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se index

검색결과 809건 처리시간 0.024초

콘빔 CT 및 MLC 로그데이터를 이용한 전달 선량 재구성 시 오차 분석 (Error Analysis of Delivered Dose Reconstruction Using Cone-beam CT and MLC Log Data)

  • 정광호;박소아;강세권;황태진;이미연;김경주;배훈식;오도훈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1권4호
    • /
    • pp.332-33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콘빔 단층촬영영상(cone beam CT; CBCT) 및 다엽 콜리메이터(multileaf collimator;MLC) 로그데이터를 이용한 적응형 방사선치료기법의 체계를 구축하고, 그 과정에서의 선량 계산 오차의 양상을 팬텀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Catphan-600 (The Phantom Laboratory, USA) 팬텀을 CT와 CBCT 촬영 후 CT 영상을 이용하여 간단한 단계별조사(step-and-shoot) 방식의 세기조절방사선치료(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후 빔전달 시 생성된 MLC 로그데이터(Dynalog)를 이용하여 실제 전달된 세그먼트 별 모니터단위(MU) 가중치와 MLC 엽(leaf)의 위치를 구한 후 이를 다시 Pinnacle3에 넣고 선량을 재계산하였다. 초기 치료 계획은 치료 계획용 CT 영상($CT_{plan}$) 및 CBCT 영상($CBCT_{plan}$)에 대하여 계산되었으며, 재구성된 선량 역시 치료 계획용 CT 영상($CT_{recon}$) 및 CBCT 영상($CBCT_{recon}$)에 대하여 계산되었다. 각 선량 계산을 $CT_{plan}$을 기준으로 하여 2차원 선량분포, 감마 인덱스, 선량-부피 히스토그램(dose-volume histogram; DVH)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차원 선량분포 및 DVH 분석 모두에서 원래의 치료 계획보다 실제 전달된 선량이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임상적인 의미는 미미했다. 감마 인덱스의 경우 CBCT에 선량을 계산했을 때 치료 계획 정보나 재구성된 선량 정보를 이용한 경우 모두 오차가 크게 발생했다. 재구성된 선량은 빔의 경계 부분에서 오차가 크게 발생하였으나 그 영향은 CT 및 CBCT 영상 간 차이에 의한 것보다 작았다. CBCT 영상에 전달된 선량을 재구성하게 되면 두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오차는 더 줄어들게 되지만 $CT_{plan}$$CBCT_{plan}$의 차이에 비하여 $CBCT_{plan}$$CBCT_{recon}$ 차이는 상대적으로 작아 전달된 선량의 오차를 평가할 때 불확실성이 커졌다. 그러므로 선량 계산 오차의 양상은 셋업 오차, CBCT 영상을 이용한 선량 계산 오차 및 재구성된 선량 계산의 오차로 나누어 분석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유방암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의 호흡운동 영향 (Impact of Respiratory Motion on Breast Cancer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 정원규;정미주;신동오;김동욱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7권2호
    • /
    • pp.93-97
    • /
    • 2016
  • 유방암 환자에 대한 세기조절방사선치료(IMRT)를 수행함에 있어서 환자의 호흡이 계획표적부피(PTV) 내의 선량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호흡위상별 전산화단층 촬영술(4DCT) 영상을 획득하여 IMRT 치료계획에 적용하고 호흡위상 30%와 60%, 90%에서 PTV에 조사된 선량분포와 선량균질지수(HI), 덮힘율지수(CVI), 처방선량지수(CI)를 선량-부피히스토그램(DVH)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치료 부위의 피부에 조직보상체와 가상계획표적부피 설정을 통하여 유방암 IMRT중에 발생할 수 있는 호흡운동에 의한 부작용 감소 효과를 평가해 보았다. 조직보상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HI가 2배 증가하고 CVI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조직 보상체와 가상계획표적부피를 사용한 경우에는 환자의 호흡에 따른 표적부피 선량 변화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유방암 환자의 대한 IMRT 치료에서의 정밀도 향상을 위하여 조직보상체 및 가상계획표적부피 사용이 한가지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시마 (Laminaria japonicus) Alginate의 가열가수분해에 따른 물리$\cdot$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8. 저분자 Alginate투여에 의한 랫드의 혈청지질의 성분 변화 및 경구급성독성 실험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by Thermal Decomposition 8. Effects of Depolymerized Alginate on Serum Lipid Composition and Its Single-Dose Toxicity yin Oral Route in Rats)

