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ed Citrus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4초

비타민 A와 비타민 C의 급원식품 선정 (Food Sources of Vitamin A and Vitamin C)

  • 김영남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d advocate the intake of vitamin A and C rich foods in Korean people. Forty kinds of vitamin A and C rich foods were selected by the vitamin quantity in 100g edible portion. in single serving size. and by the 1997 national food supply dat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vitamin A rich foods 1) The food sources of vitamin A present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were liver. egg/egg yolk. milk/dairy products. and green and yellow vegetables. etc. 2) The vitamin A rich foods by 100g edible portion ere in order of red pepper(dried). laver(dried). carrot. meat edible viscera. eel. etc. And the vitamin A rich foods by the vitamin A content in single serving size were in order of carrot. eel. meat edible viscera. water shield. red pepper(dried). etc. 3) The vitamin A suppling foods according to the 1997 national food supply data were in order of red pepper(dried). meat edible viscera. laver. carrot. etc. The green and yellow vegetables. fish and shellfish. and seaweeds were the most important sources of vitamin A in Korean. 2. The vitamin C rich foods 1) The food sources of vitamin C presented in the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 were strawberry. citrus fruits. and vegetables such as spinach. chinese cabbage. radish. crown daisy. etc. 2) The vitamin C rich foods on the basis of the vitamin C content in 100g edible portion were in order of sweet pepper. goose berry. citron. strawberry. water shield. etc. And the vitamin C rich foods by the quantity in single serving size were in order of strawberry. goose berry. citron. sweet pepper. lemon. etc. 3) The vitamin C suppling foods according to the 1997 national food supply data were in order of chinese cabbage. radish. citrus fruits. strawberry. etc. Not only vegetables and fruits but also seaweeds like dried laver and sea mustard were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vitamin C in korean.

  • PDF

건조유자과피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발효기간 중 이화학적 특성 및 제조된 막걸리의 관능적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Dried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Peel)

  • 양희선;황수정;이성희;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03-610
    • /
    • 2011
  • 건조유자과피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최적 첨가량을 확정하기 위하여 건조유자과피를 각각 3, 6, 9%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해서 건조유자과피를 첨가한 막걸리에서 관능적 결과가 더 낮았고, 이는 건조유자과피의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기호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거의 모든 이화학적 특성에서 각 샘플들 간의 유의차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관능적 기호도로 볼 때 건조유자과피는 3% 첨가량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그러나 대조구에 비해서 관능적 기호도가 낮으므로 이는 적절한 첨가 형태라고 볼 수 없으며, 향후 적정 첨가시기, 발효 기간 등에 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건조감귤박 및 소맥피를 급여한 말의 성장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Dried-Citrus Pulp and Wheat Bran on Growth and Meat Quality in Horses)

  • 채현석;김남영;조인철;조상래;조원모;박용상;오신애;장애라;성필남;고문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3호
    • /
    • pp.219-227
    • /
    • 2013
  •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많이 생산되는 농산부산물인 건조감귤박을 활용하여 말 사료로서의 이용성을 구명하고 사육이 완료된 말을 도축하여 육질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급여한 농산부산물은 소맥피만 급여한 처리구와 건조팰렛감귤박(20%)에 소맥피(80%)를 혼합한 처리구로 구분하여 수행하였으며 농산부산물 급여는 1일 2회 체중의 1.5%를 기준으로 급여시켰고 물과 건초는 자유 급식시켰다. 일당증체량의 변화는 소맥피급여구와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에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사료요구율은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소맥피 단독 처리구보다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말고기의 도체율은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소맥피처리구 보다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육량등급은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육색에서 명도($L^*$)은 소맥피처리구보다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에서 더 밝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황색도($b^*$)는 오히려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말고기의 물리적 변화에서 전단력은 소맥피처리구보다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더 낮은 값을 나타내면서 보수력과 가열감량도 함께 증가하였다. 일반성분에서 지방은 소맥피처리구보다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다른 성분은 비슷하였다. 무기물은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Ca, K, Mg, Cu, Mn이 소맥피처리구 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아미노산에서는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methionine, glutamic acid, glycine이 소맥피처리구보다 약간씩 증가하였다. 지방산은 소맥피+건조감귤박처리구가 stearic acid, oleic acid, eicosenoic acid, arachidonic acid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농산부산물로써 소맥피의 일부를 건조감귤박으로 대치하여도 비육 사료로 손색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감귤과피분말 및 건 표고버섯을 첨가한 돈육 소시지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Sausages with Added Citrus Peel and Dried Lentinus edodes Powders)

