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minant cyst specie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1초

와편모조류 Cyst 분포에 의한 한국 남서해역의 해양환경 특성 1. 가막만 와편모조류 Cyst의 시 · 공간적 분포 (Marine Environtmental Characteristics by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in the South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1.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in Gamak Bay)

  • 박종식;윤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1-156
    • /
    • 2003
  •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was monthly investigated at 6 stations in Gamak Bay, the southern Korea from April 2000 to April 2001. A total of 37 species of dinoflagellate cysts belonging to 22 genera were identified. The temporal changes of species number fluctuated with an annual mean of 8 species, 1 species at Stn. 6 in July in the middle Gamak Bay and 17 species at Stn. 2 in June southern Gamak Bay, but 11 to 20 species occurred in the northwestern Gamak Bay all the year round. The major species were Brigantedinium cariacoense, Brigantedinium simpler, Brigantedinium spp., Protoperidinium americanum, Quinquecusphix concretum, Selenopemphix quanta, Scrippsiella trochoidea, Spiniferites bulloideus, Spiniferites spp., Stelladinium reidii, Votadinium carvum, and Polykrikos sp. of kofoidii. The dominant species of dinoflagellate cysts was not evident in the over-all study areas, but in the northwestern Gamak Bay Brigantedinium spp. and Protoperidinium americanum were dominant $(50.4-76.0\%)$ during the study periods. Abundance of dinoflagellate cysts on the surface sediment in the Gamak Bay ranged from 21 cysts/g dry at Stn. 6 in July to 4,322 cysts/g dry at Stn. 4 in August with an annual mean of 688 cysts/g dry. Especially, the highest value occurred in the northwestern Gamak Bay. Heterotrophic species was more abundant than autotrophic species on the surface sediment. In particular, the former occurred in $75-94\%$ in the northwestern Gamak Bay throughout the year. The northwestern area was very different from other area in species number, dominant species and abundance of dinoflagellate cysts. It is mainly due to water stagnation and eutrophication in the area. And the seasonal abundance of dinoflagellate cysts in Gamak Bay was inversly related to water temperature.

제주 해안주변해역 표층퇴적물 중 와편모조류 시스트 군집의 분포특성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Coastal Areas around Jeju Island, Korea)

  • 박보경;김윤정;윤양호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0-321
    • /
    • 2016
  • 제주 해안선 주변 항만 표층퇴적물의 와편모조류 시스트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제주 해안을 따라 위치하는 22곳의 항만을 대상으로 2012년에서 2016년까지 격년단위로 3회 조사하였다. 조사는 소형 에크만 채니기를 이용하여 0~2 cm 두께의 표층퇴적물 표본을 채집하였다. 분석결과 출현이 확인된 와편모조류 시스트는 6그룹 9속 29종으로 Protoperidinioid Group이 13종으로 44.8%의 점유율을, Gonyaulacoid Group이 9종으로 31.0%, Calciodineloid Group이 3종으로 10.3%, Gymnodinioid Group이 2종으로 6.9%, Tuberculodinoid Group과 Diplosalid Group이 각각 1종으로 3.5%의 점유율을 보였다. 또한 정점에 따른 변화는 1~6 종으로 매우 낮았다. 시스트의 세포밀도는 13~220 cysts/g dry의 범위로 낮지만, 퇴적물의 함수율과 유의적인 회귀식을 나타내었다. 또한 일부 세립퇴적물을 나타내는 항만 및 개발에 의해 인위적으로 형성된 조수웅덩이에서는 종속영양종 출현비가 높아, 오랜 시간 유기물이 퇴적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우점종은 cyst of Gymnodinium sp 및 Protoperidinium 속 시스트가 최우점하였고, 이외 cyst of Pyrodinium bahamense, cyst of Scrippsiella trochoidea 등이 우점 출현하였다. 특히 열대 및 아열대성 유독와편모조인 P. bahamense 시스트는 제주연안에서 처음 기록되는 종으로 제주 해안주변해역의 인위적 조수웅덩이 등의 해역 수질환경 및 열대나 아열대에서 유입되는 새로운 유독와편모조류에 대한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 수립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와편모조 시스트 분포에 의한 울산연안 해역의 생물해양환경 특성 (Marine Bio-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ith the Distributions of Dinoflagellate Cyst Assemblages in the Ulsan Coastal Waters (UCW))