  • 김육용;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3-178
    • /
    • 2001
  • 저분자 alginate인 HAG-10, HAG-50, HAG-100 및 alginate를 랫드에 35일간 섭취시켰을 때, 혈청중의 지질성분과 동맥경화지수의 측정으로 특성이 가장 좋은 저분자 alginate인 HAG-50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랫드에 경구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혈청중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s 및 phospholipid 함량과 동맥경화지수는$5\%$$10\%$HAG-50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뚜렷히 감소하여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HAG-50의 경구급성독성실험을 검토한 결과, 투여할 수 있는 최고 용량인 랫드 체중 kg당 5.0g의 용량에서도 암$\cdot$수 모두 일반상태의 이상 반응과 폐사 및 병리$\cdot$조직학적 이상을 나타내는 예는 전혀 관찰되지 않아서 $LD_{50}$치의 산출이 불가능하였으므로 HAG-50은 아주 안전한 제재임이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평균분자량 50,000 정도의 저분자 alginate인 HAG-50이 가장 우수한 지질대사 개선효과의 기능적 특성을 발휘하였으며, 경구급성독성실험 에서도 독성이 전혀 없었고, alginate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생리적 기능을 유지 향상시키면서 이용에 제한이 되고 있는 점성을 줄이고 용해도를 높혀서 alginate의 이용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식품소재라고 사료된다.

  • PDF

THI를 이용한 항공기소음이 주민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Questionnaire study conducted around Gimpo International Airport by using THI)

  • 손진희;이건;장서일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36-441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health effects of aircraft noise using THI(Todai Health Index).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round the Gimpo International Airport in Seoul, Korea from 8 August to 9 September. Study subjects, 614 resi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ollowing to the aircraft noise level: under 75WECPNL(area(1)), $75{\sim}80$WECPNL(area(2)) and $80{\sim}85$WECPNL(area (3)). Twelve scale scores are converted to dichotomous variables based on scale scores of 90 percentile value or 10 percentile value in the control group.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aking twelve scores convert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and WECPNL(area), age, gender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is conducted. Significant dose-response relationships are found in the scale of MOUT, DEPR, NERV, LIFE, where p denotes significance probability of trend test.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2 factors are extracted which may be called "somatic factor" and "mental factor".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with these factors and noise exposure is not clear. But strangely the odds ratio of mental factor in area 2 is the highest and the annoyance of this area is also higher than other areas.

  • PDF

Erectogenic Effect of the Selective Phosphodiesterase Type 5 Inhibitor DA-8159

  • Oh, Tae-Young;Kang, Kyung-Koo;Ahn, Byoung-Ok;Yoo, Moo-hi;Kim, Won-Ba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3권5호
    • /
    • pp.471-476
    • /
    • 2000
  • DA-8159, a new phosphodiesterase 5 inhibitor, was assessed for its erectogenic potential by a penile erection test in rats, the relaxation of isolated rabbit corpus cavernosum (CC), and estimation of the intracavernous pressure (ICP) in the anesthetized dog. Oral administration of DA-8159 (0.3 to 1 ${\mu}g/kg$ ) increased the number of erections in rats with increasing dosage, with the highest penile erection index at 10 ${\mu}g/kg$ DA-8159 induced the relaxation of phenylephrine (PHE)-induced contractions in the rabbit CC and decreased the $IC_{50}$ of the nitric oxide donor sodium nitroprusside (SNP) in a dose-dependent fashion. In pentobarbital-anesthetized dogs, the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DA-8159 (1~300 ${\mu}g/kg$ ) potentiated the increase in ICP induced by the intracavernosal SNP in a dose-related mann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A-8159 has significant therapeutic potential in the treatment of erectile dysfunction.

