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 and space

검색결과 1,803건 처리시간 0.025초

국도 3호선 터널건설 공사 중 붕락구간에 대한 지반보강 (The Ground Reinforcement on Daylight Collapsed Block in Driving Work at the National Road No. 3 Line)

  • 천병식;정덕교;이태우;정진교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연약지반처리위원회 학술세미나
    • /
    • pp.14-22
    • /
    • 1999
  • Daylight collapse have been occurred by about 6.$^{0}$ m deep at ground surface which connected to the ground surface and excessive overbreak have been occurred by the space and height of 3.$^1$~6.$^2$m at crown head part of the tunnel during tunnelling of lower-half part after completing upper-half part on tunnelling of a phyllite mountain by NATM method at the construction work of two way-double track national road. This study is a successful illustration case of earth improvement by confirming structural safety of the tunnel in a whole through solving the cause of the tunnel collapse and the work have completed successfully through applying such earth strengthening method as cement mortarㆍcement milk injection, S.G.R, steel pipe reinforced multi-step grouting etc.

  • PDF

최악의 대기 조건 하의 공기조력 비행선 운전 (Aeroassisted Orbital Maneuvering in a Worst-Case Atmosphere)

  • 이병수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6권10호
    • /
    • pp.936-941
    • /
    • 2000
  • Advanced space transportation systems, such as the National Aerospace Plane or an Orbital Transfer Vehicle, have atmospheric maneuvering capabilities. For such vehicles the use of aeroassisted orbital transfer from a high Earth orbit to a low Earth orbit, with unpowered flight in the atmosphere, has the potential for significant fuel savings compared to exoatmospheric Hohmann transfer. However, to exploit the fuel savings that can be achieved by using the Earths atmosphere to reduce the vehicles energy, a guidance law is required, and it must be able to handle large unpredictable fluctuations in atmospheric density, on the order of ${\pm}$50% relative to the 1962 US Standard Atmosphere. In this paper aeroassisted orbital transfer is considered as a differential game, with Nature controlling the atmosphere density to yield a worst case (min-max fuel required) atmosphere, from which the guaranteed playable set boundary are achieved. Inside the playable set, it is guaranteed that the vehicle achieves the optimal atmospheric exit condition for the minimum fuel consumption regardless of the atmospheric density variations.

  • PDF

아리랑 2호와 우주파편간의 충돌가능성 분석 (Statistical Conjunction Analysis between KOMPSAT-2 and Space Debris)

  • 정인식;최수진;정대원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8-85
    • /
    • 2012
  • 우주파편이란 지구궤도에 있는 인간이 만든 물체 중 더 이상 유용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물체를 말한다. 우주파편은 1957년 인류가 우주에 위성을 보내기 시작한 이후로 그 숫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미 전략사령부(USSTRATCOM, United States Strategic Command)에 의하면 10cm 이상의 우주파편이 15,000개 이상이라고 알려지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이 자국의 위성을 미사일로 요격시킨 사건과 미국 Iridium 33 위성 및 러시아 Cosmos 2251 위성이 우주상공에서 서로 충돌한 사건이 발생함에 따라 아리랑 2호가 운영중인 저궤도에서의 우주파편 환경이 나빠졌다. 본 논문에서는 우주파편이 아리랑 2호에 근접하는 회수 및 최소근접거리에 따른 최대충돌확률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특히 아리랑 2호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우주파편을 식별 및 분석하여 해당 우주파편을 지속적으로 감시 할 수 있게 하였다.

우주파편 충돌분석을 위한 CSM 궤도데이터 분석 (An Analysis of CSM orbit for Conjunction Assessment of Space Debris)

  • 최수진;김해동;정옥철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64-171
    • /
    • 2013
  • 우주파편은 1957년 인류가 우주에 위성을 보내기 시작하면서 그 숫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미합동우주전략사령부(JSpOC, Joint Space Operations Center)에 의하면 지름 10cm 이상의 우주파편이 22,000개 이상이라고 알려지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이 자국의 위성을 미사일로 요격시킨 사건과 Iridium 33 및 Cosmos 2251 위성이 우주상공에서 서로 충돌한 사건이 발생함에 따라 아리랑 2호가 운영 중인 저궤도의 우주환경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미합동우주전략사령부는 15,000개 이상의 우주파편의 궤도정보를 이용하여 운영위성과의 충돌분석을 수행하고 있으며, 충돌 위험이 발생할 경우 해당 위성의 운영자에게 CSM(Conjunction Summary Message)이란 형식의 메시지를 제공하여 충돌분석 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본 논문은 JSpOC에서 제공하는 CSM의 아리랑2호 궤도데이터와 항우연이 관리하는 아리랑 2호의 정밀궤도 데이터와 비교하였으며, 아리랑 2호와 우주파편과의 충돌분석 결과를 도시하였다.

