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bark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4초

Agronomic features and yield components of sago palms grown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and Melanesia

  • Ehara, Hiroshi;Naito, Hitoshi;Mishima, Takashi;Toyoda, Yukio;Mizota, Chitoshi;Susanto, Slamet;Bintoro, M.H.;Pasolon, Yulius B.;Abbas, Barahima;Suwignyo, Rujito A.;Munandar, Munandar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60-360
    • /
    • 2017
  •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dicating agronomic features and yield components (trunk length, trunk diameter, thickness of bark, pith density, dry-matter percentage of pith and starch concentration in pith) of sago palms (Metroxylon sagu Rottbøll) were compared between the 27 populations grown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West Sumatra, South Sumatra, West Java, Southeast Sulawesi, Ternate, Halmahera and Seram in Indonesia) and the 20 populations grown in Melanesia (West Papua in Indonesia, East Sepik and New Ireland island in Papua New Guinea). The average starch yield calculated based on the yield components was $310kg\;plant^{-1}$ and $244kg\;plant^{-1}$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nd Melanesia, respectively. The variation of starch yield in Melanesia (CV: about 80%) was larger than that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CV: about 60%). The difference in starch yield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was mainly attributed to the trunk diameter breast height and the dry-matter percentage of pith. In contrast, the differences in trunk length and dry-matter percentage of pith mainly accounted for the difference in starch yield in Melanesia. The sago palms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had a comparatively thick and short trunk and those in Melanesia had a comparatively thinner and longer trunk. However, the average pith dry-matter yield was almost same level as $400kg\;plant^{-1}$ in both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and Melanesia. The difference in starch yield between the two areas was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starch concentration in pith, 77% and 58% in the islands in Southeast Asia and Melanesia, respectively.

  • PDF

소귀나무 수피(양매피) 추출물을 이용한 견직물의 염색성과 기능성 (Dyeability and Function of Silk Fabrics Using Myrica Rubra rind Extract)

  • 이정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08-61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yeability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dyed fabric with the extract of Myrica rubra rind. For this purpose, the ultraviolet and visible spectra of the bark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dyeing temperature, dyeing time, mordant type, mordanting order, mordant concentration and dyeability were investigated. The color fastness based on washing, dry-cleaning, rubbing and light were evaluated by the types of Myrica rubra rind extract used. In addition, the deodoriz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were measured, and the functionality of the silk fabric dyed with the extract of the Myrica rubra rind was evaluated. The result shows that the color strength of the dye was excellent when the Myrica rubra rind was dyed at $80^{\circ}C$ for 80 minutes. The mordant dye color strength was high in the order of Fe mordant> Cu mordant> Al mordant. The dyeability of Al and Cu mordant was high during pre-mordanting compared to Fe mordant, and the dyeability of Fe mordant was high during post-mordanting than Cu and Al mordant. The deodorant property of the dyed fabric stained with the Myrica rubra rind extract was 92.4% and that of antibacterial property was 99.9% for Staphylococcus aureus and Klebsiella pneumoniae bacteria respectively.

Relationship between Diversity and Productivity at Ratargul Fresh Water Swamp Forest in Bangladesh

  • Sharmin, Mahmuda;Dey, Sunanda;Chowdhury, Sangita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3호
    • /
    • pp.291-301
    • /
    • 2016
  • One of the most concerned topics in ecology is the relationship between biodiversity and ecosystem functioning. However, there are few field studies, carried out in forests,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done in controlled experiments in grassland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relationship pattern between three facets of diversity and productivity at Ratargul Fresh Water Swamp Forest (RFWSF) in Bangladesh, which is the only remaining fresh water swamp forest of the country. Sixty sample plots were selected from RFWSF and included six functional traits including leaf area (LA), specific leaf area (SLA), leaf dry matter content (LDMC), tree height, bark thickness and wood density. In analyzing TD, we used Shannon diversity and richness indices, functional diversity was measured by Rao's quadratic entropy (Rao 1982) and Faith's (1992) index was used for phylogenetic diversity (PD). It was found that, TD, FD and PD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productivity (basal area) due to resource use complementarity but surprisingly the best predictor of tree productivity was FD. The results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biodiversity loss and it is essential for conservation decision-making and policy-making of Ratargul Fresh Water Swamp Forest.

