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maturing soybean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5초

파종일 변경이 기후변화 조건에서 곡물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hifting Planting Date on Cereal Grains Production under the Projected Climate Change)

  • 김대준;노재환;김정곤;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6-39
    • /
    • 2013
  • 신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예상되는 미래환경조건에서 기존의 작부체계로는 여러 작목 및 품종에서 수량 감소가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재배기술 중 하나인 파종시기 이동이 주요 식량작물의 수량 변동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작물모형에 의해 전망하였다. 현재기후조건에 맞는 기존 재배기술을 고수하였을 때 예상되는 미래의 생육 및 수량추세를 대조구로 두고, 파종 혹은 이앙시기를 7, 14, 21일씩 단축 및 지연하여 모의한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벼의 경우 조생종은 조기파종에 의해, 중만생종의 경우 지연파종에 의해 수량저하 현상을 어느정도 완화시킬 수 있었다. 기존 작부체계에서도 지구온난화에 의해 증수가 예상되는 겨울보리의 경우 조기파종에 의해 추가적인 증수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콩은 조기파종으로 인한 증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으나, 그 정도는 보리에 비해 적었으며, 파종일 지연 시감수현상이 발생하였다.

씨고자리파리(Delia platura (Meigen))에 의한 대두의 피해정도와 생산성 변화 (Delia platura (Meigen) as a Soybean Insect Pest)

  • 김태홍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4-181
    • /
    • 1992
  • 씨고자리파리(Delia platura) 유충의 피해가 차후 대두 생육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상생태형별로 조사하고 또 해충종합관리의 방안으로서 토양내 유기물함량, 토양의 종류, 피복등과 피해정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콩 초생단엽의 피해로 영양생장이 지연되었는데 일장에 의해 유도되는 개화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인위적으로 적엽한 구 보다는 충접종에 의한 피해구에서 생육지연 현상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초생단엽 피해 외에 지하 경.근부가 함께 피해를 받은 때문이었다. 생산량은 초생단엽이 25% 피해를 받은 구부터 크게 감소하였다. 콩의 출현속도는 무피복구에 비해 피복구에서 빨랐는데 투명비닐의 촉진 효과가 가장컸다. 식양토와 식토구에서 재배한 콩의 피해가 적었으며 토양내 부엽토 함량이 증가하면 출현속도가 빨라져 초생단엽의 피해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콩의 생육, 근류형성, 질소고정에 있어서 품종간 차이 I. 등숙단계별 각 기관 건물중 및 질소고정활성의 경시적 변화 (Studies on Varietal Differences in Growth, Nodulation and Nitrogen Fixation in Soybeans, Glycine max (L.) Merrill I. Changes in nitrogen fixation activity and dry weight of plant organs during reproductive stage)

  • 김석동;홍은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23-329
    • /
    • 1987
  • 본 연구는 생태적 생리적 특성이 다른 5 콩 품종, 즉 조숙성의 예계7003. SS 79168 및 만숙성의 동북 7006. 백운콩, 장백콩을 공시하여 일본국 농업생물자원연구소 질소고정연구실 망실에서 진행하였으며, 등숙기간 중 체내성분의 영양생리학적인 관점에서 질소고정활성과의 관련성을 해명하기 위하여 Acetylene 환원능(ARA) 등 각종 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공시품종 중 예계 7003는 노화가 지연되는 특성(delayed leaf senescence, DLS)을 갖는 품종이 다. 조사는 Fehr et al. (1977)의 콩 생육단계의 구분에 따라서 협신장기( $R_4$), 입비대기( $R_{6}$), 성숙시기( $R_{7}$) 등과 일부품종은 착협시( $R_3$) 및 $R_{4.5}$, $R_{6.5}$, $R_{7.5}$와 같은 중간적 생육단계에도 보족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얻어진 결과 중 질소고정활성의 경시적 변동과 각 기관 건물중과의 관계를 우선 보고하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의 질소고정활성을 Acetylene 환원법으로 측정한 결과 pot당 Acetylene 환원능(p-ARA)은 공시품종 모두 $R_{6}$에서 최고에 달한 후 급속히 저하하였다. 근류중당 Acetylene 환원능(s-ARA)은 조숙성 품종에서는 $R_4$~ $R_{4.5}$에서 최고에 달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만숙성 품종에서는 $R_{6}$까지 상승하고 기후 급속히 감소하였다. 근류중 및 숙주 각 기관의 건물중은 생육 각 단계 모두 숙기가 늦은 품종에서 커서 p-ARA도 만숙성 품종에서 높았다. 2. p-ARA와 각 기관 건물중은 모두 높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표준신회귀계수에 의한 상대적 기여도에서 보면 엽 > 근류 > 자실의 순으로 정의 효과를 나타내고, 협곡, 근, 경은 부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3. 성숙시기에 있어서 지상부 총중 및 종실중은 조숙종에서 그 Biomass가 작았으나 수확지수와 근류/지상부 총중비는 조숙종이 만숙종에 비하여 높고, 특히 DLS인 예계 7003는 타 공시품종보다 높았다.수와 근류/지상부 총중비는 조숙종이 만숙종에 비하여 높고, 특히 DLS인 예계 7003는 타 공시품종보다 높았다.