  • 김정현;최주락;김민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623-1630
    • /
    • 2011
  • 감귤과피 및 건 표고버섯을 첨가하지 않은 소시지를 대조군으로, 감귤과피분말 0.5%(C1), 1.0%(C2), 2.0%(C3), 건표고버섯 0.5%(L1), 1.0%(L2), 2.0%(L3) 그리고 감귤과피분말 및 건표고버섯 혼합군 0.5%(CL1), 1.0%(CL2), 2.0%(CL3)를 첨가하여 소시지의 품질 및 관능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수분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첨가군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회분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pH와 색도 적색도는 감소하고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계적 특성을 이용한 조직감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소시지 관능특성 중 8개의 특성들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제1주성분(PC1)과 제2주성분(PC2)의 변동은 58.96%와 23.08%로 총 변동의 82.04%가 설명되었다. 관능적 특성에 따른 제1주성분은 향미 특성인 짠맛, 신맛, 감귤향과 부서짐성, 돼지고기향, 단맛 그리고 부패취 3부분으로 관찰되었다. 제2주성분은 향미와 부패취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성분분석(PCA)결과 소시지 제조 시 0.5~1% 건 표고버섯 첨가는 단맛과 돼지고기향과 관련되어 있으며, 감귤과 피분말 첨가는 신맛과 짠맛을 만드는 주요한 성분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관능적 특성과 기계적 물성 강도 간 부분최소평방회귀분석(PLSR) 수행 결과, 제1주성분(T1)과 제2주성분(T2)이 각각 총 변동의 46.98%와 14.75%를 설명하여 총 변동의 61.73%를 설명되었으며 관능적 특성인 감귤향과 신맛, 짠맛, 색상이 양의 방향으로 높게 부하되어 있고, 감귤과피 분말 2.0%(C3) 및 감귤과피 분말 및 건표고버섯 혼합군 2.0%(CL3) 또한 T1에 대하여 양의 방향으로 부하되어 있었다.

건조된 감귤류(밀감 및 유자)를 혼합한 녹차의 휘발성 향기성분 (Aroma Characteristics of Dried Citrus Fruits-Blended Green Tea)

  • 전주연;최성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39-745
    • /
    • 2011
  • 다양한 생리활성과 향미가 우수한 감귤류(밀감 및 유자)를 건조한 후 중급정도의 녹차와 혼합하여 밀감-녹차 및 유자-녹차를 제조하고 기호도와 관련 있는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여 GC 및 GC-MS로 분석, 동정하고 비교하였다. 밀감과 녹차를 1:1(w/w)로 혼합한 밀감-녹차의 향기성분으로 총 52종을 동정하였다. 밀감-녹차의 향기성분은 녹차의 향기성분인 꽃향을 띄는 linalool, phenyl acetaldehyde 등과 풋풋한 향을 띄는 hexanal 등에 건조밀감 특유의 향기성분인 limonene 등의 terpene hydrocarbons의 달콤한 과일향이 혼합되어 나타났으며, 유자와 녹차를 1:1(w/w)로 혼합한 유자-녹차의 향기성분으로 총 53종을 동정하였다. 유자-녹차에는 건조유자의 향기성분 44종과 녹차의 향기성분 21종 및 공통으로 포함된 16종의 화합물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건조유자의 향기성분으로는 건조밀감과 거의 유사하게 달콤한 과일향을 띄는 terpene hydrocarbon류인 limonene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유자-녹차의 향기성분은 녹차의 향기성분인 꽃향을 띄는 linalool, phenyl acetaldehyde 등과 풋풋한 향을 띄는 hexanal 등에 건조밀감 특유의 향기성분인 달콤한 과일향이 혼합되어 나타났다.

제주도 토종 돼지고기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건조 감귤 부산물 급여 효과 (Feeding Effect of Dried Citrus Byproduct on the Quality of Jeju Native Pig Meat)

  • 양승주;정인철;문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592-599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for utiliz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citrus byproducts on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sensory score of Jejudo native pig meat. The groups are consisting of the Jejudo native pig loin without citrus byproduct ($JNP-T_0$) and the Jejudo native pig loin fed with 8% and 15% citrus byproduct during growing and fattening period($JNP-T_1$).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calorie, cholesterol content Mg, P, K, Na, vitamin $B_1\;and\;B_2$, total amino acid, and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JNP-T_0$ and $JNP-T_1$(p>0.05). It was found that palmitic acid($25.301{\sim}27.403%$) was the highest one among saturated fatty acid while oleic acid($42.234{\sim}43.061%$) was the highest among unsaturated fatty acid in both groups. In case of sensory score, the color and aroma of raw meat, and the flavor preference of boiled meat of $JNP-T_0$ were higher than those of $JNP-T_1$(p<0.05). But the taste, texture, juiciness and palatability of boiled meat were not influenced by feeding of citrus byproduct.