Phosphorus and Base Cation Inputs through Litterfall Components in Pine Forests after Tree Removal Due to Pine Wilt Disease Disturbance

  • Baek, Gyeongwon;Kim, Seongjun;Kim, Choonsi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3호
    • /
    • pp.296-301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litterfall and nutrient (P, K, Ca, Mg) inputs under varying degrees of disturbance by pine wilt disease in pine forests in southern Korea. Litterfall was collected to evaluate nutrient responses at different intensities of disturbance (various levels of basal area) by pine wilt disease across 2 years. Phosphorus, Ca, and Mg concentrations in needle litterfall were positively correlated (p < 0.05) with decreased disturbance intensities (increased basal area) depending on the time of sampling, whereas the nutrient concentrations in other litterfall components (branches, bark, reproductive organs, and miscellaneous litterfall)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p > 0.05) with the intensity of pine wilt disease disturbance. Dry weight and nutrient inputs through litterfall components de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intensity of disturbance by pine wilt disease (p < 0.05), except for the nutrient inputs of branch (K, Ca, Mg) and reproductive organ (K, Ca) litterf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creased litterfall across different levels of disturbance may be related to the reduced soil nutrients in pine wilt disease forests.

전남(全南) 모후산지역(母后山地域) 굴참나무천연림(天然林)과 현사시나무인공림(人工林)의 물질생산(物質生産)에 관(關)한 연구(硏究) (Biomass and Net Production of a Natural Quercus variabilis Forest and a Populus alba × P. glandulosa Plantation at Mt. Mohu Area in Chonnam)

  • 최영철;박인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2호
    • /
    • pp.188-194
    • /
    • 1993
  • 임령(林齡) 및 환경조건(環境條件)이 유사한 굴참나무천연림(天然林)과 현사시나무인공림(人工林)의 물질생산(物質生産)을 조사(調査)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전라남도(全羅南道) 모후산지역(母后山地域) 순천대학교(順天大學校) 연습림(演習林)에 위치하고 있는 평균(平均) 20년생(年生) 굴참나무천연림(天然林)과 17년생(年生) 현사시나무인공림(人工林)을 대상으로 각각 $20m{\times}30m$ 조사구를 설치하고 10주씩의 표본목을 선정한 후 뿌리를 제외한 지상부(地上部)의 현존량(現存量), 순생산량(純生産量) 등을 조사하였다. 수종별(樹種別), 부위별(部位別) 현존량(現存量) 추정식(推定式)을 유도 검정한 결과 흉고직경(胸高直徑)(D)과 수고(樹高)(H)를 독립변수(獨立變數)로 하는 상대성장식(相對成長式)(logWt=A+BlogD+ClogH)이 흉고직경(胸高直徑)만을 독립변수(獨立變數)로 하는 상대성장식(相對成長式)(logWt=A+BlogD)에 비하여 적합도(適合度)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분(林分) 전체(全體)의 지상부(地上部) 현존량(現存量)은 현사시나무림이 55,581kg/ha로서 굴참나무림의 31,275kg/ha보다 1.8배 정도 많았다. 부위별(部位別) 현존량(現存量) 구성비(構成比)는 굴참나무림과 현사시나무림 모두 줄기의 목질부(木質部), 가지, 수피(樹皮), 잎의 순(順)으로 높았으나, 굴참나무림의 경우 현사시나무림에 비하여 수피(樹皮), 가지, 잎의 구성비(構成比)는 높은 반면 줄기의 목질부(木質部) 구성비(構成比)는 낮았다. 임분(林分) 전체의 지상부(地上部) 순생산량(純生産量)은 굴참나무림이 4,267kg/ha/yr.이었으며 현사시나무림은 3,903kg/ha/yr.이었다. 부위별(部位別) 순생산량(純生産量) 구성비(構成比)는 굴참나무림의 경우 잎, 줄기의 목질부(木質部), 가지, 수피(樹皮)의 순으로 높았으며 현사시나무림은 줄기의 목질부(木質部), 잎, 가지, 수피(樹皮)의 순이었다. 순동화율(純同化率)은 현사시나무림이 3.376으로서 굴참나무림의 2.121보다 1.6배 정도 높았으며, 잎의 줄기 생산능률(生産能率)의 경우 현사시나무림이 굴참나무림에 비하여 2.4배 정도 높았다. 현사시나무림은 굴참나무림에 비하여 순동화율(純同化率)이 높은 반면 잎의 현존량(現存量)이 적기 때문에 지상부(地上部) 전체 순생산량(純生産量)은 적었으나, 지속적 축적기관(蓄積器官)인 줄기의 목질부 순생산량(純生産量)이 많기 때문에 임분(林分) 현존량(現存量)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남(全南) 모후산지역(母后山地域) 소나무-굴참나무 혼효림(混淆林)의 종간경쟁(種間競爭) 및 물질생산(物質生産) (Species Competetion and Productivity in a Natural Mixed Forest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at Mt. Mohu Area)

