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ry root yield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33초

토양수분(土壤水分)이 토천궁(土川芎)의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Water Stress on Yield and Quality of Ligusticum chuanxiong Hort.)

  • 김충국;강병화;김석동;이상복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
    • /
    • 1997
  • 토양수분(土壤水分) 부족(不足)이 토천궁(土川芎)(Ligusticum chuanxiong Hort.)의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비가림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기상(氣象) 여건상(與件上) 한발(旱魃)이 자주 발생되는 유식물기(幼植物期), 개화기(開花期) 및 근경비대기(根莖肥大期)에 토양수분(土攘水分) 부족(不足)을 유발시킨 처리구와 전(全) 생육기간동안 포장용수량 수준으로 관수를 하여준 대조구를 두어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근경(根莖)의 수량(收量)은 대조구에 비해 근경비대기(根莖肥大期) 수분부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19.1%, 유식물기(幼植物期) 수분부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18.2%, 개화기(開花期) 수분부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17.6%가 각각(各各) 감소(減少)되어 근경비대기(根莖肥大期) 수분부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감소정도(減少程度)가 가장 컸다. 2. 상품율(商品率)(생근경(生根莖) 20g이상(以上) 비율(比率))은 유식물기(幼植物期) 수분부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85.0%, 개화기(開花期) 수분부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81.7%, 근경비대기(根莖肥大期) 수분부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78.3%, 대조구(對照區) 93.4%로 근경비대기(根莖肥大期) 수분부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가장 낮았으며, 엑스 함량은 대조구(對照區) > 근경비대기(根莖肥大期) > 개화기(開花期) > 유식물기(幼植物期) 수분부족(水分不足) 처리(處理)의 순으로 높았다. 3. 근경(根莖)의 수량(收量)은 세근(細根)의 수량(收量)과 유의적인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며, 엑스함량은 줄기의 건물중(乾物重) 및 세근수량(細根收量)과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인정되었다.

  • PDF

착과 정도가 '설향' 딸기의 수량, 과실 품질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Fruit-loads on Yield, Fruit Quality and Growth of 'Seolhyang' Strawberry)

  • 이상우;황갑춘;윤재길;홍점규;박수정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5-211
    • /
    • 2014
  • 본 연구는 착과 정도가 '설향' 딸기의 수량, 과실 품질 및 식물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실시하였다. 1화방부터 4화방까지 과실수가 20, 25, 30이 되도록 착과량을 조절하였고 일부는 무적화 하였다. 주당 착과수가 많을수록 총 과실 생산량은 증가하나 상품성 과실 생산이 감소하고, 비상품과 생산이 증가하였다. 무적화한 대조구는 착과량을 조절한 처리구 보다 1화방과 2화방에서 과실 수량이 많았으나 3화방과 4화방에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과실의 당도는 착과량이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각 화방의 수확시기는 착과량이 낮을수록 빨랐다. 2화방과 4화방에서 착과량 20은 무적화한 대조구에 비해 10일 정도 수확이 빨랐다. 2012년 11월 24일 1화방에 적화 처리하였다. 2013년 3월 7일 2화방의 과실 건물중은 대조구에서 가장 많았다. 대조구와 착과량 30은 11월 24일보다 뿌리의 건물중이 감소하였다. 4월 9일 3화방의 과실 건물중은 처리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영양생장 기관인 잎, 뿌리, 크라운의 건물중은 착과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5월 12일 착과량이 증가할수록 엽면적과 영양생장 기관의 건물중이 감소하였고, 생육 후기로 갈수록 착과 정도에 의한 차이가 현저하였다. '설향' 딸기의 적정 착과량은 20에서 25 정도이며, 착과량을 조절하여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안정적인 과실생산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모래지반에서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성장과 조성에 미치는 질소의 유형별 효과 (Evaluation of Various Slow-release Nitrogen Sources for Growth and Establishment of Poa pratensis on Sand-based Systems)

  • 이상국;데이브 미너;닉크리스챤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5-148
    • /
    • 2010
  • 질소는 색감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잔디의 성장에 필요한 17가지 필수 영양성분중에 하나이다. 완효성 비료는 일정한 양의 질소 영양성분을 오랜기간 동안 제공하기 위해서 개발이 되었고 모래지반에서 특히 더 잘 용 탈되는 질소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 사용이 된다. 이 실험의 목적은 다양한 완효성 비료가 다른 비율로 시비 되었을때 잔디조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총 6가지 질소비료가 실험되었으며 켄터키블루그래스가 파종과 뗏장을 위해 사용이 되었다. 뗏장으로 조성된 실험구가 파종으로 조성된 실험구 보다 182에서 518 g 예지물을 더 생산하였다. 파종으로 조성된 실험구중에서는 밀오거나이트가 가장 많은 뿌리의 건중량을 생산하였다. 파종과 뗏장은 잔디의 성장 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예지물의 양과 뿌리의 건중량에서 차이가 난다. 본 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밀오거나이트가 다른 5가지의 질소비료 보다 예지물의 생산이 적었으며 지하부의 성장이다 좋았으므로 켄터키블루그래스가 처음 조성이 될때는 밀오거나이트가 권장이 된다.