  • PDF

Comparis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colored soybean landraces and selection of useful genetic resources

  • Choi, Yu Mi;Hyun, Do-Yoon;Lee, Sukyeung;Yoon, Hyemyeong;Lee, Myung-Chul;Oh, Sejong;Ko, Ho-Cheol;Rho, Nayoung;Hur, On-Soo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41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gronomic traits of well-known colored native soybean germplasms. Recently, we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colored as various functional ingredient of soybeans have revealed. We used a total of 396 soybean genetic resources, consisting of ten "Seonbijabikong", 110 "Jyinunikong", 276 "Seoritaekong". We sowed on 10th June 2018 at the field of Nongsaensmyeongro in Jeonju city. The average number of days to flowering, days to maturing and days to growth of colored soybean were 53, 84 and 136 days, respectively. Days to flowering of "Seonbijabikong" were ranged from 41 to 50 days with an average 48 days, those of "Jyinunikong" were ranged from 39 to 72 days with an average 52 days. Days to flowering of "Seoritaekong" were ranged from 35 to 63 days with an average 54 days, which were earlier in "Seonbijabikong", and similar with "Seoritaekong" and "Jyinunikong". Days to growth of "Seonbijabikong" were ranged from 125 to 137 days with an average 132 days, those of "Jyinunikong" were ranged from 91 to 144 days with an average 130 days and those of "Seoritaekong" were ranged from 99 to 150 days with an average 139 days. they were shortest in "Jyinunikong" and longest in "Seoritaekong". The distribution of maturity period was from 6th September to 5th November. The maturity period was as early as September and yields were more than 100g per plant, which were all three accessions(IT161905, IT162602, IT269617), "Seoritaekong". They would be useful as breeding materials of colored soybean with early maturity. The 100-seed weight is important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the usage of soybeans. "Seoritaekong" and "Seonbijabikong" have large seed characteristics for cooking with rice, "Jyinunikong" has small seed it for medicine. The average 100 seed weight was 35.0g of "Seonbijabikong", 30.8g of "Seoritaekong" and 13.4g of "Jyinunikong", respectively. As for seed coat lust, the ratio of dull was as high as 100% of "Seonbijabikong" and 91% of "Seoritaekong", that of shiny was as high as 77% of "Jyinunikong". Cotyledon color of "Seonbijabikong" were all yellow, that of "Seoritaekong" were 94% of green. The other name of "Seoritaekong" is "Sokcheong", which means that cotyledon color is green. Therefore if cotyledon color of Seoritaekong is not green, it might be misidentified. In the future, we will increase the utilization through evaluation of functional component such as isoflavones and anthocyanins of colored soybean landraces.

  • PDF

남부지역에서 콩의 적기파종 대비 후기 파종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and Yield of Soybean on Late-Sowing Compared to Optimal Sowing in the Southern Region of South Korea)

