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oxidant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Leaf Yield and Pyranocurmarine Accumulation in Angelica gigas Nakai

  • Seo, Young-Jin;Kim, Jong-Su;Park, Kee-Choon;Park, Chun-Geun;Ahn, Young-Sup;Cha, Seon-Woo;Kang, Yoon-Ju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421-427
    • /
    • 2015
  • Angelica gigas Nakai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herbal medicines and is known to have many pharmaceutical effects including an anti-oxidant, anti-cancer etc.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 effect of fertilization on leaf yield, production of dry-matter and accumulation of pyranocurmarine compounds such as decursin (DE) and decursinol angelate (DA) in Angelica gigas Nakai. Effect of fertilization was determined from response surface regression equation composing of 2 by 3 factorial arrangement of urea, sodium dihyd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chloride. Yield of leaf in Angelica gigas Nakai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100 days after transplanting. Production of leaf also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nitrogen fertilization. Model of regression equation showed that leaf production depended upon nitrogen ($Pr>{\mid}t{\mid}$ : 0.087, 0.256 and 0.079). Also, statistical results between nitrogen application level and production of dry-matter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p<0.05) and contents of dry-matter was highest in 10 kg 10a-1 treatment on 24 Sep. Active compound isolated and purified from leaf and root of Angelica gigas Nakai was identified as DE and DA by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photometry (GC-MS). Concentration of DA as prevalent compound in leaf was highest on 20 Aug. but decreased on 24 Sep. Amount of DE and DA accumulated in Angelica gigas Nakai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growth stages and nitrogen level. The result of our investigation imply that nitrogen fertilization is important factor for production of leaf and accumulation of pyranocurmarine in Angelica gigas Nakai as a medicinal/food materials.

대계 약침액의 항산화 효능 (Antioxidant Property of Aqua-Acupuncture Solution from Circium japonicum)

  • 이정주;문진영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2권4호
    • /
    • pp.57-65
    • /
    • 2005
  • 대계는 전통 한의학에서 약용 물질로 널리 쓰이고 있으므로, 대계의 약침을 조제하여 항산화적 활성을 검증해 보았다. 실험의 재료로 쓰인 대계는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속 한방 병원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경상북도 경주), 이를 약침액으로 조제한 후 동결 건조 방법으로 5.1 %의 분말을 회수 하였다. 대계 약침액의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자유기의 소거능은 Gyamfi et al. 의 방법을 따랐고, superoxide radicals $(O_2^-{\cdot})$ 소거능은 Gotoh et al.의 방법을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Hydroxyl radicals의 직접적인 소거능과 iron ions 사이의 관계는 deoxyribose assay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1) Non-site-specific scavenging assay (hydroxyl radicals, OH) 및 2) Site-specific scavenging assay (chelate iron ions) 그리고 3) 전산화 효과에서 모두 대계 약침액은 농도 의존적인 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pro-oxidant 실험에서는 산화를 촉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hydorxyl radical에 의하여 매개되는 DNA의 분절 효과를 적절하게 방어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대계 약침액은 산화적 스트레스를 직접적으로 방어 하고, 다양한 산화적 손상에 의한 병증을 예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대기의 오존에 의한 스트로브 잔나무 잎의 가스교환과 아스코르브산, 글루타치온의 농도 변화

  • 이웅상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4호
    • /
    • pp.397-408
    • /
    • 1993
  • 대기의 오존농도에 대한 민감도가 다른 스트로브 잣나무의 가스교환과 아스코르브산, 글루타치온의 농도변화를 1988년 6월부터 시작하여 10개월간 측정하였다. 오존에 의해 가시적 피래를 입은 나무의 당년잎의 건중량과 길이는 저항성이 있는 나무에 의해 각각 60~75%와 45~60% 작았다. 순광합성량과 잎의 전도율은 전체적으로 가스교환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늦은 9월까지 저항성이 있는 나무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증산작용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당년잎의 아스코르브산과 글루타치온 농도는 여름, 가을 동안 계속 증가하여 겨울에 최고치를 나타내다가 봄에 감소하기 시작했다. 아스코르브산 농도는 4월에 감소하기 시작할 때 까지 일년 내내 저항성이 있는 나무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예민한 나무와 저항성이 있는 나무사이의 아스코르브산 농도차이는 겨울동안보다 (8~19%) 여름에 (25~30%)) 훨씬 컸다. 글루타치온의 농도는 에민한 나무와 저항성이 있는 나무에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 PDF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Ziziphus mucronata Fruit Extract Against Dimethoate-Induced Toxicity

