이보다 더 느림을 알 수 있었다. 가송이의 모든 균주들은 carboxymethylcellulose 배지 상에서 cellulase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가송이 2균주는 소나무 실생묘에 이들 균을 접종한 지 3 또는 8개월 후 균근을 각각 형성하였으며, 균을 접종하지 않은 묘목보다 균을 접종한 묘목의 생체량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노란달걀버섯 균주의 여러 환경 조건에 따른 균사 생장 특성 (Mycelial growth properties of an Amanita javanica strain under various culture conditions)

  • 강정아;가강현;김준영;윤성탁;김성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91-196
    • /
    • 2019
  • 노란달걀버섯은(Amanita javanica) 국내에서 산림법으로 보호받고 있는 식용 가능한 외생균근성 버섯이나, 중요한 산림자원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특성 연구에 대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채집 야생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한 노란달걀버섯 NIFoS 1267 균주를 이용하여 PDA 배지 상에서 물리적 요인(온도, pH, 광)과 화학적인 요인(염분, 중금속, 농약)에 따른 균사생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최적의 물리적 환경은 온도가 30℃, pH가 5-6, 암조건으로 배양이었을 때 노란달걀버섯 균주의 균사생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적 요인으로서 염분은 2.0% 농도 조건까지 버섯균주의 균사 생장이 가능하였다. 50 ppm 농도의 중금속 이온 환경에서 비소(As) 이온은 노란달걀버섯 균주의 균사생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카드뮴(Cd)와 납(Pb) 이온은 균사 생장이 불가능하게 하였다. 국내 산림에 사용되고 있는 2가지 농약의 경우, Abamectin 첨가 배지에서는 노란달걀버섯 균주의 균사 생장에 영향이 없었으나 Acetamiprid, Emamectin benzoate, Thiacloprid가 첨가된 배지 환경에서는 균사 생장이 모두 다 저해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상업적 생산을 위한 새로운 자원으로서 노란달걀버섯의 인공재배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내장산국립공원의 고등균류 분포 (Distribution of Higher Fungi in NaeJangSan National Park)

  • 장석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27
    • /
    • 2007
  • 2004년 4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내장산 국립공원 고등균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 동안 고등균류는 총 5강 19목 60과 168속 418종(미기록종 10과 13속 15종 포함)이 조사 되었으며, 담자균아문은 47과 143속 384종이, 자낭균아문은 9과 19속 28종이었으며 점균문은 4과 6속 6종이 조사되었으며, 담자균아문의 모균아강(Hymenomycetidae)이 34과 122속 353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가장 많이 발생된 균류는 송이버섯과로 64종이었으며, 무당버섯과(39종), 구멍장이버섯과(36종), 그물버섯과(36종)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균류 버섯 발생은 강수량 및 대기온도가 높은 시기인 기후 환경요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7월, 8월 및 9월에 집중하였다. 고등균류 버섯 분포에 영향을 기후환경 요인은 강수량, 상대습도 및 대기온도가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Ergosterol and Water Changes in Tricholoma matsutake Soil Colony during the Mushroom Fruiting Season

  • Koo, Chang-Duck;Lee, Dong-Hee;Park, Young-Woo;Lee, Young-Nam;Ka, Kang-Hyun;Park, Hyun;Bak, Won-Chull
    • Mycobiology
    • /
    • 제37권1호
    • /
    • pp.10-1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patio-temporal changes of active fungal biomass and water in Tricholoma matsutake soil colonies during the mushroom fruiting season. The active fungal biomass was estimated by analyzing ergosterol content at four different points within four replicated locations in a single circular T. matsutake colony at Ssanggok valley in the Sogri Mt. National Park in Korea during 2003 to 2005. The four points were the ahead of the colony, the front edge of the colony and 20 cm and 40 cm back from the front edge of the colony. Ergosterol content was 0.0 to 0.7 ${\mu}g$ per gram dried soil at the ahead, 2.5 to 4.8 ${\mu}g$ at the front edge, 0.5 to 1.8 ${\mu}g$ at the 20 cm back and 0.3 to 0.8 ${\mu}g$ at the 40 cm back. The ergosterol content was very high at the front edge where the T. matsutake hyphae were most active. However, ergosterol content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during the fruiting season, September to October. Soil water contents were lower at the front edge and 20 cm back from the front edge of the colony than at the ahead and 40 cm back during the fruiting season. Soil water content ranged from 12 to 19% at the ahead, 10 to 11% at the edge, 9 to 11% at the 20 cm back and 11 to 15% at the 40 cm back.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active front edge of the T. matsutake soil colony could be managed in terms of water relation and T. matsutake ectomycorrhizal root development.

Diversity and cluster analysis of pine mushroom's endophytes using metagenome analysis

  • Seo, Jong Beom;Choi, Ah Hyeon;Rusaati, Butoto Imani wa;Kang, Jun Won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3호
    • /
    • pp.493-503
    • /
    • 2021
  • Tricholoma matsutake (Pinus mushroom, PM) is one of the most valued ectomycorrhizal fungi in Asia because it is an expensive forest product with a unique flavor and taste. Therefore, many studies have tried to successfully cultivate Tricholoma matsutake artificially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However, its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are still unknown. Thus, we need to understand the diversity and clusters of microorganisms related to Tricholoma matsutake and to identify their core microorganisms related to their growth and production. In this study, we obtained an average of 11,661 fragments from three pine mushrooms with metagenome (an assemblage of genes of all microorganisms in the natural world) analysis from a pine forest located in Pohang, Gyeongsang-Bukdo. Of these, the valid reads were on average 5,073 per sample available for analysis, and the average length of a read was 456 bp. There were an average of 33.3 phyla in the metagenome analysis. Firmicutes phylum made up on an average 46% of the phyla and was dominant among the phyla. The next dominant phylum was Proteobacteria at 27% followed by Bacteroidetes at 17%, Actinobacteria at 5% and Verrucomicrobia at 2%. The Proteobacteria phylum consisted of the γ-proteobacteria class at 54% followed by β-proteobacteria at 37%, α-proteobacteria at 6%, δ-proteobacteria at 2% and ζ-proteobacteria at 0%. The metagenome consisted of the Ruminococcaceae family at 17% followed by Pseudomonadaceae at 13%, Burkholderiaceae at 7%, Bacteroidaceae at 7%, Lachnospiraceae at 7% and Clostridiaceae a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