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decanoic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9초

포도주 효모에 의한 중간크기의 지방산 생성 (Formation of Medium Chain Fatty Acid by Wine Yeasts)

  • 이수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32-837
    • /
    • 1989
  • 포도주 발효에 사용되는 호모균주 12종을 Murphy배지에 배양하여 중간크기의 지방산(MCFA)의 생성을 분석하였고 발효조건에 따라 그 생성량을 관찰하였다. 특히 발효력이 강한 Saccharomyces cerevisiae에 속하는 균주들은 발효초기에 decanoic acid를 약 21-26mg/1 생성하였고 발효 후기에는 약 5-10mg/1로 감소하였다. 발효조건에서 볼 때 MCFA의 생성은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당함량이 클수록 증가하였으며 또한 탄산가스의 존재 하에서도 증가하였다.

  • PDF

해교법에 의한 수상자성유체의 제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Property of Water Based Manetic Fluid by Peptization Method)

  • 오재현;김민석;김만;김성완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34-240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습식법에 의해서 초미립 마그네타이트를 합성하였으며, 이를 자성유체의 분산질로 하는 수상자성 유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합성마그네타이트의 입자표면에는 dodecanoic acid 이온의 흡착층을 형성시켜 수용액중에 안정하게 분산시켰다. 또한 합성된 마그네타이트의 기초적 물 성과 수상자성유체 제조시 계면활성제의 첨가량 및 pH의 변화등이 자성유체의 분산측성, 자기적 특성 및 콜로이드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PDF

Isolation of a Medium Chain Length Polyhydroxyalkanoic Acids Degrading Bacterium, Janthinobacterium lividum

  • Park, Jin-Seo;Park, Jeong-Youl;Joung, Pil-Mun;Park, Seong-Joo;Rhee, Young-Ha;Shin, Kwang-Soo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9권2호
    • /
    • pp.139-141
    • /
    • 2001
  • Medium-chain length polyhydrexyalkanoic acids (MCL-PHAs) degrading bacterium was isolated from the soil. The bacterium was identified as Janthinobacterium lividum by its biochemical properties, cell membrane fatty acids composition, and 16S rDNA sequence analysis. The bacterium showed a similarity of 0.911 with J. lividum according to the cell membrane fatty acids analysis and a similarity of 97% in the 16S rDNA requence analysis. Culture supernatant of the bacterium skewed the highest depolymerase activity toward polyhydroxynonanoic acid (PHN) that did not degrade the poly-$\beta$-hydroxybutyric acid (PHB). The esterase activity was also detected with p-nitrophenyl (PNP) esters of fatty acids such as PNP-dodecanoic PNP-dodecanoic acid, PNP-decanoic acid, and PNP-hexanoic acid.

  • PDF

김치를 이용한 스테이크소스의 휘발성 향기성분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Kimchi-Flavored Steak Sauce)

  • 조용범;박우포;정은주;이미정;이양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51-355
    • /
    • 2002
  • 김치를 이용한 고기 스테이크 소스를 동시 증류 추출법을 이용해 얻은 휘발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23종의 성분이 분리 동정되었다. 분리동정된 화합물들 중에서 aldehydes가 5종으로 가장 많았고, alcohols 4종, acids가 4종, 함황화합물이 3종, ketone 1종 그외 기타화합물 6종으로 나타났다. 분리 동정된 성분들 중 eugenol 성분이 39.4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dodecanoic acid 4.91%, acetic acid 1.70%, methyl 2-propenyl disulfide 1.52%, hexanal 1.51%, 2-pentylfuran 1.1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의 휘발성 성분 중 김치의 휘발성 향기 성분에는 diall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등의 sulfide류와 acetic acid, decanoic acid, dodecanoic acid 등의 acid류가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를 3배씩 희석하여 실시한 olfactory 검사에서는 RI 값 1030에서 1357까지는 대체적으로 달콤한 사탕의 향기가 강하게 나타났고, RI 1561에서는 좋지 않은 냄새가 나타났으며, RI 2000에서는 alkane향이 GC/O에서 강한 시큼한 김치 냄새가 나타났다. RI 2057에서는 sweet한 냄새가 났었고, RI 2122에서는 clover향이 나타나 eugenol 화합물로 확인되었다. RI 2251에는 rancid 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김치를 주재료로 한 스테이크용 소스는 김치를 담근지 2주 정도가 경과된 $pH\;4.0{\sim}4.7$, 총산도 $0.5{\sim}0.8%$ 김치를 이용하여 소스로 만들었을 경우에 휘발성 성분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이용하여 상품화한다면 우리나라 전통식품을 이용한 수출용 산업대체 식품으로 더욱 더 폭넓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독성 물질(내독소)의 분석 (Analysis of Toxic Substance (Indotoxin) by Gas Chromatography)