  • Kwape, Tebogo Elvis;Chaturvedi, Padmaja;Kamau, Macharia;Majinda, Runner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1-29
    • /
    • 2013
  • Objective: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Ziziphus mucronata (ZM) fruit extract. Methods: The different types of fruit extract were prepared by soaking the dry powdered fruit in different solvents followed by rotary evaporation. Each extract was tested for its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An in vivo study was performed in Sprague-Dawley (SD) rats. Thirty adult male SD rats (aged 21 week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of five rats each and treated as follows: The normal control (NC) received distilled water while the dimethoate control (DC) received 6 mg/kg.bw.day-1 dimethoate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The experimental groups E1, E2, E3, and E0 received dimethoate (6 mg/kg.bw) + ZMFM (100 mg/kg.bw-1), dimethoate (6 mg/kg.bw) + ZMFM (200 mg/kg.bw-1), dimethoate (6 mg/kg.bw) + ZMFM (300 mg/kg.bw-1), and ZMFM (300 mg/kg.bw-1) only. Both the normal control and the dimethoate control groups were used to compare the results. After 90 days, rats were sacrificed, blood was collected for biochemical assays, and livers were harvested for histological study. Results: High phenol content was estimated, and 2, 2-diphenyl-1-picryl hydrazyl radical (DPPH) spectrophotometric,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and 2, 2-Azobis-3-ethyl 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assays showed a high antioxidant activity among the extracts. The preventive effects observed in the E1, E2 and E3 groups proved that the extract could prevent dimethoate toxicity by maintaining normal reduced glutathione (GSH), vitamin C and E,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cholineasterase and lipid profiles. The preventive effect was observed to be dose dependent. The EO group showed no extract-induced toxicity. Histological observations agreed with the results obtained in the biochemical studies. Conclusion: The study demonstrated that ZM methanol fruit extract is capable of attenuating dimethoate-induced toxicity because of its high antioxidant activity.

양축 정렬된 니켈기판의 표면 산화반응 연구 (A Study on the Surface Oxidation Behavior of Cube-textured Nickel Substrate)

  • 안지현;김병주;김재근;김호진;홍계원;이희균;유재무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7권1호
    • /
    • pp.58-63
    • /
    • 2005
  • We investigated the surface oxidation behavior of cube-textured polycrystalline nickel at various oxidation conditions. Cube-textured NiO film was formed on a cube-textured polycrystalline nickel regardless of oxidation conditions but different growth behavior of NiO crystals was observed depending on the oxidation conditions. The introduction of water vapor into $O_2$ did not affect the texture evolution, but rough and porous microstructure was developed. Microstructure of NiO film tends to be denser as the oxygen partial pressure increases. It is interesting that (111) peak of theta - two theta diffraction pattern started to get stronger in air atmosphere and (111) plane became the major texture in the substrate oxidized in high purity argon gas. Small amount of high index crystallographic plane NiO peak crystal was observed when $N_{2}O$ was used as an oxidant while only (200) plane crystal was formed in dry $O_2$ atmosphere. Flat and smooth surface was changed into rough faceted one when ramping rate to oxidation temperature was faster. The grain size of NiO was decreased when the oxygen partial pressure was low.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modification of nickel surface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200) texture.