  • 김예린;김종혁;노일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61-69
    • /
    • 2024
  • 남부지방(진주)에서 콩 생태형에 따라 적기파종 이후 파종 시기를 달리하였을 때 온도와 일장이 생육일수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적기파종 이후 파종시기를 달리하여 파종하였을 때 모든 생태형에서 출현일, 개화소요일수, 전체 생육일수는 단축되었다. 2. 일장과 온도가 생육일수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파종~개화기까지 소요일수는 일장과 온도 모두 정의 상관이였고, 개화기~수확기까지 소요일수는 일장은 정의 상관, 온도는 부의 상관이 있었다. 3. 추정 회귀모형은 파종~개화까지 소요일수(Y) = 3.177 + (0.030 × (누적일장 + 적산온도)), 개화기~수확기까지 소요일수는 (Y) = 20.945 + (0.021 × (누적일장+적산온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수량은 적기파종에서 가장 높았고 적기파종 이후 늦게 파종할수록 수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조생종은 7월 20일, 중만생종은 7월 10일 이전까지는 파종을 해야 급격한 수량감소를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풋콩의 생육시기별 베노밀 처리가 미이라 감염율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nomyl Applications on Phomopsis Infection and Yields in Vegetable Soybean)

  • 노재환;김율호;김홍식;김명기;이길복;김석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99-305
    • /
    • 1997
  • 풋콩에서 문제시되는 미이라병의 꼬투리 리병 및 종실감염을 줄이기 위해 포장에서 베노밀을 생육 시기별로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베노밀 처리에 따라 미이라병반이 없는 풋콩의 건전 꼬투리비율은 R5기 1회처리와 R4+R5기 2회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2. 건전 꼬투리비율은 주경보다 분지에서, 그리고 상위부가 하위부보다 높았다. 3. 종실의 미이라리병입율은 베노밀 처리에 따라 감소되었고, R6기 1회처리와 R4.+R6기 2회처리에서 낮았다. 4. 베노밀 처리에 다라 건전 꼬투리 및 종실비율이 높아져서 건전 꼬투리수량은 34∼76% 그리고 종실수량은 51∼98% 증수하였다.

  • PDF

대두생력재배(大豆省力栽培)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대두(大豆)의 만파밀식재배(晩播密植栽培)에 있어서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이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Labour Saving culture of Soybean (II) -The Effect of Nifrogen Fertilization Amount on the Growth and Grain Yield of Densely and Lately Seeded Soybean)

  • 최창렬;김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1권1호
    • /
    • pp.27-33
    • /
    • 1974
  • 본시험(本試驗)은 대두생력재배(大豆省力栽培)의 일환(一環)으로 만파밀식재배(晩播密植栽培)에 있어서 알맞은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기(發芽期)는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의 차이(差異)에 따라 아무런 변이(變異)도 나타내지 않았으나 개화기(開花期) 및 성숙기(成熟期)는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할수록 늦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2) 간장(稈長) 및 절간장(節間長)은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길어졌으며 경경(莖徑)은 반대(反對)로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가늘어 짐으로써 이들이 도복(倒伏)을 초래(招來)하는 원인(原因)이 되었다. 3) 주당협수(株當莢數)는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소(減少)되었으며 1,000입중(粒重)도 또한 같은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4) 10a당(當) 수량(收量)은 품종간(品種間)에는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으나 처리간(處理間)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그러나 조생종(早生種)인 품종(品種)(충북백(忠北白))은 극만파재배(極晩播栽培)(7월(月)5일(日)파종(播種))인 경우(境遇)도 10a당(當)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을 6kg 수준(水準)으로 증시(增施)함으로서 수량(收量)의 증가(增加)를 초래(招來)할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Planting Dates 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Cultivated in Drained-Paddy Field