  • 윤양호
    • 환경생물
    • /
    • 제35권3호
    • /
    • pp.361-372
    • /
    • 2017
  • 울산연안 해역 표층퇴적물 중의 와편모조 시스트 군집에 의한 생물해양학적 환경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6년 4월 15개의 정점을 대상으로 저층의 해양환경과 와편모조 시스트를 분석하였다. 시스트 표본은 Smith-Mcintyre 채니기를 이용하여 0~2 cm의 표층퇴적물을 채집하였다. 결과, 수심의 깊은 울산연안 해역의 저층에는 저층혼탁수증의 출현하는 것으로 추정되었고,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규조에 의해 지배되는 특징을 보였다. 와편모조 시스트는 6그룹 9속 33종으로 Protoperidinioid 그룹이 17종으로 51.58%, Gonyaulacoid 그룹이 10종에 30.4%, Gymnodinioid 그룹이 3종에 9.1%, 그리고 Calciodineloid, Diplosaliod 및 Tuberculodinoid 그룹이 각 1종으로 각 3.5%의 출현점유율을 보였다. 시스트 세포밀도는 $260{\sim}1,680cysts\;g-dry^{-1}$의 범위로 육지에 인적한 해역보다 개방해역에서 높은 특징을 보였다. 우점종은 독립영양종인 Gonyaulax scrippsae, G. spinifera complex 및 종속영양종 Protoperidinium 속이었다. 이 중 종속영양종인 Protoperidinium sp.는 울산항 등 태화강 하구역에서 높은 농도로 출현하는 반면, 독립영양종은 울산항 외부의 남부개방해역에서 높게 나타나, 울산항 및 태화강 하구역은 이미 상당부분 부영양화가 진행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열대 및 아열대성 유독와편모조인 Pyrodiniun bahamense var. bahamense가 출현하는 이례적 현상이 보여져, 남해는 물론 동해남부까지도 수온 변화에 따른 열대나 아열대의 새로운 유독편모조류 유입 등에 대한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 수립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새만금 해역에서 와편모조류 휴면포자의 시공간적 분포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at the Saemangeum Area)

  • 박기홍;김근용;김창훈;김학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2-208
    • /
    • 2004
  •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was investigated by palynological processing to understand the harmful algal bloom (HAB) potential in the sediment of the Saemangeun area in 2003. In total, thirty-two dinoflagellate species were identified, and their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6-1,618\;cysts{\cdot}g^{-1}$ (dry weight). The concentrations of resting cysts were higher in the spring (26 species, $64-1,101\;cysts{\cdot}g^{-1})$ and summer (30 species, $81-1,618\;cysts{\cdot}g^{-1})$ than in the autumn (32 species, $6-1,150\;cysts{\cdot}g^{-1})$ and winter (24 species, $25-728\;cysts{\cdot}g^{-1}).$ The composition rate of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species to the total,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eutrophication process, to ranged from 6 to $29\%$ in the study area.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toxic Alexandrium tamarense/catenella $(25\%)$ followed by Gonyaulax scrippsea $(9\%)$ and toxic Protoceratium reticulatum $(5\%).$ Given the high abundance of the toxigenic dinoflagellate species, the Saemangeun area is considered to have the great potential for HABs in the future.