  • PDF

유기셀레늄강화버섯 폐배지의 급여수준에 따른 거세한우 채끝육의 육질특성 (Effects of Organic Selenium Supplementation on Meat Quality of Hanwoo Steers)

  • 박범영;조수현;김진형;이성훈;황인호;김동훈;김완영;이종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2호
    • /
    • pp.277-282
    • /
    • 2005
  •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c selenium in mushroom cultured media (MCM) on beef quality. Each five of 20 Hanwoo steers(20 - 24 month, approximately 613 kg) were assigned to four levels of the selenium content(O.l, 0.3, 0.6, 0.9 dry matter based ppm), and the feeding treatments were enforced for 12 weeks. The results showed that m. longissimus from the 0.1 ppm feeding supplementation had greatly higher intramuscular fat content than other treatments(13.1 %). In meat color, the 0.1 ppm treatment showed the lowest lightness(CIE $L^*$)(P< 0.05) and had a tendency to have lower redness(CIE $a^*$). The treatment had no noticeable effect on moisture, protein, and ash content, cooking loss, water-holding capacity and purge loss. The 0.3 ppm treatment resulted in the toughest meat(assessed by WB-shear force) with 4.54 kg / inch', while other groups showed a similar toughness ranging from 3.3 to 3.7 kg/ inchl . Sensory characteristics in juiciness and flavor intensity had a tendency of increasing as organic selenium concentration increased, but tenderness was not influenced by the content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organic selenium feeding affects meat qualities to different extent, and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examine anti-oxidant effect of selenium in vivo.

초임계 추출 느릅나무 성분을 함유한 고 보습 화장품 제형에 대한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Formulation of high-moisturizing Cosmetics containing Ulmus davidiana supercritical fluid extract)

  • 구은비;김한규;김윤식;추의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41-251
    • /
    • 2020
  • 항균, 항산화, 항염증 효능의 기능성 원료로써 효능이 확인된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개발을 위한 연구와 이 화장품의 아토피피부염과 같은 건조하고 민감한 피부 개선 효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원료 물질인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박 60%주정 추출물(USCFR)과 초임계 추출물(USCF), 이를 포함하는 예비제형 DKBP-1903 (겔)에 대한 독성시험을 수행한 결과 '무독성'으로 판정되었다. 이를 토대로 조제한 각 제형별 화장품 로션, 크림, 겔에 대한 안정성 시험 결과, 크림과 겔이 더 우수한 안정성을 보였고 안정성이 확보된 두 가지 제형에 대해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능 입증을 위한 화장품 효능시험으로 48시간 보습지속력 시험과 건조함에 의한 소양감개선 시험을 진행한 결과, 크림과 겔 도포 24시간 후 82.9%, 92.32%의 피부각질층 수분함량 개선율을 보였고 2주 후부터 소양감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크림과 겔 모두 비교적 안전한 보습제로써 건조하고 민감한 피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너뷰티 소재로서의 생물전환된 가시오가피-진피 혼합 추출물의 생물학적 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Mixed Extra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and Citrus unshiu Fermented with Bovista plumbea for Inner Beauty)

  • 김은정;김소연;강수연;유영춘;윤택준;이계원;조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555-56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이너뷰티용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생물전환 가시오가피-진피 혼합추출물(B-MEAC)의 항산화 활성, 엘라스타제 억제활성 및 피부보습 효과 등을 평가하였다. B-MEAC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DPPH radical을 농도의존적으로 소거하여 SC50이 156.1±0.82 ㎍/ml로 나타났다. 또한, 엘라스타제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B-MEAC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엘라스타제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01). 경구투여한 B-MEAC가 마우스 피부 보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수분량과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한 결과 건조유도 된 대조군에 비하여 피부 수분량은 증가하고(p<0.001), 경피수분손실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건조유도 된 마우스 피부의 교원섬유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Masson's trichrome 염색을 통해 관찰한 결과 B-MEAC를 투여한 군에서 콜라겐의 양이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푸른색으로 보다 진하게 염색되었다. 또한, 건조유도 된 마우스 피부의 보습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보습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Western blot 기법으로 확인한 결과 B-MEAC를 투여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MMP-1 단백질의 발현량은 감소하였고, COL1A1, HAS2, filaggrin, AQP3 단백질 발현량은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따라서 B-MEAC의 보습효과는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MMP-1 발현 감소, 콜라겐 생성 촉진, 피부 보습 관련 단백질인 HAS2 및 AQP3 발현 증가, 피부 장벽기능의 중요인자인 filaggrin 발현 증가를 통한 수분량 증가와 TEWL 감소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이너뷰티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다.