부식산 액상비료 시비에 의한 크리핑 벤트그래스 지하부 생육증가와 품질향상 (Application of Liquid Fertilizer Containing Humate Improving Rhizosphere Activation and Favoring Turfgrass Quality)

  • 김영선;이태순;조성현;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1호
    • /
    • pp.62-71
    • /
    • 2018
  • 본 연구는 부식산 함유 액비(LFH)의 시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품질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잔디의 가시적 품질, 엽록소 함량, 예지물량, T/R ratio, 양분 함량 및 흡수량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CF), LFH 1,000배 처리구(HF-1), LFH 500배 처리구(HF-2) 및 LFH 250배 처리구(HF-3)로 구분되었다. LFH 처리 전후에 토양화학성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LFH처리구와 대조구를 비교하였을 때, 가시적 품질과 뿌리 생육량은 LFH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엽록소 함량, 잔디 예지물, 질소 흡수량은 HF-2처리구와 HF-3처리구에서 각각 11.2-11.8%, 15.3-30.8%, 22-42%씩 증가하였다. LFH처리량에 따라 가시적 품질, 엽록소 함량, 잔디 예지물 및 양분 흡수량은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크리핑 벤트그래스에서 부식산 함유 액비의 시비는 잔디의 잎 조직 중 잔디지하부의 생육이 증가하여 양분 흡수를 개선함으로써 잔디품질과 생육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지렁이 분립이 엽채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분립의 최적혼합비율의 추정 - (The Effect of Vermicast on the Growth of Vegetable Plants - Estimation of Optimum Mixture Ratios of Vermicast -)

  • 김인수;김성진;이지영;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13-422
    • /
    • 2005
  • 본 연구는 톱밥발효 돈분을 vermicomposting으로 처리하여 생산된 분립을 상토재의 원료인 피트모스와 혼합하였을 때 이 화학적 특성과 엽채류(근대, 열무, 시금치, 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분립의 적정 혼합비율을 추정하였다. 이 화학적 분석결과 지렁이 분립량이 증가할수록 용적비중(bulk density), 진밀도(particle density), pH 전기전도도(electrolytic conductivity), 무기물(ash), 전질소(total nitrogen), 양이온 치환능력(cation exchange capacity), 유효인산함량(available $P_2O_5$) 및 치환성양이온향량(exchangeable cation)이 증가하였다. 근대는 분립 $40{\sim}100%$의 혼합비율에서 초장(PL), 엽면적(LA), 지상부중(SHW), 근중(RW), 근장(RL) 및 생물학적 수량(BY)이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열무는 분립 $40{\sim}60%$의 혼합비율에서 지상부중(SHW), 근중(RW) 및 생물학적 수량(BY)이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시금치는 분립 40%의 혼합비율에서 지상부중(SHW), 근중(RW) 및 생물학적 수량(BY)이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상추는 분립 40%의 혼합비율에서 초장(PL), 엽면적(LA), 지상부중(SHW), 근중(RW), 근장(RL) 및 생물학적 수량(BY)이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실험에서 분립의 첨가비율은 근대 $40{\sim}100%$, 열무 $40{\sim}60%$, 시금치와 상추 40%가 적정혼합비율이었다.

  • PDF

파종기와 재배방법에 따른 논 재배 콩의 품종별 생장분석 (Effect of Planting Date and Cultivation Method on Soybean Growth in Paddy Field)

