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toxicity test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5초

Plant Assay에 의한 비소오염 토양평가

  • 안윤주;이주영;임승윤;정지영;정혜원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98-200
    • /
    • 2004
  • Four crop plant species were tested to assess an ecotoxicity in arsenic-amended soils. Test plants were Sorghum bicolor, Cucumis sativus, Triticum aestivum, and Phaseolus radiatus. The presence of arsenic decreased the root and shoot growths. Arsenite was more toxic than arsenate to all test plants. Root growths of Phaseolus radiatus and Cucumis sativus seem to be a good protocol to assess ecotoxicity of soils contaminted by arsenic.

  • PDF

생태독성실험을 위한 한국 우점종 유리물벼룩(Daphnia galeata)의 특성 및 독성민감도: 큰물벼룩(Daphnia magna)과의 비교연구 (Characteristics and Toxicity Sensitivity of Korean Dominant Species Daphnia galeata for Ecotoxicity Testing: Comparative Study with Daphnia magna)

  • 최영설;곽진일;안윤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93-200
    • /
    • 2016
  • 생태독성 관리제도가 국내에 도입된 이래 Daphnia magna(큰물벼룩)는 시험종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D. magna는 국내 비서식종으로 국내의 담수 환경을 반영한 생태독성 평가에는 제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국내 서식 물벼룩 중 적합한 시험종을 선정하여 생태독성 평가에 대한 활용가능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Daphnia galeata(유리물벼룩)는 국내 한강 수계 우점종이며 대부분의 수계에 서식하고 있는 물벼룩이다. 본 연구에서는 D. galeata의 국내 고유 시험종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D. galeata의 특성 및 생활사를 확인하여 D. magna와 비교하였다. 또한 D. galeata의 독성민감도를 확인하고자 D. galeata 및 D. magna에 대한 7종 중금속(As, Cd, Cr, Cu, Hg, Ni, Zn) 급성독성자료 조사, 수집하여 민감도를 비교분석하였다. D. galeata의 생활사 측정결과 D. galeata의 생존기간은 $28{\pm}8$일로 D. magna의 절반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생존기간 동안의 어미 개체당 새끼 생산량도 D. magna보다 적었으며, 평균적인 체구도 D. magna보다 D. galeata가 작았다. 독성민감도는 7종의 중금속에 대해 D. galeata가 D. magna보다 더 민감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단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D. galeata는 국내 고유 생태독성 시험종으로 적합하며 차후 D. magna를 대체하거나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험종으로 사료된다.

물벼룩에 있어 bisphenol A의 embryo독성 (Embryotoxicity of Bisphenol A in Daphnia magna)

  • 황갑수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1권1호
    • /
    • pp.81-86
    • /
    • 2006
  • Embryotoxicity tests were performed in Daphnia magna to assess aquatic ecotoxicity of bisphenol A, a well known industrial compound showing estrogen-like activity in vivo, and to examine their effectiveness in the toxicological assessment. The whole embryonic developmental period was classified into 6 stages and developmental abnormality was checked to evaluate the embryotoxicity. In the present study, bisphenol A showed the ability to interfere with embryonic development, suggesting its antiecdysteroidal activity. The rates of mortality, delayed development, deformity and immobility all showed good concentration-response relationship, demonstrating their possibility as useful toxicological indices in daphnid embryotoxicity tests that have been rarely performed so far. It seemed favorable to the test sensitivity that embryos are removed from maternal daphnids around 7 hr after deposition from the ovaries to the brood chamb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phnid embryotoxicity tests can be one of useful tools available for the assessment of ecotoxicity of various chemicals in the aquatic environment.

Environmental Impact of Phosphogypsum on the Ecotoxicity of A. salina, D. magna, O. latipes, and S. capricornutum

  • Park, Soo-Ho;Han, Bing;Lee, Woo-Bum;Kim, Jongo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1권2호
    • /
    • pp.15-21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recycled phosphogypsum (PG) as an embankment material with soil by performing batch and column ecotoxicity experiments. A. salina, D. magna, O. latipes and S. capricornutum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 The effective concentration (EC50) of D. magna was the lowest value, 1.29 mg/L. The survival rates of A. salina, D. magna and O. latipes were more than 90% in the presence of PG leachate in the column test. The toxicity unit (TU) for the organisms was less than 1, indicating that no significant ecotoxicity effect was found.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PG could be recycled for use as an embankment and landfill material with soil.