  • 이봉헌;박흥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555-560
    • /
    • 1996
  • 미생물 세포벽의 독성 물질 (내독소)을 incubator, centrifuge와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지방산 조성을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하였으며 독성 물질의 치사 독성과 발열 활성을 측정, 그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V. vulnificus의 독성 물질 (내독소)에 대해 tetradecanoic acid가, E. coli게 대 해서는 dodecanoic acid, 그리고 S. typhimurium에 대해서는 decanoic acid가 주 지방산이었으며 이들 세 지방산이 세가지 독성 물질에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70% 이상). 지방산 조성에서 특이한 점은 tetra-decanoic acid가 V. vulnificus에 대해 주 지방산이라는 점과 세가지 독성 물질 모두 hexadecanoic acid의 양이 매우 적다는 것이다 (2% 이하). V. vulnificus의 독성 물질의 mice 에서의 치사 독성 (LD50이 52.5 mg/kg)은 E. soli(56.5mg/kg)와 비슷하였으나 S. typhimunum (37.5mg/kg) 보다는 약하였으며 V. vulnificus의 독성 물질의 rabbit에서의 발열 활성은 E. coli보다 강하였으나 5S typhimurium 보다는 약하였다.

  • PDF

알킬이미다졸린과 지방산 카르바미드를 이용한 내구성 유연제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Durable Softners using Alkyl Imidazoline and Fatty Carbamide)

  • 정충호;박홍수;김영근
    • 공업화학
    • /
    • 제4권1호
    • /
    • pp.54-63
    • /
    • 1993
  • Dodecanoic acid와 tetraethylenepentamine을 반응시켜서 1, 2-disubstituted imidazoline을 얻었고, 이것을 양이온화시켜 유화형 1, 2-disubstituted imidazolinium salt를 합성하였다. 또한 docosanoic acid와 hydroxyethylethylenediamine을 반응시켜 중간생성물인 2-docosamido-2'-docosanoyloxydiethylamine을 얻었고, 다시 우레아와 반응시켜서 지방산 카르바미드를 얻었다. 이것을 역시 양이온화시켜 유화형 지방산카르바미드염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각종 염들을 블렌딩시켜 유연제를 제조한 후, 아크릴섬유에 유연처리를 하여 유연성, 평활성 및 대전방지성을 측정한 결과, 유연성과 평활성이 양호하였고 약간의 대전방지성도 보유하였다. 또한 강연도시험과 pH변화에 따른 촉감의 내세탁성 시험결과를 통하여 제조된 유연제가 내구성 유연제임을 입증하였으며, SEM으로 유연처리된 아크릴섬유의 표면구조를 관찰하였다.

  • PDF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ibacterial Activity Coix lacryma-jobi Oil

  • Diningrat, Diky Setya;Risfandi, Marsal;Harahap, Novita Sari;Sari, Ayu Nirmala;Kusdianti, Kusdianti;Siregar, Henny Kharina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100-106
    • /
    • 2020
  • Coix lacryma-jobi (Hanjeli) is known to posses anti-microbial properties. Therefore, phytochemical compounds of C. lacryma-jobi have been studied to produce novel antimicrobial agents as treatments against antibiotic-resistant bacteria.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C. lacryma-jobi oil against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subtilis. The phytochemical composition of the oil was determined via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photometry (GC-MS). Moreover, agar disk and agar well diffusion were employed to scree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oil. An agar well diffusion test was implemented to determinate MIC's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Dodecanoic acid, tetradecanoic acid, 2,3-dihydroxypropylester, 1,3-dioctanoin, N-methoxy-N-methyl-3,4-dihydro-2H-thiopyran6-carboxamide, propanamide, 5-Amino-1-(quinolin-8-yl)-1,2,3-triazole-4-carboxamide, and pyridine were identified in the C. lacryma-jobi oil. The MIC value of the oil was 0.031 g/L and the MBC of the oil was 0.125 g/L effective in all test bacteria. Dodecanoic acid display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Therefore, our research demonstrated C. lacryma-jobi (Hanjeli) oil exhibit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E. coli, S. aureus, and B. subtilis. These research suggest that C. lacryma-jobi root oil could be used for medicinal purposes; however clinical and in vivo tests must be performed to evaluate its potential as an antibacterial agent.