  • 조준형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1-204
    • /
    • 2006
  • 파종시기와 포장조건을 달리한 콩의 논 재배 시 R2와 R5 시기의 생육반응과 R5 시기의 수량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 품종들의 경장에 있어서 R2와 R5 시기 모두 단작 시험구가 맥후작 시험구보다 긴 경향을 보였다. 파종 시기와 재배법 모두를 고려해 보면 단작의 경우 평휴 재배가 그리고 맥후작의 경우 고휴재배에서 다소 긴 경향을 보였다. 근류의 형성은 평휴보다 고휴재배에서 많았고, 파종기 및 재배 방법에 상관없이 황금콩이 가장 높았다. 단작 보다 맥후작 시험구에서 공시 5품종 모두 콩 생육기 진전에 따른 엽면적 증가 뚜렷하였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 생산량에 있어서 맥후작 보다 단작 시험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생육기간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재배 방법 별로는 지상부 건물중이 평휴에서 높았던 반면 지하부 건물중은 고휴재배에서 보다 양호하였다. 이러한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은 T/R율에 영향을 주는데, 재배 방법별로는 평휴조건이 T/R율이 높았으며, 파종시기별로는 단작의 T/R율이 맥후작보다 높았다. 태광콩, 대원콩, 황금콩은 R2 시기에는 단작의 T/R율이 높았던 반면, R5 시기에는 맥후작의 T/R율이 높았는데, 이는 이들 품종이 생육기 진전됨에 따라 지하부 생육이 지상부 생육에 비해 미약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등숙기인 R8 시기에서 협수는 조생종인 화엄풋콩이 가장 적었고, 소립종인 은하콩이 가장 많았고,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평휴보다는 고휴에서 그리고 단작구보다 맥후작 파종구에서 협수가 많은 경향이었다. 조생종인 화엄풋콩이 맥후작에서 등숙이 낮았고, 황금콩과 은하콩은 단작구보다 맥후작에서 등숙율이 높았다. 수량성은 품종간 차이가 있는데 대원콩과 태광콩에서는 6월 19일 파종이 5월 25일 파종에 비해 수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 PDF

정식시기가 야콘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planting Date on Growth and Yield of Yacon)

  • 강영길;고미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88-193
    • /
    • 2004
  • 제주지방에서 야콘의 적정 정식시기를 구명하고자 50일 프러그묘를 3월 24일부터 6월 7일까지 15일 간격으로 6회 정식하여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 경장, 주경직경, 주당 절수 등은 5월 23일 이후 정식부터 크게 감소되었다. 2. 주당 상품성 있는 괴근수는 3월 23일∼4월 23일 정식시기 간에는 6.0개 내외로 차이가 없었으나 5월 8일 이후 정식할 경우 크게 감소되어 6월 7일 정식구에서는 1.9개에 불과하였다. 3. 상품수량은 3월 24일과 4월 8일 정식구에서는 27 MT/ha 내외로 비슷하였고 4월 23일 정식구에서 32.4 MT/ha로 증가되었다가 그 이후 정식구에서는 크게 감소되어 6월 7일 정식구에서는 5.4 MT/ha에 지나지 않았다. 4. 괴근의 건물율과 가용성 고형물함량은 정식시기에 따른 차이 없이 각각 14%, 15% 내외였다. 평균 괴근중은 3월 24일∼4월 23일 정식에서는 153∼183.9g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5월 7일 이후 정식할 경우 크게 감소되었다. 5. 수량과 품질, 만상해 우려, 육묘비용 등을 고려할 때 제주지방에서의 야콘의 적정 정식시기는 4월 중∼하순으로 조사되었다.

양액재배에 있어 근류균의 접종 및 질소반응에 관한 연구 2보. 근류균의 접종 및 질소시용량이 대두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Response of Rhizobium Inoculation and Nitrogen Concentration to Soybean Growth in Nutri-culture 2. Effects of Rhizobium Inoculation and Nitrogen Concentration 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Cultivars)