산업폐수에 대한 이화학적 분석과 물벼룩 생태독성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Ecotoxicity using Daphnia magna and Physiochemical Analyses of Industrial Effluent)

  • 이선희;이학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269-1275
    • /
    • 2014
  • Ecotoxicity assessments with the physiochemical water quality items and the bioassay test using Daphnia magna were conducted for 18 selected effluents of 6 industrial types (metal processing, petroleum refining, synthetic textile manufacturing, plating, alcohol beverage manufacturing, inorganic compound manufacturing) being detected toxicity from industrial effluent in Ulsan city,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otal toxic unit (${\Sigma}TU$) and concentrations of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 average toxic unit(TU) of effluents for 6 industrial types displayed the following ascending order: petroleum refining (0.2) < synthetic textile manufacturing (0.6) < alcohol beverage manufacturing (0.9) < metal processing (1.3) ${\leq}$ inorganic compound manufacturing (1.3) < plating (3.0). These values were less than effluent permission standard. Based on the result of substances causing ecotoxicity,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not easy because most of heavy metals were not detected or were less than effluent permission standard. Toxicological assessment of industrial effluent was suitable for the evaluation of the mixture toxicity for pollutant. The whole effluent toxicity test using a variety of species was needed for the evaluation of industrial wastewater.

Research Trends of Ecotoxicity of Nanoparticles in Soil Environment

  • Lee, Woo-Mi;Kim, Shin-Woong;Kwak, Jin-Il;Nam, Sun-Hwa;Shin, Yu-Jin;An, Youn-Jo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253-259
    • /
    • 2010
  • We are consistently being exposed to nanomaterials in direct and/or indirect route as they are used in almost all the sectors in our life. Nations across the worlds are now trying to put global regulation policy on nanomaterials. Sometimes, they are reported to be more toxic than the corresponding ion and micromaterials. Therefore, safety research of nanoparticles has huge implications on a national economics. In this study, we evaluated and analyzed the research trend of ecotoxicity of nanoparticles in soil environment. Test species include terrestrial plants, earthworms, and soil nematode. Soil enzyme activities were also discussed. We found that the results of nanotoxicity studies were affected by many factors such as physicochemical properties, size, dispersion method and test medium of nanoparticle, which should be considered when conducting toxicity researches. In particular, more researches on the effect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ate of nanoparticles on toxicity effect should be conducted consistently.

어류수정란 발달에 미치는 나노독성 연구동향: (1) 탄소계 및 기타 나노물질 (Effect of Nanomaterials on the Early Development of Fish Embryos: (1) Carbon and Other Nanomaterials)

  • 신유진;안윤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62-767
    • /
    • 2012
  • The ecotoxicity assessment of nanomaterials (NMs) in the environment is actively conducted throughout the world because of the concerns about their potential risk from usage and release into the environment, as well as their unique physiochemical properties. Ecotoxicity tests for NMs have been conducted using various species and methods; however, in spite of these efforts, the characteristics and toxicity of NMs have not been defined. The fish embryo toxicity test (FET) has been conducted extensively to evaluate the toxicity of NMs as an alternative to a whole-body test in fish. In this study,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trends of nanotoxicity on the early development of freshwater fish. The model nanomaterials are carbon NMs ($C_{60},\;C_{70},\;C_{60}$(OH)n and carbon nanotube). Their adverse effects were extensively investigated based on the properties of NMs, test species, and diverse exposure conditions.