학생의 과제에 대한 태도와 사고력에 따른 문제공간의 형성과 정교화 (Creation and Elaboration of Problem Space Depending on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Task and Thinking Skills)

  • 김경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41-151
    • /
    • 2009
  • 탐구는 학교과학에서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하지만 학교에서 주어지는 문제는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고 부딪치는 문제들과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문제에 대한 인지도식을 거의 갖고 있지 않을 때, 과제에 대한 태도와 사고력이 문제해결과정, 특히, 문제공간의 형성과 정교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미국의 한 영재센터 여름방학 프로그램 중 4-6학년 영재학생 대상 '레고 로봇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을 추적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과제의 선택과 파악방법, 작동자에 대한 인식의 차이 등 과제에 대한 태도는 서로 다른 문제공간을 형성하게 하였다. (2) 분석적 사고, 융통성, 효율적인 정교화 기술, 기존 인지도식의 적용 등의 사고력의 수준 차이는 문제공간의 정교화 차이와 문제해결의 성공여부로 이어졌다. (3) 초기의 문제공간의 차이는 문제해결전략의 형성 차이를 가져왔지만, 사고력 없이는 효과적인 문제해결전략의 정교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탐구를 증진시킬 몇 가지 사항이 제안되었다.

KMTNET: A NETWORK OF 1.6 M WIDE-FIELD OPTICAL TELESCOPES INSTALLED AT THREE SOUTHERN OBSERVATORIES

  • KIM, SEUNG-LEE;LEE, CHUNG-UK;PARK, BYEONG-GON;KIM, DONG-JIN;CHA, SANG-MOK;LEE, YONGSEOK;HAN, CHEONGHO;CHUN, MOO-YOUNG;YUK, INSOO
    • 천문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7-44
    • /
    • 2016
  • The 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 (KMTNet) is a wide-field photometric system installed by the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Here, we present the overall technical specifications of the KMTNet observation system, test observation results, data transfer and image processing procedure, and finally, the KMTNet science programs. The system consists of three 1.6 m wide-field optical telescopes equipped with mosaic CCD cameras of 18k by 18k pixels. Each telescope provides a 2.0 by 2.0 square degree field of view. We have finished installing all three telescopes and cameras sequentially at the Cerro-Tololo Inter-American Observatory (CTIO) in Chile, the South African Astronomical Observatory (SAAO) in South Africa, and the Siding Spring Observatory (SSO) in Australia. This network of telescopes, which is spread over three different continents at a similar latitude of about -30 degrees, enables 24-hour continuous monitoring of targets observable in the Southern Hemisphere. The test observations showed good image quality that meets the seeing requirement of less than 1.0 arcsec in I-band. All of the observation data are transferred to the KMTNet data center at KASI via the international network communication and are processed with the KMTNet data pipeline. The primary scientific goal of the KMTNet is to discover numerous extrasolar planets toward the Galactic bulge by using the gravitational microlensing technique, especially earth-mass planets in the habitable zone. During the non-bulge season, the system is used for wide-field photometric survey science on supernovae, asteroids, and external galaxies.

Critical Design Status of the G-CLEF Flexure Control Camera

  • Oh, Jae Sok;Park, Chan;Kim, Kang-Min;Chun, Moo-Young;Yu, Young Sam;Lee, Sungho;Kim, Jihun;Nah, Jakyoung;Szentgyorgyi, Andrew;Podgorski, William;Evans, Ian;Mueller, Mark;Uomoto, Alan;Crane, Jeffrey;Hare, Tyson
    • 천문학회보
    • /
    • 제42권1호
    • /
    • pp.34.1-34.1
    • /
    • 2017
  • The GMT-Consortium Large Earth Finder (G-CLEF) is the very first light instrument of the Giant Magellan Telescope (GMT). The instrument is a fiber feed, optical band echelle spectrograph that is capable of extremely precise radial velocity measurement, and has been being developed through the international consortium consisted of five astronomical institutes including Smithsonian Astrophysical Observatory (SAO), Observatories of the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OCIW), and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The Preliminary Design Review (PDR) for the G-CLEF was held in Cambridge, Massachusetts in April 2015. It is scheduled to have Critical Design Review (CDR) in March 2018. Flexure Control Camera (FCC) is one of the KASI's major contributions to the G-CLEF project. In this presentation, we describe the current critical design status, and structural and thermo-elastic analyses results on the G-CLEF FCC.