  • 박인협;문광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4호
    • /
    • pp.462-468
    • /
    • 1999
  • 전남 모후산지역 소나무-굴참나무 혼효림을 대상으로 종간경쟁의 양상과 물질생산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10m{\times}10m$ 조사구 10개를 설치한 후 매목조사를 실시하고 소나무와 굴참나무 각 8주씩 총 16주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여 성장특성, 물질생산구조, 현존량, 순생산량 등을 조사하였다. 평균 수령은 소나무 33년, 굴참나무는 26년이였으며, 소나무림 초기에 굴참나무가 침입한 후 상층임관에서 종간경쟁을 하고 있는 초기단계의 임분이었다. 굴참나무는 동일 수령일 때의 소나무에 비하여 수령 15년 이전까지는 흉고직경과 수고가 모두 컸으며, 수령 15년 이후에는 흉고직경은 작은 반면 수고는 수령 15년 이전보다 큰 차이로 높았다. 동일 흉고직경일 때 생산기관인 잎의 건중량은 수종간 별 차이가 없었으나, 축적기관인 줄기의 목질부, 수피, 가지의 건중량은 흉고직경이 증가할수록 굴참나무가 소나무에 비하여 큰 차이로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굴참나무는 소나무에 비하여 순동화율이 높고 현존량축적율이 낮았다. 이상을 종합하면 소나무-굴참나무 혼효림에서 굴참나무는 소나무에 비하여 수고성장이 빠르고, 동일 흉고직경일 때 잎의 건중량은 유사한 반면 생산능률이 높으며, 현존량축적율이 낮기 때문에 종간갱쟁에서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굴참나무혼효림의 지상부 전체 현존량은 87.7t/ha, 순생산량은 8.3t/ha/yr이었다.

  • PDF

합판용(合板用) 요소(尿素), 요소(尿素) 메라민 공축합(共縮合) 및 수용성(水溶性)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 접착(接着)의 증량(増量)에 관(関)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xtension of Urea, Urea-Melamine Copolymer and Water Soluble Phenol Resin Adhesives of Plywood)

