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opwort powder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5초

돌미나리 가루와 맥주 효모가 알코올을 섭취한 흰쥐의 간 기능 및 혈청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wder of Small Water Dropwort (Oenanthe javanica DC) and Brewer's Yeast(Saccharomyces cerevisiae) on the Liver Function and Serum Lipid Metabolism in Alcohol-Consumed Rats)

  • 신채심;노숙령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81-291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powder of the small water dropwort(PSWD) and brewer's yeast(BY) on the liver function and serum lipid metabolism in alcohol-consuming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an AIN-93 diet(control), ethanol plus control(A), ethanol plus PSWD(AS), ethanol plus BY(AB), ethanol plus PSWD and BY(ABS) diet for seven weeks. The feed intake, bod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ratio were the lowest and in the alcohol-consuming groups. The weight of the liver, kidney, spleen and epididymis of the anatomized rat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body weight gain. Compared with group A, the content of the lipid in the serum was significantly low in the AS and AB groups. In particular, it was the most effective in the AB group. The GOT, GPT and ALP level in the seru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lcohol-consuming groups. Compared with the A group, they showed a significantly low difference in the AS and AB groups. The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in the liver were similar in all groups. The weight of the fec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in the AS and AB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Y and PSWD improve the liver function, and had an effect on reducing the lipid content of the serum and feces of alcohol-consumed rats. In particular, the effect of BY which contained protein, dietary fiber and vitamin B was higher than that of PSWD.

  • PDF

In vivo와 in vitro에서 김치 및 김치재료의 피브린 분해활성 (The Fibrinolytic Activity of Kimchi and its Ingredients in vivo and in vitro)

  • 송영옥;김미정;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33-638
    • /
    • 1998
  • Fibrionolytic activity(FA) of kimchi in rat and FAs of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kimchi ingredient were determined using fibrin plate method to see where the active principles for FA are present in kimchi. Nine Sprague-Dawley per each group were fed diet containing 3, 5 or 10% of freeze dried kimchi for 6 weeks. The FA of plasma obtained from 10% kimchi group showed stronger FA than that of control. FAs of 3 and 5% kimchi group were not noticeable. FA from methanol extract of kimchi was approximately 6 times higher than that from water extract assuming that the active material may be present in a fat soluble fraction. From water extract of kimchi ingredients, dropwort, green onion, radish and baechu showed FA in descending order. And from methanol extracts, red pepper powder, radish, green onion and baechu showed FA in decending order. The Fa of methanol extract of red pepper powder was the most noticeable among samples.

  • PDF

제주특산물을 이용한 향토국수의 개발 (Development of Regional Noodles Using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of Cheju Island)

  • 황인주;오영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61-366
    • /
    • 1996
  • Acceptable fish noodles of better nutritional and sensory values than conventional noodle made only wheat flour were prepared by mixing wheat flour and ground tile fish (Branchioste gus japonicus). In oder to mask a distinctive fish odor, various herbs and spices, such as ginger (Zingiber officinale), curry (Chalcas koenigii), nutmeg (Myristica Pagrans), garlic (Ailium sativum), black pepper (Piper nigrum), lemon (Cirtus limon) or sodachi (Citrus sudachi) were added to the basic tile fish noodle. Also,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eating qual ify and nutritional value of basic noodle were combined some agricultural or fishery products of Cheju island, citrus fruits; danyooja (Citrus danyooga), hagul (C. natfudaidai), medical plants; angelica utilis (Angelica keiskei), ginseng (Panax ginseng), cactus (Opuntia dillenii), vegetable; carrot (Daucus carota), dropwort (Oenanthe jnvanica), seaweeds; fusiforme (Hizkia fusiforme), gulfweed (Sargaceae hlvelium). The optimal mixing ratio for preparing the basic tile fish noodle amounted to ground tile fish 135 g: tile fish stock 139 $m\ell$: wheat flour 450 g: salts 10 g. The mixture of curry powder (2.5 g) and nutmeg powder (2.5 g) was proved to be the most effective combinations for masking unfavorable fish odor. The optimal amounts of materials to be added to the prepared basic noodle were 25 g citrus zest and 80m1 citrus juice for citrus fruits noodles, and ca. 140 g puree for noodles from medical plants, vegetables and seaweeds, respectively. The preference score obtained from consumer preference test, on a 9-point scales, were in oder of i) danyooja > carrot, angelica, ginseng > fusiforme, ii) hagul > dropwort, cactus > gulfweed. The shelf-life of tile fish noodle based on bacterial counting was estimated to be 7-days at 5$^{\circ}C$.

