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arning system evaluation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9초

기업 e-Learning 품질 보증 관리 개선 방안 연구 (e-Learning Quality Assurance System in Corporate Education)

  • 나현미;류성열;김종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11-128
    • /
    • 2007
  •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analyze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e-Learning quality assurance system on e-Learning contents and service provider(institutes) in the field of enterprise educ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 is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strategies for revising and developing the system. The research put emphasis on two systems of the e-Learning quality assurance(contents, service provider) which directly influence financial support of government. This study depended mostly on literature review, supplemented by expert panel meetings. In the case of the quality assurance system on e-Learning contents,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1)admitting the contents made of the combination of modules in the approved module set, (2)making easier the qualifying of modified contents for maintenance, (3)revising evaluation criteria, (4)providing substantial feedback. In the field of service provider, the followings are requested; (1)differentiating of qualifying system by industry and scale of company, (2)extending the qualifying cycle, (3)improving the feedback and sharing system.

e-Learning 소프트웨어의 품질평가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e-Learning Software Quality Evaluation Model)

  • 이경철;이하용;양해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09-323
    • /
    • 2007
  • 최근 급격히 확산된 광역 인프라를 기반으로 탄생된 e-Learning 은 학교에서의 교육혁신 및 사회에서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새로운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주요 핵심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e-Learning 소프트웨어의 기반 기술의 특성을 분석하고 e-Learning 소프트웨어의 품질시험 및 평가를 위한 품질특성을 분석하여 e-Learning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국제 표준을 도입하여 e-Learning 소프트웨어에 대한 품질평가 체계를 확립하고 품질평가를 위한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품질평가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경쟁력 있는 e-Learning소프트웨어 제품의 개발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

ISO 품질평가 체계를 적용한 이러닝 소프트웨어의 사용성 품질평가 기준 (Usability Quality Evaluation Criteria of e-Learning Software Applying the ISO Quality Evaluation System)

  • 이하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239-245
    • /
    • 2018
  • 지금까지 이러닝 소프트웨어 평가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관련 표준에 따라 체계화된 형태가 아닌 연구자의 시각에서 제시된 분류에 따라 주관적인 평가 기준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평가 관련 표준도 실질적인 활용을 위해 지속적으로 보완되고 있으므로 이에 부합하는 평가 기준의 마련을 통해 평가 근거의 확보 및 체계화가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소프트웨어의 품질평가 기준을 구축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제품평가 표준인 ISO/IEC 25000 시리즈의 품질특성 중 사용성에 관한 체계를 근간으로 하고 이러닝 소프트웨어의 품질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체계화하여 사용성의 부특성에 따른 평가 기준을 구축하였다. 본 평가 기준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관련 최신 표준화 동향을 반영한 이러닝 소프트웨어 평가기준을 구축하여 실질적인 활용도를 제고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향후 이러닝 소프트웨어의 품질평가 및 인증에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닝 협동학습 평가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Collaborative e-Learning Evaluation Model)

  • 오양가 체렝검버;이길흥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35-144
    • /
    • 2015
  •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evaluation model that enables cooperative learning using e-Learning system. Even if the teacher and the student are not in the same place at the same time, the team project deliverable submitted by the student to the online system can be viewed by the teacher, enabling the teacher to assess the student not only based on the project but also in many other aspects. The proposed e-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model allows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factors, using such factors in assessment of the student's activities which are performed through the e-learning system, and the feedback of the results to the student so that the student is further motivated for learning. The teacher performs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such factors, which is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the student's assessment. Implementing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n various e-learning systems such as Moodle is expected to motivate the student for learning, produces better cooperative learning results, provides greater convenience of assessment to the teacher, and improves fairness of assessment by showing the student's activities in real time.

e-러닝 시스템의 교수-학습 기능 지원을 위한 명세화된 참조 모델 (The Specified Reference Model for Supporting a Teaching&Learning Function of the e-Learning System)

  • 이우범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3-31
    • /
    • 2009
  • e-러닝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교수-학습 기능의 지원 정도는 학습효과 향상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e-러닝의 기획, 개발, 운영, 평가 등에 있어서 시스템이 지원하는 기능에 기반 한 명세화된 참조 모델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의 e-러닝 시스템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 기능 지원을 위한 명세화된 참조 모형을 제안한다 제안한 명세화된 참조 모형의 유효성은 e-러닝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해서 검증한 결과, 이전의 e-러닝 시스템보다 $11%{\sim}23%$의 효율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안 모델의 활용성 검증을 위해서 기존의 e-러닝 시스템을 참조 모형에서 제시된 교수-학습 기능의 지원 정도에 따라서 사전 평가한 결과, 실제 해당 사이트를 경험한 수요자들의 서비스 요구도에 의한 만족도와 부합하는 결과를 보였다.