해양생태독성시험 표준생물로서 미세조류의 특성 비교 연구(Skeletonema sp., Dunaliella tertiolect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icroalgae as Standard Species for Marine Ecotoxicity Tests (Skeletonema sp., Dunaliella tertiolecta))

  • 김태원;문창호;이수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14-522
    • /
    • 2020
  • 해양생태독성시험의 국제표준시험종 중 생산자에 속하는 대표적인 Skeletonema sp.와 Dunaliella tertiolecta의 생태독성학적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각 표준시험법(규격)을 비교하였고 환경에 대한 종 적합성과 다양한 시험물질에 대한 민감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험법의 경우 대부분 동일하였으나 시험 유효성의 기준에서 pH 변화 제한과 초기접종밀도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D. tertiolecta의 낮은 성장률에 기인된 것으로 추정된다. 적합성에서는 두 종 모두 규격에서 요구하는 유효성의 기준을 연속 만족하여 시험수행의 일관성을 보였고 시험한계 염분범위는 Skeletonema sp.와 D. tertiolecta 각각 20 및 10 psu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민감도의 경우, 시험규격에서 제시하는 참조물질, 실제 오염 배출수(선박평형수) 및 기타 다양한 화학물질에서 모두 Skeletonema sp.가 D. tertiolecta에 비해 독성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해양생태독성시험 수행에 있어 생산자를 이용한 시험의 경우 최소 2종 이상의 다른 분류군의 미세조류를 이용하는 것이 시험결과의 신뢰성과 객관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임을 시사한다.

Euglena 운동성 측정장치를 이용한 생태독성평가 (Ecotoxicity Test Using E. agilis Biomonitoring System)

  • 이정아;김경남;박다경
    • 환경생물
    • /
    • 제34권2호
    • /
    • pp.124-131
    • /
    • 2016
  • Euglena agilis의 운동성 반응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장치인 E. agilis 시스템 (E-Tox)을 이용하여 8종의 중금속 (Ag, Cd, Cr(VI), Cu, Hg, Ni, Pb, Zn)에 대한 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E. agilis 운동성 시험 (biomonitoring test)으로부터 도출된 $EC_{50}$과 문헌상의 자료 조사로 얻은 기존 생태독성 시험 생물 종들(D. magna, V. fischeri, 그리고 E. gracilis)의 $EC_{50}$을 비교하여 시험물질에 대한 E. agilis의 독성 민감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축산폐수 방류수, 도금폐수 방류수, 도금폐수 1차 처리 시료에 대해 D. magna 급성 독성시험과 E. agilis 운동성 반응 시험을 수행 후 TU를 비교하여 E. agilis 운동성 시험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E. agilis는 시험 중금속에 대해 D. magna보다 독성민감도가 전반적으로 낮았으나 V. fischeri 또는 E. gracilis와 유사하거나 좀 더 민감하였다. E. agilis는 D. magna test로 유독성으로 판명된 도금폐수 1차 처리수에 대해 신속한 독성반응을 나타내었다. E-Tox 시스템은 기존의 생태독성시험장비에 비해 빠르고 작동이 간편한 자동화 기기라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 E-Tox 시스템을 이용한 E. agilis 운동성 시험은 향후 독성폐수에 대한 조기경보를 위한 생태독성시험법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생태계 독성평가에 적용 가능한 국내 시험종 선정 (Domestic Test Species for Aquatic Toxicity Assessment in Korea)

  • 안윤주;남선화;이재관
    • 생태와환경
    • /
    • 제40권1호
    • /
    • pp.1-1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생태독성 시험종 중에서, 국내 생태독성 평가에 적용 가능한 시험종을 파악해보았다. 대상 화학물질 41개 항목에 대해 수집된 생태독성 시험종은 총 265종으로, 이 중 국내 생태독성 평가에 적용 가능한 시험종은 총 71종으로 분류되었다. 생물 분류군별로 살펴보면, 어류 7종, 무척추동물군 26종 중 환형동물 2종, 태형동물 2종, 갑각류 13종, 곤충류 3종, 연체동물 4종, 편형동물 1종, 원생동물 1종, 식물군 26종 중 규조류 9종, 녹조류 14종, 대형수생식물 3종, 기타군 12종 중 양서류 2종, 세균류 3종, 남조류 6종, 균류 1종이다. 생태독성 시험종 중 국내 시험종의 비율을 살펴보면, 26.8%로 국내 생태독성 평가에 적용 가능한 시험종이 그리 넉넉하지 않은 실정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국내 생태독성 평가에 적용 가능한 국내 시험종을 개발하고 더 나아가 국내종을 이용한 생태독성 시험법을 정립함으로써 국내 생태독성 평가를 위한 독성자료 구축연구가 장기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