  • PDF

미나리 발효 식초의 지방세포 분화억제 및 항염증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Lyophilized Dropwort Vinegar Powder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Inflammation)

  • 박윤희;최준혁;황기;이승욱;양선아;유미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76-484
    • /
    • 2014
  • 비만은 감염원 없이 진행되는 낮은 수준의 만성적인 전신성 염증상태로 간주되며, 만성대사질환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나리를 발효하여 만든 식초가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및 RAW 264.7 세포에서의 항염증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MDI (IBMX, dexamethasone, insulin)에 의해 분화가 유발된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미나리 식초의 분화 억제능을 Oil-red-O staining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western blot법을 통해 지방세포 형성 시 중요한 전사인자인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PPAR-${\gamma}$)와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C/EBP{\alpha}$)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나리 식초가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염증이 유발 된 RAW 264.7 세포의 nitric oxide (NO) 생성을 억제시켰으며, inducible NO synthase (iNOS)와 cyclooxygenase-2 (COX-2)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미나리 발효 식초는 지방세포 분화와 염증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나리 발효 식초는 대사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천연물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1700년대~1960년대 문헌에 나타난 탕평채의 문헌고찰 (Literature Review of Tangpyeongchae in Cook Books Published in 1700~1960s)

  • 이경애;김보람;김향숙;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27-335
    • /
    • 2012
  • 탕평채의 전통 조리법 발굴을 위해 1700년대부터 1960년대의 고문헌 및 고조리서에 수록된 탕평채의 재료, 양념, 조리방법의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탕평채는 1700년대 말의 문헌인 "경도잡지"와 "고사십이집"에 처음 소개된 후 "임원십육지", "동국세시기", "송남잡식", "진찬의궤", "진작의궤", "명물기략", "규곤요람", "시의전서", "조선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주부의 동무, 조선요리제법", "조선요리학", "이조궁정요리통고",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 등에 탕평채가 수록되었다. 조선시대 궁중 연회음식을 수록한 "진찬의궤"와 "진작의궤"에는 청포채란 명칭으로 탕평채가 소개되어 있다. 탕평채의 재료 중 묵, 고기, 미나리, 숙주나물, 달걀, 김의 사용이 보편화된 것은 1900년대 중반 이후이며, 달래, 물쑥과 같은 봄나물을 재료로 사용한 기록도 있다. 1700년대 말에는 단지 초장(간장과 초로 만듦)으로만 무쳐 먹었던 탕평채는 이후 간장, 초 뿐 아니라 고추, 후춧가루, 깨소금, 참기름, 마늘, 파, 소금, 설탕 등을 사용해서 양념하여 보다 다양한 맛을 내고자 하였다. 또한 미나리, 고춧가루, 실고추, 지단채, 통잣, 잣가루, 깨소금, 김 등을 고명으로 사용했다. 탕평채의 조리방법은 1800년대 말의 문헌부터 비교적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1800년대 말에는 모든 재료를 함께 양념했으나, 1900년대에는 다른 재료를 먼저 양념하고 마지막에 묵을 넣고 무치는 방법도 사용했다.

1700년대~1960년대 문헌에 나타난 탕평채의 문헌고찰 (Literature Review of Tangpyeongchae in Cook Books Published in 1700~1960s)

  • 이경애;김보람;김향숙;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89-497
    • /
    • 2012
  • 탕평채의 전통 조리법 발굴을 위해 1700년대부터 1960년대의 고문헌 및 고조리서에 수록된 탕평채의 재료, 양념, 조리방법의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탕평채는 1700년대 말의 문헌인"경도잡지"와 "고사십이집"에 처음 소개된 후 "임원십육지", "동국세시기", "송남잡식", "진찬의궤", "진작의궤", "명물기략", "규곤요람", "시의전서", "조선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주부의 동무, 조선요리제법", "조선요리학", "이조궁정요리통고",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등에 탕평채가 수록되었다. 조선시대 궁중 연회음식을 수록한 "진찬의궤"와 "진작의궤"에는 청포채란 명칭으로 탕평채가 소개되어 있다. 탕평채의 재료 중 묵, 고기, 미나리, 숙주나물, 달걀, 김의 사용이 보편화된 것은 1900년대 중반 이후이며, 달래, 물쑥과 같은 봄나물을 재료로 사용한 기록도 있다. 1700년대 말에는 단지 초장(간장과 초로 만듦)으로만 무쳐 먹었던 탕평채는 이후 간장, 초 뿐 아니라 고추, 후춧가루, 깨소금, 참기름, 마늘, 파, 소금, 설탕 등을 사용해서 양념하여 보다 다양한 맛을 내고자 하였다. 또한 미나리, 고춧가루, 실고추, 지단채, 통잣, 잣가루, 깨소금, 김 등을 고명으로 사용했다. 탕평채의 조리방법은 1800년대 말의 문헌부터 비교적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1800년대 말에는 모든 재료를 함께 양념했으나, 1900년대에는 다른 재료를 먼저 양념하고 마지막에 묵을 넣고 무치는 방법도 사용했다.