  • PDF

Effects of Freeze-dried Citrus Peel on Feed Preservation, Aflatoxin Contamination and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 Nam, I.S.;Garnsworthy, P.C.;Ahn, Jong H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5호
    • /
    • pp.674-680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microbial activity, during the storage period, of animal feed and any effects on in vitro rumen digestion by supplementing different levels (5.55, 11.1, and 22.2 g/kg) of freeze dried citrus peel (FDCP) to the feed compared to untreated feed and feed treated with an antifungal agent (AA) at 0.05 g/kg. In a preservation test, feed supplemented with FDCP showed no deterioration over 21 days. Untreated feed and AA-treated feed, however, showed signs of deterioration after 16 days storage. Yellow colour and red colour, measured by spectro chromameter, decreased in the untreated and AA-treated feeds, but not in feed supplemented with FDCP. Aflatoxin was detected in untreated and AA-treated feeds at 16 days (8 ppb and 2 ppb) and 21 days (8 ppb and 4 ppb), but aflatoxin was not detected in the feed supplemented with FDCP. In a second experiment, fermentation by rumen microorganisms of FDCP (22.2 g/kg) and AA (0.05 g/kg) supplemented feeds was studied in vitro. Feeds were incubated with buffered rumen fluid for 3, 6, 9, 12, 24, and 48 h. Dry matter digestibility (DMD) and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OMD) were affected by treatment, but ammonia-N, total, and individual volatile fatty acids (VFA) were not adversely affected by treatment.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FDCP might be useful for inhibiting microbial growth of animal feed during storage without disrupting rumen fermentation.

비지홍국의 색소 및 Monacolin K 함량 (Pigment and Monacolin K Content of Beni-koji Fermented with Soybean Curd Residue)

  • 윤은경;김영희;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60-364
    • /
    • 2003
  • 두부폐기물인 비지와 M. Pilosu를 이용한 홍국제조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건조분말 비지에 20%양의 물을 첨가하여 증자한 비지에 glucose(0∼10%), monosodium glutamate(0∼0.1%), 감귤과피물추출물(감귤과피 양으로 0∼0.5%)의 첨가에 따른 색소 및 monacolin K 함량을 조사하였다. Glucose 첨가량을 10%로 하였을 때 색소 생성량이 O.D.1.06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 때의 monacolin K 함량은 96.38 mg%(w/w)이었다. Monosodium glutamate는 0.01%에서 색소 생성량이 O.D. 2.26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때의 monacolin K 함량은 118.25 mg%(w/w) 이었다. 감귤과피 물추출물(g/mL)의 경우는 0.4%(v/w) 첨가하였을 때 색소 생성량이 O.D.2.61로 가장 높았으며 이때의 monacolin K 함량은 104.50mg%(w/w) 이었다.

In vitro Antioxidant and Cytoprotective Activities of the Extract of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Leaves

  • Kim, Yun-Jung;Cho, Moon-Jae;Kim Cho, So-Mi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1086-1091
    • /
    • 2008
  •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leaves were evaluated. The highest phenolic content was obtain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EF) (202.1$\pm$0.8 mg GAE/g dried extract) and it exhibited the highest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cytoprotective effects of EF on oxidative damage induced by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in a human hepatoma cell line, HepG2 cells,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intracellular antioxidant mechanisms. Treatment of HepG2 cells with EF prior to oxidative stress was found to inhibi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lipid peroxidation, and DNA damage in a dose-dependent manner.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studies on EF resulted in tentative identification of 19 compounds representing 94.3% of the total content.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EF has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us dangyuja leaves have great potential as a source for natural antioxidant which can be applied in food products.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추출한 유자껍질의 향기성분 (Volatile Compounds of Citron (Citrus Junos) Peel extracted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김영언;김인환;김흥만;이영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00-503
    • /
    • 1996
  •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유자(Citrus junos) 껍질의 향기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동결건조한 유자과피분말을 4,000psi와 4$0^{\circ}C$에서 운전하면서 이산화탄소의 소비량에 따라 4단계로 분획하여 분획별 향기성분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대한 유자의 향기성분의 수율은 0.011g/CO2(L)였으며, 최대추출 수율은 8.812g/kg이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추출한 유지과피의 주요향기성분은 dl-limonene, Υ-terpinene, linalool, sabinene, $\beta$-myrcene, $\alpha$-pinene, $\beta$-farnesene, $\alpha$-terpineol과 terpinolene 등 9종이었다. 분획별 향기성분은 휘발성이 높은 $\alpha$-pinene, $\beta$-myrcene과 dl-limonene은 추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이와 반대로 휘발성이 낮은 $\alpha$-terpineol과 $\beta$-farnesene은 추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유자의 향기성분을 추출할 경우 추출시간에 따라 얻어지는 분획의 향기성분 조성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