  • Cho Jin-Woong;Lee Jung-Joon;Kim Choong-S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25-330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adequate planting date, to compare the growth characteristics between early and late maturing cultivars, and to provide the data for the cultivation techniques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in double cropping system with winter crops on paddy field in Korea. Cultivars were planted on 26 May, 16 June, and 7 July with a planting density of $70cm(row\;widtb)\;{\times}\;10cm$ (planting spacing). Seed yield of soybean planted on June 16 and July 7 was approximately $37\%\;and\;53\%$, respectively, less than that of conventional planting date of May 26 in Pungsan-namulkong, and planted on June 16 and July 7 was about $30\%\;and\;37\%$, respectively, less then that of conventional planting date of May 26 in Hanamkong. The number of pods and seeds per plant decreased as planting date delayed. Seed weight increased in Pungsan-namulkong but decreased in Hannamkong as planting date delayed. The flowering date was late in delayed planting plots, but it was shorted for days from emergence to flowering and from emergence to maturity. The plant height of Hannamkong was greater than Pungsan-namulkong from the emergence to flowering stages, but in contrast, it was greater in Pungsan-namulkong than Hannamkong after flowering stage (50d after emergence) when it planted on May 2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soybean cultivars at planting dates of June 16 and July 7. Leaf number, leaf area, and dry matter were also reduced by late planting, and Both of them were shown in high reduction at the later planting. There was a high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flowering $(r\;=\;0.87^{**})$ and pod formation $(r\;=\;0.91^{**})$ stages between leaf dry matter and seed yield. Crop growth rate (CGR) was greater at $R2\~R3$ growth stages compared to $R3\~R4\;or\;R4\~R5$ growth stages in two soybean cultivars and the greatest CGR was obtained at planting date of May 26 in two soybean cultivars except for R4-R5 growth stage in Pungsan-namulkong.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difference between the seed yield and the leaf area index (LAI) across R3 to R4 and R2 to R3 stages. The photosynthetic rate $(P_N)$ of the uppermost leaf position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lanting dates and between two soybean cultivars. However, $P_N$ of the $7^{th}$ leaf position increased as the planting date delayed.

경기북부지역 콩 생산에 미치는 지구온난화의 영향 (Geographical Shift of Quality Soybean Production Area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by Year 2100)

  • 서희철;김성기;이영수;조영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42-249
    • /
    • 2006
  • 육상생태계에 나타날 수 있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생태계모형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작물생육모형의 경우 포장단위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기후변화정보만 적절한 공간단위로 제공된다면 경관규모에서 상세한 공간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경기북부지역은 청정환경과 함께 고품질 콩 재배에 알맞는 기후지대이지만 기후변화에 의해 이 지역 내 콩 재배단지가 어떤 영향을 받을지 궁금하다. 향후 100년간(2011-2100) 예상되는 기후조건에서 선발된 10ha 이상 규모의 342개 단지를 대상으로 CROPGRO-Soybean에 의해 조중만생 콩 품종의 생육을 모의하였다. 이를 위해 3개 기후학적 평년(2011-2040, 2041-2070, 2071-2100)에 대해 월별 30m 격자형 기후변화 자료로부터 각 재배단지의 일 최고 및 최저 기온, 강수량, 강수일수, 일사량을 추출하고, 각 평년별로 일기상자료를 통계학적 방법에 의해 무작위로 30년치씩 생성하였다. 미래 3개 평년의 기상자료에 의해 생육모형을 구동하여 342개 재배단지의 생장, 발육, 수량특성을 모의한 결과 온난화가 진행될수록 콩의 개화기와 성숙기가 단축되며, 전체적인 생육기간은 $7{\sim}9$일 정도 줄어들었다. 수량은 조중생종의 경우 온난화에 따라 $1{\sim}15%$ 정도 감소하였는데 반해 만생종은 증가 후 감소하였다. 그 결과 현존하는 재배구역의 남북간 생산성 차이가 미래에는 크게 감소하거나 품종에 따라 역전되는 현상이 기대된다.

대두품종의 주요 특성변이 I. 파종기에 따른 변이 (Variation of Major Characters in Soybean Varieties I . Effects of Seeding Date)

  • 이성춘;최경구;김진호;장영남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40-448
    • /
    • 1989
  • 우리나라의 남부해양지방에서 국내 대두의 재래종 88품종과 육성종 30품종을 공시하여 파종기가 주요 형질 및 입종변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가 5월 1일에서 7월 15일까지 15일 간격으로 늦어짐에 따라 개화일수는 단축되었으며 개화시엽수, 경자 및 주경절수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써는데 품종의 조만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2. 입중은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특히 조·중생종에서 뚜렷하였다. 3. 파종기 이동시 입중과 개화일수, 개화시엽수, 경장, 주경절간에는 정의 유의상관이 있었고 그 중 개화시 엽수와의 상관이 가장 높았다. 4. 파종기 이동에 따른 입중의 변이 양상을 5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1)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입중이 점차 감소하는 제I유형, 2) 파종이 지연되어도 변화가 거의 없는 제II유형, 3) 파종이 늦어지면 증가하는 제III유형, 4) 파종이 늦어지면 점차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제IV유형 및 5) 파종이 늦어지면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제V유형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