  • PDF

Antiulcer Activity of Sida acuta Burm.

  • Malairajan, P.;Gopalakrishnan, Geetha;Narasimhan, S.;Veni, K. Jessi Kal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2권3호
    • /
    • pp.150-152
    • /
    • 2006
  • The ethanol extract of Sida acuta Burm. (ALSA) whole plant was studied for its anti-ulcer activity against aspirin plus pylorous ligation induced gastric ulcer, HCl-ethanol induced ulcer, and water immersion stress induced ulcer (WISIU) in rats. We found that ALSA at a dose of 300 mg/kg, (orally) markedly decrease the incidence of ulcers in the first two models. ALSA showed reduction in gastric volume, free acidity, and ulcer index (53.69%). It has not reduced the total acidity significantly and no significant change in pH. It also showed 55.14% gastro protective activity, wheres standard drug sucralfate showed 94.85%. WISIU showed protection index 24.4%, whereas standard drug omeprazole (OMEZ) showed protection index 100%.

항산화제의 면역억제 및 항진연구 II - 항산화제인 Propyl gallate가 세포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 (Immune Suppression and Stimulation of Antioxidants II -Effect of Propyl gallate on Murine Cell Mediated Immune Functions-)

  • 유충규;황미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1-48
    • /
    • 1990
  • 황산화제인 Propyl gallate가 in vivo에서 정상 웅성 마우스이 세포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 결과, 1. Propyl gallate는 지연형과민증을 용량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2. Phagocitic index와 corrected phagocytic index는 Propyl gallate의 영향을 볼수 없었다. 3. Propyl gallate는 혈중 백혈구 수를 용량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 PDF

유전자 재조합 Human Factor VIII(GC-γ AHF)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 (Safety Evaluation of Recombinant Human Factor VIII(GC-γ AHF))

  • 김민영;손장원;신민기;배미옥;김현우;최진혁;김준성;문서현;김정현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87-98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afety of a recombinant human Factor VIII(GC-$\gamma$ AHF) manufactured by Korea Green Cross Company with different technology according to the Regulation of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l 998. 12. 3). In acute toxicity test, both genders of Sprague-Dawley rats and Beagle dogs were administered intravenously with GC-$\gamma$ AHF of three doses (3,125, 625 and 125 IU/kg), and single dose of 3,125 IU/kg, respectively. No dead animal and abnormal autopsy findings were found in Control and GC-$\gamma$ AHF treated group. Therefore, the 50% lethal dose ($LD_{50}$) of GC-$\gamma$ AHF was conidered to be higher than 3,125 IU/kg in rats and dogs. In the four weeks repeated intravenous toxicity study, GC-$\gamma$ AHF was administrated intravenosly to both genders of rats and dogs with 3 doses (500, 150, 50 IU/kg). There were neither dead animals nor significant changes of body weight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In addition, no significant GC-$\gamma$ AHF related changes were found in clinical sign, urinalysis and other finding. Statistically changes were observed in hematological, biochemical and organ weight parameters of treated groups: however these changes were not dose dependent. No histopathological lesion were observed in both control and treated animals. Above data suggest that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of test materials in rats and dogs might be over 500 IU/kg/day in this study. In ocular irritation test, any injury on iris, conjunctiva and cornea in rabbits were not observed. The acute ocular irritation index (A.O.I.), mean ocular irritation index (M.O.I.) and Day-7 individual ocular irritation Index (I.O.I.) of GC-$\gamma$ AHF were 0. In the primary skin Irritation test, the primary irritation index (P.I.I.) oj GC-$\gamma$ AHF were 0. Therefore, the GC-$\gamma$ AHF is considered not to have the primary skin and eye toxicity in rabbits. In active systemic anaphylaxis (ASA) test, GC-$\gamma$ AHF and GC-$\gamma$ AHF emulsified with Freund's complete adjuvant (FCA) did not induce any symptom of anaphylactic shock in guinea pigs. In passive cutaneous anaphylxis (PCA) test, after sensitization with antisera of GC-$\gamma$ AHF sensitized mice, blue spots were observed on the hypodermis of back of rats, but diameter of each spot was smaller than 5 mm in each test groups except the positive control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GC-$\gamma$ AHF is not conidered to have any antigenic potential. In conclusion, at levels of up to 500 IU/kg, GC-$\gamma$ AHF did not produce treatment-related toxicity under the conditions of these acute-, four week repeated-toxicity, primary skin and eye toxicity, and antigenicity test.