"음식디미방","규합총서(閨閤叢書)","조선무쌍신식요이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에 수록된 시대적 흐름에 따른 부식류의 변화 (The Changes of Side Dishes in "Eumsikdimibang", "Gyuhapchongseo", "Chosunm usangsinsikyorijebub"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Time)

  • 김업식;한명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66-375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side dishes in "Eumsikdimibang", "Gyuhapchongseo", "Chosunmusangsinsikyorijebub" over time. As food ingredients, seaweed, red pepper, salted fish, Korean hot pepper paste have been used in "Gyuhapchongseo". The use of cattle by parts, saltwater fish, Chinese cabbage, powdered red pepper, garlic have increased in"Chosunmusangsinsikyorijebub". Cooking techniques, such as the use of wheat flour, a double boiler by the use of steam, and boiling and then roasting cuisine were mostly used in"Eumsikdimibang", but reduced in"Gyuhapchongseo". In "Gyuhapchongseo", the cooking methods are primarily aimed at a positive visual effect, and slices of dried meat seasoned with spices have increased. In"Chosunmusangsinsikyorijebub", various Tang (Guk), the taste of food changed by controlling the gravy content (Gigimi, Chigye, Chorim), meat mixing oil, vegetable and mushroom together to cook and boiling down the main food ingredients to soak the seasoning were increased. Dog-meat steamed dish using the intestine of dog in "Eumsikdimibang" was changed to small intestine of cattle steamed dish in "Gyuhapchongseo". And seasoned dog meat with choncho in "Eumsikdimibang" influenced on beef tail soup with Korean hot pepper paste in "Gyuhapchongseo", and Yookgyejang soup using Korean hot pepper paste in"Chosunmusangsinsikyorijebub". In steamed young chicken, the stuffing such as soybean paste, choncho, welsh onion, leek and flour in "Eumsikdimibang" was changed to minced beef, welsh onion, dropwort and Shiitake mushroom in"Gyuhapchongseo". The steamed young chicken in "Chosunmusangsinsikyorijebub" with stuffing was added to chicken soup using glutinous rice, and ginseng powder. Now, the chicken soup was changed to Samgyetang with glutinous rice, and ginseng. In "Chosunmusangsinsikyorijebub", various vegetable dishes were cooked with beef.

부산 향토음식 동래파전의 조리표준화 및 영양분석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Dong-rae Pajeon' (Local Food in Busan))

  • 김상애;신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472-1481
    • /
    • 2007
  • 동래파전의 유래에 대한 문헌이 없어 문헌적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례연구에 의하면 조선조에서 삼짇날 임금님께 진상한 음식(동래할매파전 옥호의 주인의 구술)인 상류층 음식으로, 벚꽃 피기전의 초봄의 계절음식 및 재실음식(이씨 및 왕씨 부부, 추씨 등의 민간구술)으로 이루어졌고 이로써 부산 향토음식임이 입증되었다. 동래파전의 식재료는 조선쪽파, 미나리, 해산물(대합, 홍합, 조갯살, 굴, 새우, 논고동), 쇠고기, 계란, 찹쌀 및 멥쌀가루, 맛국물(멸치, 다시마 국물)등이며, 이들 식재료를 조리 순서대로 얹어 참기름으로 구워낸 것으로 5가지 기초 식품군이 골고루 배합된 음식이다. 동래파전의 표준화에서 맛에 관련된 인자는 식재료 인자와 열원인자를 들 수 있다. 식재료 인자 중 찹쌀 및 멥쌀 가루에 멸치와 다시마의 국물을 섞은 반죽에서 쌀가루의 전분과 파가 어우러져 파전에 깊은 맛을 주고, 맛국물은 구수한 맛과 칼슘을 공급하여 파전에 맛과 영양의 상승효과를 주고 있으며, 참기름은 불포화지방산의 공급과 함께 파전에 유지맛과 고소한 맛을 주고 있다. 또한 조리 시, 강한 열원에서 번철을 달구어 식재료를 순서대로 얹어 뒤집고, 다시 반죽을 얹어 뚜껑을 덮은 후 열원을 약하게 하여 쌀 전분의 완전호화를 도와 파전의 깊은 맛을 배가시킨다 동래파전의 100g 당 에너지는 148 kcal, 단백질 8.8 g, 지방 2 g, 식이섬유 8.6 g, 칼슘 57.7 mg, 철분이 1.8 mg이었으며 1인분(245 g)당 에너지는 364 kcal, 단백질은 21.6g, 칼슘은 141 mg, 철분은 4.4 mg으로, 철분과 단백질의 함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은 시스틴, 리신, 루이신, 발린, 이소루이신 등의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으며 필수 및 비필수 아미노산의 조성이 균형된 음식이다. 구성 지방산 중 올레인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의 함량이 각각 20.5%, 20.1%, 10.4%로 불포화지방산이 58.3%이었으며 P/M/S가 0.73/0.67/1이었다. 동래파전의 섭취 증가를 위하여서는 자주 먹을 수 있는 일상의 음식으로, 또 저 연령층의 섭취확대를 위한 급식메뉴로, 그리고 때와 장소의 구애 없이 간편히 이용할 수 있고, 우리국민은 물론 외국인의 입맛을 공략할 수 있는 조리방법 개발에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향토적 동래파전의 식재료 종류와 분량, 조리법에만 중점을 둔 조리표준화를 행하였으나 향후의 연구는 동래파전의 산업화에 중점을 두고 젊은 층을 중심으로 고 연령층 등 각 연령층이 선호할 수 있는 우리전통음식인 동래파전 패스트푸드화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