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time

검색결과 2,716건 처리시간 0.034초

Study to the Effect of Involutional Blepharoptosis Surgery Using Objective and Subjective Parameters

  • Asamura, Shinichi;Wada, Yoshitaka;Tanaka, Saiichi;Saika, Shizuya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4호
    • /
    • pp.473-478
    • /
    • 2022
  • Background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involutional blepharoptosis (IB) surgery based on dry eye symptoms by analysis using objective and subjective measures. Methods We recorded various parameters from patients that underwent levator advancement surgery for IB, totaling 125 eyes (total 65 patients, 5 unilateral, 60 bilateral). Subjective assessment comprised a questionnaire on dry eye-related quality of life score (DEQS), a summary score calculated from DEQS, and six-grade evaluation, the patient's own measure of eye comfort. Objective assessment comprised marginal-reflex distance-1 (MRD-1), measurement of tear film breakup time, and superficial keratopathy (SPK) existence by slit lamp microscope. Results Subjective assessments showed that IB patients had improvement of dry eye symptoms and eye comfort when surgery increased MRD-1. On the other hand, objective assessments showed that the presence of SPK is suspected when the postoperative MRD-1 level is 3 mm or higher. Conclusion IB surgery must not only increase MRD-1 value, but also to perform maintenance of the appropriate ocular surface condition. From our parameters, we suggest postoperative MRD-1 value should be maintained at < 3 mm to safe and effective of IB surgery.

Study on engineering properties of xanthan gum reinforced kaolinite

  • Zhanbo Cheng;Xueyu Geng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31권6호
    • /
    • pp.501-511
    • /
    • 2023
  • The strengthening efficiency of biopolymer treated soil depends on biopolymer type, concentration ratio, soil type, initial water content, curing time and mixing method. In this study,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xanthan gum (XG) treated kaolinite were investigated through compaction test, Atterberg limit test, triaxial test and unconfined compression t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ptimum water content (OWC) increased from 30.3% of untreated clay to 33.5% of 5% XG treated clay, while the maximum dry density has a slight increase from 13.96 kg/m3 to 14 kg/m3 of 0.2% XG treated clay and decrease to 2.7 kg/m3 of 5% XG treated clay. Meanwhile, the plastic limit of XG treated cla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XG concentration, while 0.5% XG treated clay can be observed the maximum liquid limit with 79.5%. Moreover, there are the ideal water content about 1.3-1.5 times of the optimum water content achieving the maximum dry density and curing time to obtain the maximum compressive strength for different XG contents, which the UCS is 1.52 and 2.07 times of the maximum UCS of untreated soil for 0.5% and 1% XG treated clay, respectively. In addition, hot-dry mixing can achieve highest UCS than other mixing methods (e.g., dry mixing, wet mixing and hot-wet mixing).

기온 70℃의 복사열 노출 환경에서 건조와 젖은 상태의 소방용 보호장갑 착용 시 쾌적성 평가 (Wear Comfort of Firefighters Protective Gloves in Dry and Wet Conditions at 70℃ Air Temperature with Radiant Heat)

  • 김다미;김도형;이주영
    • 한국생활환경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5-10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omfort functions while wearing firefighters' protective gloves in dry and wet conditions at $70^{\circ}C$ air temperature with radiant heat. Four types of firefighting gloves from Korea, Germany, United States, and Japan were evaluated in both dry and wet conditions by eight male firefighters. Firefighters put their hands and forearms wearing gloves into a hands-radiant chamber that maintained at an air temperature of $70{\pm}2^{\circ}C$ ($T_a$) and globe temperature $106^{\circ}C$ ($T_g$). During the exposure, subjects followed a fixed protocol of manual movements and stopped the exposure when they felt being intolerable. Results showed that completion time was extended by 6 min on average when gloves got wet and 15 min for the Japanese gloves was extended when compared to its dry condition (p<.001); microclimate humidity on the palm at the last stage was greater for wet conditions than dry conditions in the all gloves; and skin temperatures on mid-fingertip, palm, and hand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wet conditions than dry conditions especially for Japanese gloves (p<.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posure time without thermal pain to radiant heat could be extended by wetting gloves during the low radiant heat exposure.

젖소 분과 돈분 슬러리를 이용한 반 건식 혐기소화 효과 (Effect of Semi-Dry Anaerobic Digestion Using Dairy Cattle Manure and Pig Slurry)

  • 정광화;김중곤;이동준;이동현;전중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2호
    • /
    • pp.85-93
    • /
    • 2018
  • 톱밥 깔짚우사에서 채취한 젖소 분으로부터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효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반 건식혐기소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으로서 젖소 분과 돈분 슬러리 그리고 두 가지 축분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재료를 대상으로 메탄 발생 잠재량(BMP;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실험을 수행하였다. 혐기소화 실험기간 동안 발생된 메탄가스의 누적량은 젖소 분이 포함된 처리구에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실험으로서 깔짚우사에서 채취한 젖소 분을 단독으로 소화조에 투입하여 반 건식 혐기소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TS (Total Solids) 농도가 13%인 젖소 분의 적정 HRT (Hydraulic Retention Time)는 25일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TS 농도가 13%인 반응조에서의 바이오가스 발생량은 1.36~1.50v/v-d의 범위였고 평균은 1.44v/v-d 수준이었다. 젖소 분의 TS 농도를 15% 수준으로 설정한 혐기소화조에서의 적정 HRT는 30일이었으며 반응조에서의 바이오가스 발생량은 1.50~1.61v/v-d 수준이었고 평균은 1.47v/v-d 수준이었다. TS 농도가 17% 수준인 혐기소화조에서의 최적 HRT는 30일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반응조에서의 바이오가스 발생량은 1.50~1.61v/v-d 이었고 평균은 1.55v/v-d 수준이었다.