자동노출제어를 이용한 복부 일반 X선 검사에서 체질량지수가 입사표면공기커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ody Mass Index on Entrance Surface Air Kerma in Abdominal X-ray Radiography Using Automatic Exposure Control)

  • 구노현;윤희수;최관우;이종은;김정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659-667
    • /
    • 2018
  • 본 연구는 자동노출제어 (AEC; Automatic Exposure Control)를 이용한 복부 일반 X선 검사에서 체질량지수 (BMI; Body Mass Index)가 입사표면공기커마 (ESAK; Entrance Surface Air Kerma)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AEC를 이용하여 복부 일반 X선 검사를 시행 받은 321명을 대상으로 키, 몸무게, BMI와 ESAK의 관계 및 BMI범주 (Underweight, Normal, Overweight, Obese 1, Obese 2)에 따른 평균 ESAK값을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 몸무게 ($R^2=0.777$, p<.001)와 BMI ($R^2=0.835$, p<.001)는 ESAK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던 반면, 키 ($R^2=0.075$, p<.001)와 BMI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BMI범주에 대한 평균 ESAK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분석을 통해 유의수준 0.05에 대해 5개의 부집단이 존재하여 모든 BMI범주 간 ESAK값의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접한 BMI간 ESAK값 증가폭이 Underweight에서 Obese 2로 갈수록 점차 늘어나 BMI가 증가할수록 피폭선량이 급격하게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복부 일반 X선 검사에서 AEC를 사용할 경우 BMI가 증가함에 따라 과도한 선량이 조사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검사조건을 고정하여 촬영하는 등의 노력을 통한 선량저감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흉부 후·전방향 검사 시 보조관심영역의 변화가 노출지수와 입사표면선량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to the Exposure Index and Entrance Surface Dose according to the Sub-ROI in Chest PA Radiography)

  • 장용희;안호찬;김한용;김동환;주영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685-691
    • /
    • 2023
  • 본 연구는 흉부 후·전방향 검사 시 보조관심영역의 변화가 노출지수와 선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임상에서 적절한 보조관심영역 적용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흉부 모형 팬텀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조건은 120 kVp, 200 mA, 2 mAs로 설정하였으며, 조사야 크기는 영상수용체 전체를 포함하는 크기(17 X 17")를 적용했다. Sub-ROI는 장비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다섯 가지 방식(AEC, VR, HR, LS, SS)를 이용하였다. Sub-ROI 변화에 따른 EI의 평균값은 AEC의 경우 135.58 ± 0.89, VR은 100.80 ± 0.80, HR은 143.43 ± 0.76, LS는 103.22 ± 0.68, SS는 102.79 ± 0.84로 나타났으며, ESD의 평균값은 AEC의 경우 30.28 ± 0.50 µGy, VR은 30.16 ± 0.44 µGy, HR은 30.30 ± 0.46 µGy, LS는 30.23 ± 0.46 µGy, SS는 30.28 ± 0.51 µGy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 EI는 제조사에서 권고하는 AEC 모드를 기준으로 VR (25.7%)과 LS (23.9%), SS (24.2%)모드는 감소하였으며, HR 모드는 5.7% 증가하였다. 하지만, ESD는 Sub-ROI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므로 임상에서 Chest PA 검사 시 Sub-ROI에 따라서 EI가 변경될 수 있으니, 임상에서는 이점을 유의하여 검사조건 설정 시 Sub-ROI를 적절하게 사용해야 한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