  • 이홍석;윤성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00-407
    • /
    • 1989
  • 양액재배에 있어 근류균의 접종, 양액중의 질소농도 및 재식밀도 등의 대두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추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장에 미치는 처리효과는 생육중기 (V$_{7}$, Stage)에 있어서는 현저하지 않았으나 개화기미(R$_3$ Stage)에서는 그 효과가 증대되어 근류균 접종에 의하여 경장이 증대되었는데 그 정도는 황금콩과 장백콩에서 더욱 컸고 근류비착생계통에서는 현저히 떨어졌으며 질소시용 또는 195ppm까지의 질소증시에 의하여 증대되었고 밀식에 의하여 증대되었다. 2. 건물중에 미치는 영향은 생육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근류균 접종에 의하여 건물중이 증대되었는데 그 효과는 무질소구에서 더욱 현저하였고 근류비착생 Clark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질소증시에 의하여 장백콩과 팔달콩에서는 건물중이 계속 증가되었으나 황금콩과 Clark에서는 질소증시효과가 미미하였다. 그리고 밀식에 의하여 건물중이 현저히 감소하여하였는데 특히 팔달콩에서 더욱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3. 근중에 대한 지상부중 비율은 근류균 접종에 의하여 무질소 또는 저질소 수준에서는 현저히 증가하였고 근류비착생 Clark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질소증시 및 밀식에 의하여 감소되었으나 팔달콩에서는 질소증시에 의하여 근중에 대한 지상부중 비율이 증가되었다. 4. 폿트당 수량이 미치는 근류균의 접종 효과는 품종간에 차이가 있어 황금콩과 팔달콩에서는 증수효과가 인정되었으나 장백콩과 Clark에서는 현저히 낮았으며 질소증시효과도 품종간에 차이가 있어 황금콩과 팔달콩에서는 질소증시에 의하여 증수되었으나 장백콩과 Clark에서는 증수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밀식에 의한 증수효과도 황금콩에서는 현저하였으나 기타 품종에서는 뚜렷하지 않았다. 5. 개체당 수량도 황금콩과 팔달콩에서 근류균 접종에 의한 증수효과를 나타내었고 질소시용효과는 밀식조건에서는 질소증시에 의한 증수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소식조건에서는 근류균을 접종하였을 때는 증수되지 않았으나 근류균을 비접종하였을 때는 팔달콩과 Clark에서 질소증시에 의하여 증수되었다. 그리고 밀식에 의하여 개체당 수량이 전반적으로 감소되었다. 6. 수량은 건물중, 식물체중의 전질소함량, 그리고 개화기미의 근류수와, 식물체중의 전질소함량은 경장, 건물중, 근류수 및 근류중들과, 그리고 줄기중의 allantoin 질소함량은 근류수 및 근류중들과 각각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제주 재래대두의 인산시비량 차이가 생육형질,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sphate Application Rate on Growth Characters, Forage Yield and Feed Value of Jeju Native Soybean)

  • 조남기;강영길;송창길;윤상태;조영일;김동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3-150
    • /
    • 2003
  • 본 시험은 제주지역의 화산회토양에서 인산시비량 차이(0, 50, 100, 150, 200, 250kg/ha)에 따른 제주재래 대두의 생육형질, 수량 및 사료가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2년 5월 11일부터 2002년 9월 10일까지 시험하였다. 인산시비량이 0에서 250kg/ha로 증가함에 따라 개화기까지의 일수는 92일에서 97일로 지연되었고, 초장은 109cm에서 124cm로 커졌다. 분지수, 엽수, 경직경, 근장 및 근중 등도 인산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우세하였다. 생초수량은 무인산구에서 26.5MT/ha였으나 인산시비량 증가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200kg과 250kg/ha 시비구에서는 각각 36.5MT/ha, 36.9MT/ha로 증수되었으나 두 시비구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인산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건물수량은 6.0MT/ha에서 7.9MT/ha로, 단백질수량은 0.9MT/ha에서 1.4MT/ha로 TDN 수량은 3.4MT/ha에서 4.9MT/ha로 증수되었다. 인산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15.5%에서 18.3%로, 조지방 함량은 2.2%에서 3.3%로, 가용무질소물은 42.5%에서 43.5%로, TDN 함량은 56.7%에서 61.9%로 증가되었으나 이와는 반대로 조회분은 32.1%에서 28.1%로, 조회분 함량은 7.7%에서 6.8%로 감소되었다. 제주지역의 화산회토양에서 제주재래 대두의 사초수량을 최고로 올릴 수 있는 적정 인산시비량은 200kg/ha로 추정할 수 있었다.

Low-Temperature Storage of Immature (Green) North American Ginseng Seed for Fall Planting

  • Proctor John T.A.;Louttit Dea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78-81
    • /
    • 2006
  • Freshly harvested, immature (green) seeds of North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s L.) were stratified for up to 3 years in plastic pails in controlled environment rooms at $5{\pm}1^{\circ}C$ for 9 months and then $21{\pm}2^{\circ}C$ for 3 months (Trt. 1, regular stratification), or continuously at $-2{\pm}0.2^{\circ}C$ (Trt. 2), or continuously at $3{\pm}0.2^{\circ}C$ (Trt. 3). During stratification at -2 and $3^{\circ}C$ embryos did not grow. On seeding in the field embryos grew rapidly and resultant seedlings were comparable to those from regularly stratified seed. Seedling emergence rate was acceptable at the industry expected rate of 68% after one year of storage, but not after two years storage when it declined to 17.5%. Seed rot was so severe in year 3 that no planting was carried out. Seedling and second year growth were similar at the three stratification temperatures; most importantly, root dry weight (economic yield) was similar. Low-temperature storage of freshly-harvested North American ginseng seed is an acceptable method for short-term retention of propagating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