Suppression of Foxo3-Gatm by miR-132-3p Accelerates Cyst Formation by Up-Regulating ROS in 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 Choi, Seonju;Kim, Do Yeon;Ahn, Yejin;Lee, Eun Ji;Park, Jong H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9권3호
    • /
    • pp.311-320
    • /
    • 2021
  • Accumul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diseases.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oxidative stress that lead to such diseases like 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ADPKD) remain unclear. Here, we observed that oxidative stress markers were increased in Pkd1f/f:HoxB7-Cre mice. Forkhead transcription factors of the O class (FOXOs) are known key regulators of the oxidative stress response, which have been observed with the expression of FoxO3a in an ADPKD mouse model in the present study. An integrated analysis of two datasets for differentially expressed miRNA, such as miRNA sequencing analysis of Pkd1 conditional knockout mice and microarray analysis of samples from ADPKD patients, showed that miR-132-3p was a key regulator of FOXO3a in ADPKD. miR-132-3p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ADPKD which directly targeted FOXO3 in both mouse and human cell lines. Interestingly, the mitochondrial gene Gatm was downregulated in ADPKD which led to a decreased inhibition of Foxo3. Overexpression of miR-132-3p coupled with knockdown of Foxo3 and Gatm increased ROS and accelerated cyst formation in 3D culture. This study reveals a novel mechanism involving miR-132-3p, Foxo3, and Gatm that is associated with the oxidative stress that occurs during cystogenesis in ADPKD.

대두증산을 위한 기생선충 조사 (Survey on Soybean Parasitic Nematodes)

  • 최영연;최동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1-261
    • /
    • 1983
  • 대두에 기생하는 선충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북 및 충북의 15개시군 총 71개포장에서 재료를 채집하여 선충을 분리 동정한 결과, Aphelenchus avenue, Criconemoides informis, Ditylenchus dipsaci Helicotylenchus pseudorbustus, Heterodera glycines, Hischmanniella imamuri, Meloidogyne hapla, Meloidogyne incognita, Paratylenchus panadus, Pratylenchus thornei, Pratylenchus vulmus, Psilenchus hilarulus, Rotylenchus sp. Tylenchus sp., Tylenchorhynchus claytoni, Tylenchorynchus, Tylenchorhynchus, Xiphinema americanm 등 총 8과 14속 18종이 검출되었으며, 그중에 Heterodera glycines가 가장 중요한 종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선충의 검출율에 있어서 콩 Cyst선충은 충북이 $70\%$, 지이 $50\%$로 충북이 높았고 반면에 뿌리혹선충은 경북 $54.1\%$, 충북이 $19.1\%$로 경북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포장에 있어서 Cyst선충의 절대밀도는 토양 100l당 200.4이며 상대밀도는 $40.2\%$로 가장높게 나타났고, 뿌리혹 선충은 절대밀도가 107.1이며 상대밀도는 $21.4\%$로 다음이였으며, Rotylenchus, Tylenchorhynchus, Tylenchus, Pratylenchus, Xiphinema, Aphelenchus등의 순이였다. 피해가 심한 포장에는 콩 Cyst의 밀도가 토양 100ml 당 평균 155개이고 경한 포장에서는 평균 35개로 밀도가 높았으며 수확량은 평균 64.2kg/10a로 209.5kg/10a에 비하여 $70\%$가 감소되었다. 전피해조사포장에 있어서 콩 Cyst선충수는 수확량, 협중, 협수간에는 $r=-0.75^{**},\;r=-0.47^{**},\;r=0.38^*$로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남해중앙부해역의 표층퇴적물중 유기물과 와편모조류 시스트 분포 (A Study of Organic Matter and Dinoflagellate Cyst on Surface Sediments in the Central Parts of South Sea, Korea)

  • 박종식;윤양호;노일현;서호영
    • 환경생물
    • /
    • 제23권2호
    • /
    • pp.163-172
    • /
    • 2005
  • 남해 중앙부해역의 해양환경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표층 퇴적물중의 와편모. 조류 시스트와 유기물 분포에 대한 조사를 2002년 4월부터 2003년 1월가지 총 6회 실시하였다. 분석 항목 중 함수율, 강열감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입자성 유기탄소, 입자성 유기질소, 식물색소량은 각각 $38.7\~68.9\%\;3.9\~\;12.5\%,\;9.60\~44.05\;m9O_2\;gdry^{-1},\;3.12\~13.14mgC\; gdry^{-1},\;0.49\~2.01mgN\;gdry^{-1}$$1.61\~29.51{\mu}g\;gdry^{-1}$ 범위로 나타났다. 시스트는 18속, 31종 2미동정으로 총 33종이 동정되었으며, 우점종은 주로 독립영양종인 Spiniferites bulloideus와 Scrippsiella trocho-idea가 나타났으며 현존량은 $42\~2,880\;cysts\;gdry{-1}$ 범위로 출현하였다. 유기물 농도와 시스트 현존량은 연안해역보다 육상에서 멀리 떨어진 외해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물 기원은 육상기원보다는 해역자체 생산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성분분석결과 4월과 7월 모두 제1주성분은 "외해 유기물 집적"을, 제2주성분은 "시스트 출현량"에 의해 집약되는 특성으로 판단 할 수 있었으며, 득점분포도에 의해 남해 중앙부 해역은 3개의 해역으로 나누어졌다.