대장균군과 대장균의 검출을 위한 건조필름 방법의 평가 (Evaluation of Dry Rehydratable Film Method for Detection of Coliform Bacteria and Escherichia coli)

  • 박헌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96-700
    • /
    • 2009
  • 대장균군 및 대장균의 정성실험에 건조필름을 이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대장균군의 정성실험에 있어서 lactose broth 배양법의 경우는 검출율이 가장 높은데 반하여 비교적 선택성이 낮고, 검출에 48시간이 소요되며, 실험 시마다 배지를 제조하여야 하는 등 번거로운 조작을 필요로 하였다. Desoxycholate lactose agar 평판배양법의 경우는 검출율이 건조필름보다 다소 높지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는 정도이며, 실험시마다 배지를 제조하여 적당한 온도로 식혀서 분주하여야 하는 등 번거로운 조작을 필요로 하였다. 반면에 건조필름을 사용 할 경우는 검출율이 다소 낮지만 시료액의 균체농도가 1 cfu/$m{\ell}$ 이상에서는 E. coli KCCM11234의 경우 34.3%, E. aerogenes KCCM12177의 경우 67.4%, K. pneumoniae subsp. pneumoniae KCCM40890의 경우 58.3%의 검출율을 보이므로, 최대 3개의 배지에 접종하여 실험할 경우 시료 중에 대장균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이며, 선택성이 높고, 별다른 준비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쉽게 대장균군을 검출하는데 사용할 수 있었다. 대장균의 정성실험에 있어서 EC broth 배양법은 검출율은 높으나 선택성이 떨어지며 실험조작이 번거로운 반면 건조필름법은 검출율이 다소 낮다. 시료액의 균체농도가 1 cfu/$m{\ell}$이상에서는 37.1%의 검출율을 보이므로 3개의 배지에 접종하여 실험할 경우 시료 중에 대장균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이며, 선택성이 높고, 별다른 준비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쉽게 대장균을 검출하는데 사용할 수 있었다. 단지 건조필름법은 균주에 대한 선택성이 높아서 손상된 균체의 검출이 어려웠으며 손상된 균체가 증식하는데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정확한 실험을 위해서는 대략 36시간 정도의 배양이 필요하였다. 전반적인 상황으로 판단해 볼 때 건조필름은 대장균군 및 대장균의 정성실험을 행하는데 있어서 현장에서도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존의 방법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COMPARISON OF SHADE CHANGES ACCORDING TO DRY/WET CONDITION OF TEETH USING INTRA-ORAL COLORIMETER

  • Lee, Dong-Hwan;Han, Jung-Suk;Yang, Jae-Ho;Lee, Jai-Bong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14-321
    • /
    • 200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ade changes in wet and dry conditions of natural teeth using two different intra-oral colorimeter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volunteer subjects have no restorations and fillings i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were involved in this clinical study. The color of tooth was measured by two different instruments that were a Shade $Scan^{TM}$ System and a VITA $Easyshade^{(R)}$, Five times consecutive measurements were done for each subject with both instruments. Groups of measurement are an initial wet condition as control, dry in 5 minutes, 15 seconds after re-wetting with saliva, re-wetting after 5minutes and re-wetting after 30 minutes. Using ShadeScan $System^{TM}$, tooth image was captured and converted to the mapping image of Vitapan 3D master. Three main shades were chosen from each subject and calculated the area in Global Lab Image software.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Wilcoxon Signed Ranked Test. Using VITA $Easyshade^{(R)}$, color differences($\Delta$E) between measurements were analyzed with one sample T-test. Results. Using ShadeScan $System^{T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group and dry(P=.023), dry and re-wetting 15 seconds, 5 minutes, 30 minutes as well(P=.021, P=.017, P=.030) in comparison of primary shade. However, comparing three main shad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dry(P=.105). Using VITA $Easyshade^{(R)}$, color differences($\Delta$E) between control and dry, dry and re-wetting 30 minute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P=.002, P=.022). Conclusion. Primary shade could be changed in dry and wetting procedure in tim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shade changes in overall.

