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arning Quality Manager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DACUM 직무 분석 기법을 통한 이러닝 품질 관리사의 직무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Task Model of e-Learning Quality Managers Based on the DACUM Method)

  • 류진선;김희필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10-19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DACUM 직무 분석 방법을 통하여 이러닝 품질 관리사의 직무를 분석하고 직무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DACUM 직무 분석을 위해 1명의 직무 분석가, 9명의 직무 분석 협조자, 1명의 서기, 1명의 실무자로 이루어진 DACUM 직무분석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품질 관리사의 직무는 7개의 임무(서비스 기획, 인프라 구축, 콘텐츠 개발, 서비스 운영, 서비스 평가, 품질 관리 행정, 전문성 계발)로 구성되었으며, 각 임무별 과업은 총 61개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러닝 품질 관리사의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14개의 지식, 21개의 기능 및 19개의 태도가 추출되었다. 둘째, 직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러닝 품질 관리사의 직무 능력 모형을 만들었다. 이 직무 모형은 이러닝 품질 관리사의 임무와 임무별 과업이 상호 연관성을 갖도록 논리적인 순서 등을 고려하여 DACUM 차트로 완성되었다.

이러닝 품질관리사의 자격 검정 체제 개발 (Development of an Examination System for a e-Learning Quality Manager's Certificate)

  • 류진선;문대영;이경순;김희필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1호
    • /
    • pp.35-4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xamination system for an e-learning quality manager's certificate which is composed of subjects, criteria, method of examination. The task model of e-learning quality manager was modify and task/knowledge/skill matrix was developed to design the examination system through conferences of DACUM committee and an advisory committee. And a survey was carry out to analyze validity of contents of the examination system. The major findings were as the follow: First, occupational specification, job specification, task specification and task/knowledge/skill matrix were developed. Second, examination subjects were developed based on task/knowledge/skill matrix, which were "Basis of e-Learning and plan of service", "Expulsion and management of e-learning infrastructure", "Development of e-learning contents", "Operation and evaluation of e-learning service". Third, the criteria and methods of examination for an e-learning quality manager's certificate were developed, which is composed of test type, the sum of test items, test time and acceptable standards.

ACTIVITY-BASED STRATEGIC WORK PLANNING AND CREW MANAGEMENT IN CONSTRUCTION: UTILIZATION OF CREWS WITH MULTIPLE SKILL LEVELS

  • Sungjoo Hwang;Moonseo Park;Hyun-Soo Lee;SangHyun Lee;Hyunsoo Ki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359-366
    • /
    • 2013
  • Although many research efforts have been conducted to address the effect of crew members' work skills (e.g., technical and planning skills) on work performance (e.g., work duration and quality) in construction proj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skill and performance has generated a great deal of controversy in the field of management (Inkpen and Crossan 1995). This controversy can lead to under- or over-estimations of the overall project schedule, and can make it difficult for project managers to implement appropriate managerial policies for enhancing project performance. To address this issue, the following aspects need to be considered: (a) work performances are determined not only by individual-level work skill but also by the group-level work skill affected by work team members, each member's role, and any working behavior pattern; (b) work planning has significant effects on to what extent work skill enhances performance; and (c) different types of activities in construction require different types of work, skill, and team composition. This research, therefore, develops a system dynamics (SD) model to analyze the effects of both individual-and group-level (i.e., multi-level) skill on performances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SD in capturing a feedback process and state changes, especially in human factors (e.g., attitude, ability, and behavior). The model incorporates: (a) a multi-level skill evolution and relevant behavior development mechanism within a work group; (b) the interaction among work planning, a crew's skill-learning, skill manifestation, and performances; and (c) the different work characteristics of each activity. This model can be utilized to implement appropriate work planning (e.g., work scope and work schedule) and crew management policies (e.g., work team composition and decision of each worker's role) with an awareness of crew's skill and work performance. Understanding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activity can also support project managers in applying strategic work planning and crew management for a corresponding activity, which may enhance each activity's performance, as well as the overall project performance.

  • PDF

자동차 신제품개발 관련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 분석 (A Study on the Competencies of Automotive Professional Engineers in Korea)

  • 김주영;임세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92-217
    • /
    • 2008
  • 차량기술사들은 자동차산업의 현장에서 신제품기획, 마케팅, 연구개발, 제조 및 관리 등의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이들의 전문 기술역량은 기업과 조직의 경쟁력을 증진시키는 원동력이다. 이 연구는 차량기술사들의 전문적 업무역량 특성과 중요도를 규명하여 자동차 기술 분야의 자격검정과 공학교육을 효율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세부 연구문제는 첫째, 전문가(차량기술사, 자동차 관련 전공 대학교수, 자동차 전문가)들은 추론된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별 중요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차량기술사의 업무역량에 관한 중요도 인식에 있어서 응답자의 소속집단(차량기술사, 자동차공학 전공 대학교수, 자동차 전문가)간에 차이가 있는가? 이다. 연구자들은 현직에 근무하고 있는 차량기술사 등 자동차 신제품 개발관련 전문가 협의 및 개인면담을 통해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을 추출한 다음, 차량기술사 108명, 자동차 및 기계공학전공 대학교수 49명, 기업체의 자동차 전문가 5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152명(72%)으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에 대한 설문지는 영역 및 항목별로 빈도 및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제동장치설계, 프로젝트진행리더십, 미래예측과 변화관리, 디젤엔진설계, 환경대책, 제품기획과 안전에 대한 기술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인사총무와 재무회계, 노무관리 등에 대해서는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업무영역평균의 집단별 중요도는 섀시설계영역, 엔진 변속기설계영역, 제품기획 마케팅영역, 자재 물류 품질관리영역, 디자인 차체 의장설계영역, 판매 정비 및 경영지원영역, 소재 및 엔진제조영역, 프레스 및 조립공장 제조 영역 순으로 나타냈다. 자동차개발업무관련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중 고객편익과 안전관련 신기술 응용력, 경쟁력 있는 신제품개발 능력의 중요도가 높았다. 응답집단별로는 교수집단이 타집단 보다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 평가 평균값이 높았고, 다음은 차량기술사, 차량전문가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