황해 남동부 해역 저질 내 와편모조류 휴면포자의 분포 (Horizont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in Sediments from the Southeastern Yellow Sea)

  • 황철희;허승;김창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8-72
    • /
    • 2009
  • To gain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for future harmful algal bloom (HAB) outbreaks and to trace the dispersal paths of dinoflagellates,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3 stations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23 different types of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were identified from the samples. Protoceratium reticulatum (1-391 cells/g dry weight), Gonyaulax scrippsae (0-254 cells/g dry weight), G. spinifera (0-301 cells/g dry weight) and Alexandrium spp. (ellipsoidal type) (0-76 cells/g dry weight) were the dominant species at all surveyed stations. The overall distribution pattern demonstrated that the resting cyst densities were highest in the offshore area and decreased gradually toward the Korean coast. On the other hand, the composition rate of resting cysts of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species to the total dinoflagellates was higher in the Korean coast region than in the offshore area. We supposed that this distribution pattern of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the hydrographic featur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Yellow Sea.

서해 곰소만에서 바지락 소화관 내용물의 변동 특성 (Phytoplankton variability in digestive tract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 김형섭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5-174
    • /
    • 2016
  • 바지락의 섭식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서해의 곰소만에서 바지락의 소화관 내용물과 표층 해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대해 정량 및 정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바지락의 소화관에는 규조류 (71.5%), 와편모류 (13.1%), 미소플랑크톤 (6.6%) 과 중형동물플랑크톤을 포함한 유기쇄설물 등이 관찰되었다. 소화관내에서 섭식량은 겨울과 봄에 많았고 여름과 가을에 낮게 나타난 반면, 표층 해수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가을에 가장 많았다. 또한 바지락의 크기가 클수록 섭식한 먹이생물의 양은 증가하였다. 소화관에서 관찰된 우점종은 저서성 규조류인 Paralia sulcata 및 Navicula arenaria와 와편모류의 cyst 이었던 반면 표층해수에서 우점종은 부유성 규조류인 Chaetoceros 속, Skeletonema 속, Asterionellopsis 속 등과 cryptomonads 및 P. sulcata이었다. 소화관 내용물 분석을 통해 바지락의 주요 먹이원은 저서성 규조류이며, 식물플랑크톤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섭식함을 확인하였다.

적조와편모조 Scrippsiella trochoidea와 해양세균 Pseudomonas spp.의 동시배양 시 지반산 조성의 변화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During Dispecific culture of Scrippsiella trochoidea a Dinoflagellate and Pseudomonas spp. marine Bacteria)

  • 임월애;김학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86-191
    • /
    • 1993
  • 우리 나라 남해 연안수역 특히 마산만에서 초봄인 3~4월에 와편모조류로서는 가장 빨리 적조를 일으키는 종인 Xcrippsiella trochoidea와 해양생태계에서 분해와 물 질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해양세균과의 상호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마산만의 저니에서 분리한 X. trochidea의 cyst를 발아시켜 배양하고 배양액에서 공존하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균 중 우점종인 Pseudomonas spp.를 S. trochoide과 함께 천연멸균해수에 투여한 후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C_{16:1},{\;}C_{16:0}$의 조성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S. trochoidea 와 Pseudomonas spp.의 동시 배양이 $C_{20:5}과{\;}C_{18:0}$의 두 지방산은 S. trochoidea 에서는 오히려 증가하였으나 Pseudomonas spp.에서는 오히려 감소되어, 이 두종의 지방산 대사과정이 서로 연관된다고 추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