Methoxy Polyoxyethylene Dodecanoate의 합성 (Synthesis of Methoxy Polyoxyethlene Dodecanoates)

  • 강윤석;노승호;최성옥;남기대
    • 공업화학
    • /
    • 제9권5호
    • /
    • pp.749-753
    • /
    • 1998
  • 고급지방산 메틸에스테르의 일종인 dodecanoic acid methyl ester (DME)에 금속 산화물인 고체촉매 (W-7)를 이용하여 고온, 고압하에서 ethyleneoxide (EO)를 5, 7, 9, 및 12 몰씩 부가반응시켜 얻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methoxy polyoxy ethylene dodecanoate (MPD)류 4종을 높은 수율 (93~97%)로 합성하여 얻었다. DME는 구조적으로 활성수소가 없어서 일반적인 산, 알칼리 촉매에서는 반응이 어렵고 활성고체촉매를 사용해야 EO의 단위 몰수를 부가 시킬 수 있었다. 최종 생성물에 대한 것을 IR, HPLC 및 $^1H$ NMR를 이용하여 각각의 화합물에 대한 구조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 EO의 부가 몰수는 5.2, 7.1, 9.2 및 12.1 몰이었고, 각 몰의 평균 EO 분포는 polyoxyethylene alkyl ether (AE)처럼 정규분포 곡선을 나타내었다.

  • PDF

시판 미역 및 쌀엿의 이취성분(異臭成分) 규명 (Identification of Off-Flavor in Sea Mustard and Rice Syrup Sold in the Markets)

  • 김현위;이윤경;심건섭;장윤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28-732
    • /
    • 1998
  • 시판되고 있는 가공식품 중 이취(異臭) 미역 및 이취(異臭) 쌀엿의 냄새성분을 규명하고, 이의 발생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취 미역에서는 naphthalene,2-methylnaphthalene, 1-methylnaphthalene, 2,6-dimethylnaphthalene, 1,5-dimethylnaphthalene, 1,8-dimethylnaphthalene, 2,7-dimethylnaphthalene, 1,4,6-trimethylnaphthalene, 2,3,6-trimethylnaphthalene 등 나프탈렌계화합물들이 검출되었으며, 이취 쌀엿에서는 butanoic acid, hexanoic acid, heptanoic acid, octanoic acid, nonanoic acid, decanoic acid, dodecanoic acid,tetradecanoic acid 등 유리지방산 및 2-furanmethanol, 2-furancarboxaldehyde 이 검출되었다. 미역의 이취 생성원인은 채취선박의 페인트 오염으로부터, 쌀엿은 변패된 쌀을 당화의 원료로 사용한데 기인한 것으로 본다.

  • PDF

Biosynthesis of medium-chain-length poly(3-hydroxyalkanoates) by metabolically engineered Escherichia coli strains

  • 박시재;이상엽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35-738
    • /
    • 2001
  • Metabolically engineered Escherichia coli strains harboring a plasmid containing a novel artificial polyhydroxyalkanoate (PHA) operon consisting of the Aeromonas PHA biosynthesis related genes and Ralstonia eutropha reductase gene were developed for the production of poly(3-hydroxybutyrate-co-hydroxyhexanoate) [P(3HB-co-3HHx)] from dodecanoic acid. By applying stepwise reduction of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DOC) during the fermentation, the final dry cell weight, PHA concentration, and PHA content of 79 g/L, 21.5 g/L, and 27.2 wt%, respectively, were obtained in 40.8 h, which resulted in the PHA productivity of 0.53 g/L/h. The 3HHx fraction slowly increased during the fed-batch culture to reach a final value of 10.8 mol%. The 3HHx fraction in the copolymer could be increased by three fold when the Aeromonas hydrophila orfl gene was co-expressed with the PHA biosynthesis gen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