발효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의 혼합에 의한 토복령의 항산화활성 증진효과 (Enhanced Anti-oxidant Activity Effects of Smilax china L. Rhizome Water Extracts Added with Its Fermented Leaf Water Extracts)

  • 이상일;이예경;김순동;심순미;양승환;성금화;서주원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2호
    • /
    • pp.145-152
    • /
    • 2014
  •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 잎열수추출물(FSCL)의 첨가가 토복령 열수추출물(SCLR)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 2% 열수추출물을 0:100 (A), 20:80 (B), 40:60 (C), 60:40 (D), 80:20 (E), 100:0 (F) (v/v)의 조건으로 혼합하였을 때 total polypheno l(TP) 및 total flavonoid (TF) 함량, $OD_{475}$, 전자공여능(EDA), 철환원력(FRAP), xanthine oxidase (XO) 및 aldehyde oxidase (AO)에 대한 저해활성과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A와 F의 TP 함량은 각각 3.78 및 9.37 mg/100 mL, TF 함량은 각각 0.24 및 1.84 mg/100 mL로 FSCL이 SCLR에 비하여 TP는 2.48배, TF는 7.67배가 높았으며 FSCL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비례적으로 높았다($R^2=0.9887$, $R^2=0.9592$). $OD_{475}$는 FSCL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거의 비례적으로 높은 흡광도를 나타내었다($R^2=0.9850$). EDA (% at mL)는 A (25.75%)에 비하여 F (54.63%)에서 2.12배가 높았으며 FSCL의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R^2=0.9668$). FRAP ($Fe^{2+}{\mu}mole/g$ of dry basis)의 경우도 EDA와 마찬가지로 A (1.18)에 비하여 F (4.92)에서 4.17배가 높았으며, FSCL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비례적으로 높았다($R^2$=0.9907). A의 XO에 대한 저해활성(mg/mL of $IC_{50}$)은 1.19로 F의 2.96에 비하여 59.80%가 높았으며, FSCL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비례적으로 감소하였다($R^2$=0.9490). 그러나 AO에 대한 저해활성(mg/mL of $IC_{50}$)은 XO의 경우와 반대로 A (3.37)에 비하여 F (1.41)에서 58.16%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FSCL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향에 대한 기호도는 A와 F에서는 각각 2.77 및 2.72점으로 비슷한 값을 보였으며 발효청미래덩굴잎 열수추출물을 20-80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는 다소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상호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40% 혼합(C) 하였을 때는 무첨가 경우(A 또는 F)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맛에 대한 기호도는 F에 비하여 A에서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C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색상에 대한 기호도는 40-80% 첨가한 경우가 A, F 및 B보다 높았다. 입맛과 종합적인 품질에 대한 기호도는 C, D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 A. oryzae로 발효시킨 청미래덩굴잎의 열수추출물은 보이차 스타일의 적갈색을 나타내며, 토복령 열수추출물과 혼합함으로써 음료로서의 기호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EDA 및 FRAP와 같은 항산화활성이 높아지나, ROS 생성계 효소로 알려져 있는 XO와 AO의 활성 억제현상은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이와 관련된 기능성 식품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현재 실험의 결과만으로는 어떠한 성분이 이러한 항산화활성의 변화에 관여하는지는 확인할 수 없으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 검토가 필요하다.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의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 (Anti-Melanogenesis and Anti-Wrinkle Effects of Sargassum micracanthum Extracts)

  • 박원민;김꽃봉우리;김민지;박지혜;배난영;박선희;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25
    • /
    • 2016
  •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의 피부 노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 tyrosinase 저해 활성,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잔가시 모자반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11.20 mg/g 및 11.70 mg/g으로 차이가 나지 않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에서는 잔가시 모자반 에탄올 및 물 추출물 모두 0.5 mg/ml 농도에서 83.68% 및 79%로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금속봉쇄력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높게 나왔으나 대조구인 EDTA보다 활성이 낮게 나타났다. Tyrosinase 및 collagenase 저해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collagenase 저해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1 mg/ml 농도에서 80% 이상으로 높은 효소 저해능을 보였다. 따라서, 잔가시 모자반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능, tyrosinase 및 collagenase 저해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나 피부 노화 억제를 위한 소재로서 더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