Effects of lifestyle on dry mouth and dry eyes

  • Jung, Yu Ye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2호
    • /
    • pp.259-266
    • /
    • 2022
  • 본 연구는 생활습관관리를 통하여 구강건조와 안구건조를 예방하여 통합적인 건강증진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2022년 10월 7일부터 17일까지 전국에 있는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방식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발적으로 동의 후 응답한 전체 516명의 설문결과를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생활습관 중 구강건조를 느끼게 하는 영향 요인으로는 하루 흡연량이 많을수록 구강건조를 높게(8.41±2.041), 매우 높게(7.75±2.927)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15),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짧을수록 구강건조를 낮게(1.16±0.784), 매우 낮게(1.83±1.672)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022). 구강건조와 안구건조를 느끼게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구강건조를 느낄 때 안구건조를 3.651배 높게 느끼며(p=.000), 생활습관에서는 흡연량이 많아질 수록 0.916배 높게 느끼고(p=.038),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수록 구강건조를 1.292배 높게 느낀다(p=.004). 안구건조가 있을 때 구강건조를 4.002배 높게 느끼며(p=.000), 운동의 시간이 많을수록 안구건조를 1.600배(p=.009) 느낀다. 결과적으로, 구강건조와 안구건조는 공통의 불편요인으로 나타나므로 건강생활의 유지·증진을 위하여 생활습관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통합건강증진플랫폼이 구축되어 개인의 맞춤 건강관리 프로그램 시행이 이루어지도록 제안한다.

RTM 공정의 실시간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l Time Control of Resin Transfer Molding)

  • 전영재;엄문광;변준형;이우일
    • Composites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35-43
    • /
    • 2005
  • 여러 복합재료 성형공정 중에서, Resin Transfer Molding(RTM)은 부피가 크고 일체형의 고성능 제품을 생산하기에 적합한 공정으로 주목받고 있다. 금형충전 중, 섬유 예비성형품과 금형벽면간의 밀착이 제대로 되지 않아 발생하는 Race-track 현상과 금형재의 섬유예비성형품의 압착, 접힘, 뭉침 등에 의한 섬유부피분율의 불균일성과 같은 예기치 못한 영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유동선단이 불안정해지고, Dry spot 생성에 따른 제품의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의 조건을 적용한 이상적인 성형공정과 Race-track 현상 및 불균일한 섬유부피분율 등의 조건을 적용한 실제적인 성형 공정간의 실시간비교를 통한 공장변수 조절과 유동선단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이러한 결함을 줄이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수치해석을 통해 투과율 Map구성과 압력조절 등을 이용한 제어기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실제공정에서 가능한 여러 가지의 결함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제어를 시도하여 만족한 만한 수지의 충전을 얻을 수 있었다.

산 가수분해와 발효에 의한 해조류로부터 에탄올 생산 (Ethanol Production From Seaweeds by Acid-Hydolysis and Fermentation)

  • 나춘기;송명기;손창인
    • 신재생에너지
    • /
    • 제7권3호
    • /
    • pp.6-16
    • /
    • 2011
  • In order to study the utilization of seaweeds as an alternative renewable feedstock for bioethanol production, their properties of hydrolysis and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The seaweeds were well hydrolyzed with diluted sulfuric acid. The weight loss of seaweeds reached 75-90%, but only 12-51% of them was converted into reducing sugars after the acid-hydrolysis at $130^{\circ}C$ for 4-6h. The yield of reducing sugar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hydrolysis time up to 4h and then decreased thereafter. In contrast, the ethanol yield from the hydrolysates increased with hydrolysis time except for green seaweeds maximizing at 4h. Optimal fermentation time by Saccharomyces cerevisiae (ATCC 24858) varied with seaweeds; 48h for green seaweeds, 96h for brown and red seaweeds. The ethanol yield from the hydrolysate reached 138${\pm}$37mg/g-dry for green seaweeds, 258${\pm}$29mg/g-dry for brown seaweeds, and 343${\pm}$53mg/g-dry for red seaweeds, which correspond to approximately 1.5-4.0 times more than the theoretical yield from total reducing sugars in the hydrolysates. The results obtained indicate clearly that the non-reducing sugars or oligosaccharides dissolved in the hydrolysat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ducing bioethanol. Considering the productivity and production cost of each seaweed, brown seaweeds such as Laminaria japonica and Undaria pinnatifida seem to be a promissing feedstock for bioethanol production.

HDP를 이용한 실리콘 단결정 Deep Dry Etching에 관한 특성 (Characterization of Deep Dry Etching of Silicon Single Crystal by HDP)

  • 박우정;김장현;김용탁;백형기;서수정;윤대호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70-575
    • /
    • 2002
  • 현재 전기 . 전자 기술의 추세는 소형화를 비롯하여 집적화, 저전력화, 저가격화의 장점을 가진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device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고종횡비와 높은 식각 속도를 가진 HDP(High Density Plasma) etching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Inductively Coupled Plasma(ICP) 장비를 이용하여 각 공정 변수에 의한 실리콘 deep trench식각 반응을 연구하였다. 실험 공정 변수인 platen power, etch/passivation cycle time에서 etching 단계 시간에 따른 변화와 SF$_{6}$:C$_4$F$_{8}$ 가스유량을 변화시켜 연구하였으며 또한 이들의 profile, scallops, 식각 속도, 균일도, 선택비도 관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