  • 이필우;권진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40-50
    • /
    • 1980
  • 본(本) 연구(硏究)는 합판공장(合板工場)에서 증량제(増量剤)로 사용(使用)하고 있는 도입소맥분(導入小麥粉)을 국내(国內)에서 값싸게 생산(生産)할 수 있는 증량제(増量剤)로 대체(代替)키 위한 가능성(可能性)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実施)되었다. 증량재료(増量材料)로는 주(主)로 삼립부산물(森林副産物)을 이용개발(利用開発)키 위(爲)해서 밀가루, 목분(木粉), 수피(樹皮), 소나무낙엽(落葉), 포푸리낙엽(落葉)을 택(擇)하였으며 각각(各各) $100{\sim}105^{\circ}C$에서 24시간(時間)동안 전건(全乾) 시킨 다음 60~100mesh로 분쇄(粉碎)하였다. 증량방법(増量方法)은 요소수지(尿素樹脂)와 요소(尿素)-melamine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는 소맥분(小麥粉), 목분(木粉), 수피분(樹皮粉), 포푸라낙엽분(落葉粉)을 각각(各各) 10, 20, 30, 50%로 증량(増量)하였으며 수용성석탄산수지(水溶性石炭酸樹脂)는 소맥분(小麥粉), 목분(木粉), 수피분(樹皮粉), 소나무낙엽분(落葉粉)을 각각(各各) 10, 20, 30, 50%로 증량(増量)하였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얻은 결론(結論)은 다음과 같다. 1. 요소수지(尿素樹脂)에 있어서는 상태(常態) 및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 모두 소맥분(小麥粉)을 능가(能加)하는 증량제(増量剤)가 없었다. 2. 요소(尿素)-melamine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에 있어서 접착력(接着力)은 요소수지(尿素樹脂)보다 대체로 모두 양호(良好)하였으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에 있어서 소맥분(小麥粉)보다 좋은 접착제(接着剤)는 없었다. 3. 요소(尿素)-melamine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에 있어서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의 경우 10, 20%증량(増量)에서 포푸라낙엽분(落葉粉), 소맥분(小麥粉), 목분(木粉)이 가장 양호(良好)했으며 이들간(間)의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는 없었다. 4. 수용성석탄산수지(水溶性石炭酸樹脂)의 경우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10% 증량(増量)의 경우 소맥분(小麥粉)보다도 소나무낙엽분(落葉粉)이 더 양호(良好)하였으며 20% 증량(増量)의 경우도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는 없었다. 5. 수용성석탄산수지(水溶性石炭酸樹脂)의 경우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은 10% 증량(増量)의 경우 목분(木粉)이 소맥분(小麥粉)보다 우수(優秀)했으며 20, 30, 50% 증량(増量)의 경우 목분(木粉) 및 수피분(樹皮粉)은 소맥분(小麥粉)보다도 양호(良好)하였다.

  • PDF

붉나무 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특성과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Rhus javanica Bark)

  • 노정숙;박선이;정갑섭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55-561
    • /
    • 2017
  • 붉나무의 유용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붉나무 수피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몇 가지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73.5 mg/100g, 당도는 $17.8^{\circ}Brix$로 측정되었으며, 총방향족 화합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총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각각 흡광도 0.508, 49.88 mg/100g 및 296.6 mg/100g으로 측정되었다. 추출물의 환원력은 대조구로서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과 동량의 ascorbic acid의 27.5 %로 측정되었으나, 철환원력은 ascorbic acid와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추출물의 DPPH라디칼 소거능은 95.16 %로서 ascorbic acid와 거의 유사하였고, 금속이온 봉쇄능은 ascorbic acid의 74.73 %보다 높은 81.58 %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pH 2에서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51.76 %로 측정되었으며, Rancimat test에 의한 대두유 산화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량원소복합제가 혼합된 각종 상토에서 고토석회의 시비수준이 매리골드 플러그 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olomite Levels in Various Root Media Containing Micronutrient Mixes on Growth of Marigold Plug Seedlings)