  • PDF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물체 충돌위험 관리시스템 개발 및 운영현황 (Development and Operation Status of Space Object Collision Risk Management System for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ARI) )

  • 성재동;정옥철;정유연;송새한
    • 우주기술과 응용
    • /
    • 제3권3호
    • /
    • pp.280-300
    • /
    • 2023
  • 본 논문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운영 중인 우주물체 충돌위험 관리시스템의 개발 및 운영 현황을 포함하고 있다. 현재 저궤도위성 6기, 정지궤도위성 3기에 대해 24시간 충돌위험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필요 시 충돌회피기동을 통해 충돌위험을 완화하여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2007년 중국의 자국위성 요격실험 이후 본격적으로 우주물체와 운영위성 간 충돌위험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다양한 충돌위험 관리시스템을 개발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2007년 이후 현재까지 개발된 우주물체 충돌위험 관리시스템에 대한 소개, 현재 지구주변의 인공우주물체 현황, 현재 운영 중인 시스템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나아가 앞으로의 전망과 향후 계획에 대해 소개하였다.

SpaceEye-1 위성의 구조체 설계 및 해석 (Design and Analysis of Structure for SpaceEye-1)

  • 전재성;정수민;최웅;강명석;정연황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57-264
    • /
    • 2015
  • 쎄트렉아이에서 개발 한 SpaceEye-1 위성의 구조체는 가혹한 발사 및 궤도 환경에서 다양한 지구 관측 임무를 수행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논문은 SpaceEye-1 위성 개발과정 동안 수행한 구조설계와 해석의 방법론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위성 구조체는 발사환경 하에서 정/동적 하중을 견딜 수 있게 설계하였을 뿐 만 아니라 주 탑재체와 부분체를 보호하도록 설계하였다. 구조 설계 요구사항은 개발 초기부터 발사체, 탑재체와 부분체의 요구사항으로 부터 도출되었다. 3차원 설계는 구조체의 기하학적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용되었고, 유한요소해석은 구조체가 발사체와 탑재체로부터 도출 된 기계적인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확인 하는데 적용하였다.

우주잔해 손해에 대한 국제책임 (International Liability for Damage Caused by Space Debris)

  • 김동욱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3-205
    • /
    • 2008
  • 우주잔해는 제도상에서 운용되고 있는 인공위성 및 우주선 등에 빈번히 손해를 야기하고 있으며 때로는 지구상으로 떨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잔해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타국의 우주물체 및 지상 손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 국제법 체계에서는 미확인 우주잔해로 인한 손해뿐 아니라 확인이 가능한 우주잔해로 인한 손해에 대해서도 구제 받는 것이 쉽지 않다. 이것은 우주잔해로 인한 손해에 대해서 명확히 규정하고 있는 법규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책임협약의 일부 내용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법체계를 세우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우주물체를 새롭게 정의하면서 우주잔해를 포함해야 하고, '발사' 개념을 좀 더 명확히 하여 발사의 범위를 특정해야 한다. 또한 우주잔해 손해의 책임 주체를 등록 전과 등록 후로 나누어서 등록 전에는 발사국들이 공동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책임을 지고 등록 후에는 등록국 내지는 소유국이 책임을 지도록 해야 한다. 타국의 우주물체에 대한 손해배상체계도 현재의 과실책임에서 '절대책임'으로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우주잔해에 의한 손해에 대해서는 그 과실이 있다고 해도 그 입증이 쉽지 않고 또한 그 잔해가 과실이 아닌 정상적인 우주활동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현 책임협약상의 과실책임을 부과하기가 어려우므로 지상 제3자 손해에 대한 책임과 마찬가지로 '절대책임'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확인' 잔해에 의한 손해를 입는 경우에 대한 구제방안으로서 보험, 우주배상기금의 조성, 시장점유율책임이론의 도입 등을 제시했는데 책임협약의 개정 또는 별도의 국제조약 등을 통해 규정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도 앞으로 천문학적인 가격의 인공위성을 다량 보유하게 될 것인데, 점점 증가하는 우주잔해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만약 우주잔해로부터 우리의 인공위성이 피해를 입게 된다면 위성 자체의 손해 뿐 아니라 운용상의 장애 및 기능 불능으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이 막대하다 할 것이다. 결국 손해배상을 받지 못하면 우리는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떠안을 수밖에 없고 그것은 국민의 세금과도 연결되어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도 우주잔해에 의한 손해를 구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하루 속히 국제적으로 합의가 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