  • PDF

The Effects of Sign Language Video Location in e-Learning System for the Hearing-impaired

  • Muhn, Seung Ho;Jung, Kwang Tae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97-607
    • /
    • 2015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ign language video location in e-learning system for the hearing-impaired. Background: E-learning education is a good way to resolve the inequality of education for the disabled. Providing a sign language video in e-learning education for the hearing-impaired is very important for their learning. Although the location of sign language video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sign of the video, the effect of its location in learning using the e-learning system was not studied. Method: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sign language video location on the learning of the hearing-impaired using the e-learning system, the prototypes of the system with different locations were developed. Eighteen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Learning presence,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used to measure learning effects with sign language video location. Results: Bottom right position was more preferred through preference evaluation for sign language video location. The learning effect with sign language video location (bottom-left and bottom-right) was not significant. That is, the effects of learning presence, immersion, and satisfac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video location. Conclusion: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have to be considered in e-learning system design for the hearing-impaired. Although the location of a sign language video is not a significant factor from the experiment, the bottom right position in the design is proposed because learning presence and satisfaction is slightly higher at the bottom right position, and the position is preferred from subjective evaluation. From the analysis of interview data, it was also proposed that the design of a sign language video should be improved for the hearing-impaired. Appli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e-learning system design for the hearing-impaired.

서비스 기반의 e-러닝 평가관리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Learning Evaluation Management based on the Service Science)

  • 이상준;조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2호
    • /
    • pp.217-228
    • /
    • 2010
  • e-러닝 분야에 두가지 흐름이 있다. 첫째는 정보시스템을 포함한 제품들이 서비스와의 연계를 통해 새로운 가치 창출을 시도하고 있다. 둘째는 서비스를 체계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프로세스로 사용한다. 서비스 시스템은 사람, 기술, 가치명제, 내/외부 서비스 시스템(네트워크), 공유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서비스 프로세스는 설계, 개발, 운영, 평가의 4가지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e-Learning 학습평가관리를 위하여 서비스 기반의 e-Learning 서비스 평가 체계를 설계하고 구축하였다. 평가관리시스템의 구성은 크게 평가유형관리, 총평관리, 수상관리, 평가지관리, 평가결과지관리로 되어있다. 본 논문의 특징은 학습자, 보호자, 평가자의 서로 다른 평가기준에 맞춰 평가를 설계할 수 있도록 서비스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의 중요한 가치는 평가업무를 쉽게 체계화 시키고 명확하게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지향 환경을 구축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PDF

스마트폰 환경에서의 e-learning 플랫폼의 구축 (Construction on e-learning Platform of Smart Phone Environment)

  • 표성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25-132
    • /
    • 2012
  • 최근 스마트 폰을 활용하여 다양한 학습 콘텐츠들이 구축되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대학에서 e-learning을 수행에 관한 전반적인 추세와 동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시스템은 스마트 포털, 학습관리시스템(LMS), 그리고 학습컨텐츠관리시스템(LCMS)으로 구성된 e-learning 플랫폼으로 구축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e-learning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구현하였다. 학습관리시스템은 자격취득을 위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용한 평가 시스템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하였다.

지능형 가상 학습 시스템에서 학습 평가 모델의 퍼지적 접근 (Fuzzy Approach of Learning Evaluation Model in Intelligent E-Learning Systems)

  • 원성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55-63
    • /
    • 2005
  • 최근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초월하는 새로운 학습 환경으로 웹 기반 가상 학습 시스템이 각광을 받고 있다. 웹 기반 가상 학습 시스템 개발의 핵심은 어떻게 효과적으로 시스템을 사용하고 그 시스템을 사용한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평가하도록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오프라인 학습 시스템에서는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 평가를 위해 설계된 평가 문항을 학습자가 제한된 시간 내에 얼마나 많이 맞추었는지 헤아림으로써 학습자를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이들 시스템이 학습 성취도에서 차이를 보이는 모든 학습자에게 같은 학습 전략을 제공하기 때문에 가상 학습 시스템의 최대 강정이라고 할 수 있는 개별 학습을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퍼지 함축 이론을 이용하여 주어진 테스트 문항에 대한 응답 간의 관계를 찾고 이 관계를 퍼지 공관계라고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이 관계를 반영한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일정한 학습이 경과된 후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해 시험에 응시했을 때,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과 전통적인 평가 방법 간에 존재하는 차이점을 비교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 결과를 개별화 학습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한다.

  • PDF

맞춤 e-learning을 위한 컴퓨터 적응 진단 및 수업 체제 개발 연구 (A study for developing a system of computer adaptive diagnosis and instruction(CADI) for tailored learning under e-learning environment.)

  • 이중권;김성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3호
    • /
    • pp.291-307
    • /
    • 2004
  •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ing a system of computer adaptive diagnosis and instruction(CADI). This system is a conceptual model that connected learning with assesment by using new media such as computers, multimedia, and new technologies. In this conceptual model, adaptive diagnosis means tailored or customized diagnostic evaluation, and adaptive instruction implies tailored or customized instruction. The connection between learning and assesment suggests that they are closely related to determine following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methods. CADI's expected effect are 1) it can contribute to real learning of core concept, 2) it can enlarge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3) it can help students study by student himself and learn media literacy, 4) information for evaluation functions more essential roles, 5) it is possible to work cooperatively with any other school subje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