  • 최종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7-224
    • /
    • 2006
  • 세 종류의 입상형 미량원소복합제(MF1, MF2, 및 MF3)를 조제하여 세 종류 상토에 혼합할 경우 고토석회의 시비수준이 매리골드 'Orange Boy' 플러그 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피트모스+부숙수피(1:1, v/v) 혼합 상토에 MF 1을 기비로 혼합한 경우 고토석회 무처리구에서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고, 고토석회의 혼합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생육이 저조하였다. MF 2를 혼합한 경우에는 $3.0g{\cdot}L^{-1}$ 처리에서 건물중이 식물체 0.133g으로 가장 무거웠으나 생체중은 $6.0g{\cdot}L^{-1}$ 처리에서 0.686g으로 가장 무거웠다. MF 3를 혼합한 처리와 대조구에서는 각각 $3.0g{\cdot}L^{-1}$$6.0g{\cdot}L^{-1}$ 처리에서 생체중 및 건물중이 무거워 생육이 우수한 고토석회 시비량이 달랐다. 피트모스+부숙왕겨(1:1, v/v) 혼합상토에 미량원소복합제를 혼합한 경우, 고토석회의 혼합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생육이 저조하였데 그 정도는 MF 3이 혼합된 경우 가장 뚜렷하였다. 피트모스+부숙통밥(1:1, v/v) 혼합상토에 MF 1과 MF 3을 혼합한 경우 고토석회 3.0과 $6.0g{\cdot}L^{-1}$ 처리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나, MF 2와 대조구에서는 고토석회의 시비량이 높아질 경우 생육이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에서 상토의 종류나 미량원소복합제에 따라 최대생육을 보인 고토석회의 처리량이 달랐으며, 작물재배시 이를 반영하여야 최대생육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미량원소복합제가 혼합된 각종 상토에서 용과린의 시비수준이 매리골드 플러그 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used Superphosphate Levels in Various Root Media Containing Micronutrient Mixes on Growth of Marigold Plug Seedlings)

  • 최종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6-203
    • /
    • 2006
  • 본 연구는 입상형 미량원소복합제가 혼합된 상토에 용과린의 시비량을 증가시킬 경우 매리골드 'Orange boy'의 플러그 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피트모스+부숙톱밥(1:1, v/v; PS), 피트모스+부속왕겨(1:1, v/v; PR) 및 피트모스+부숙수피(1:1, v/v; PB)의 세종류 상토에 조제된 미량원소복합제를 $0.3g{\cdot}L^{-1}$로 혼합한 후 용과린의 시비량을 달리하고, 파종 35일 후 지상부 생육을 조사하였다. PS상토에 용과린의 시비량을 증가시킬 경우 네 종류 미량원소복합제 모두 초장, 초폭, 줄기직경, 생체중 및 건물중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용과린을 $9.0g{\cdot}L^{-1}$로 시비한 경우 건물중이 MF 1은 0.066g, MF 2에서 0.103g, MF 3에서 0.077g, 그리고 대조구(micronutrient fertilizer)에서 0.095g으로 조사되어 미량원소복합제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PR 상토에 MF 1이 혼합된 경우 $9.0g{\cdot}L^{-1}$의 용과린 처리에서 건물중 및 생체중이 가장 무거웠고, MF 2에서는 $3.0g{\cdot}L^{-1}$ 처리에서, MF 3는 $9.0g{\cdot}L^{-1}$에서 그리고 대조구는 $6.0g{\cdot}L^{-1}$ 처리에서 생체중과 건물중이 가장 무거웠다. 미량원소복합제를 포함한 PB상토에서 용과린의 시비량을 증가시킬 경우 생체중 및 건물중이 증가하였고 대부분의 생육지표에서 직선 및 2차곡선회귀가 성립하여 경향이 뚜렷하였다. 그러나 용과린의 시비량은 $9.0g{\cdot}L^{-1}$로 조절한 경우 MF 1에서 0.131g, MF 2에서 0.104g, MF 3은 0.137g, 그리고 대조구에서 0.111g의 건물중을 생산하였고, MF 1과 MF 3이 MF 2나 대조구보다 작물 생육에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