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urnal motio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애니메이션 모듈이 지구과학 영재학생들의 별의 일주운동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stronomical Animation Module on Earth Science Gifted Students's Conceptual Change of Diurnal Motion)

  • 조규성;정덕호;김보희;박경수;박경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0-211
    • /
    • 2011
  •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모듈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별의 일주운동 개념변화에 얼마나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별의 일주운동을 학습하지 않은 학생 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애니메이션 모듈은 Flash MX를 사용하여 3차원적 공간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개발하였다. 또한, 개별학습이 용이하도록 교사가 육성 녹음한 내용을 삽입하였고, 보충 학습자료를 제시하였다. 애니메이션 모듈은 태양계의 운동 단원으로 지구의 운동, 달의 운동, 행성의 운동으로 구성되었다. 애니메이션 모듈을 적용하기 전에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학생들의 별의 일주운동에 대한 선개념을 분석하였다. 애니메이션 모듈을 활용한 학습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사전 검사와 비교하여 개념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위도 방위별 별의 움직임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 3명의 학생은 모든 방향에 걸쳐 정확하게 나타냈다. 그리고 4명의 학생들이 별의 일주운동 모습이 모든 방향에서 직선 형태로 움직인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중위도에서 별이 움직이는 각도가 직각으로 움직인다고 생각했던 4명의 학생 모두 비스듬하게 움직이는 것으로 개념이 변화하였다.

Observation of Semi-diurnal Internal Tides and Near-inertial Waves at the Shelf Break of the East China Sea

  • Park, Jae-Hun;Lie, Heung-Jae;Guo, Binghuo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3권4호
    • /
    • pp.409-419
    • /
    • 2011
  • Semi-diurnal internal tides and near-inertial waves are investigated using moored current meter measurements at four sites along the shelf break of the East China Sea during August 1987 and May-June 1988. Each mooring is equipped with four current meters spanning from near surface to near bottom. Spectral analyses of all current data reveal dominant spectra at the semi-diurnal frequency band, where the upper and lower current measurements show out-of-phase relationship between them with significant coherences. These are consistent with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rst-mode semi-diurnal internal tide. Strong intensification of the near-bottom baroclinic currents is observed only at one site, where the ratio of the bottom slope to the slope of the internal-wave characteristics at the semi-diurnal frequency is close to unity. An energetic near-inertial wave event is observed during the first half of May-June 1988 observation at two mooring sites. Rotary spectra reveal that the most dominant signal is clockwise rotating motion at the near-inertial frequency band. Upward phase and downward energy propagations, shown in time-depth contour plots of near-inertial bandpass filtered currents, are confirmed by cross correlations between the upper- and lower-layer current measurements. The upward-propagating phase speed is estimated to be about 0.13 cm $s^{-1}$ at both sites. Significant coherences and in-phase relationships of near-inertial currents at the same or similar depths between the two sites are observed in spite of their long distance of about 110 km.

십이직(十二直)의 천문학적(天文學的) 의의(意義)와 역일(曆日)에의 장기적(長期的)인 배당방법(配當方法)에 관(關)하여 (ON THE ASTRONOMICAL SIGNIFICANCE OF 12 CHIH AND ITS LONG TERM ASSIGNMENT TO CALENDAR)

  • 이은성
    • 천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7-54
    • /
    • 1978
  • Twelve Chih was sasigned to each day in the old Chinese calendar. This paper clarifres the relations between 12 Chih and the diurnal motion of Big Dipper or the clock, and it shows the long term table and formula for the dayly assignment of 12 Chih in the calendar.

  • PDF

A Study on an Analysis and Design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Heumgyeonggak-nu

  • Kim, Sang Hyuk;Yun, Yong-Hyun;Ham, Seon Young;Mihn, Byeong-Hee;Ki, Ho-Chul;Yoon, Myung-Kyoo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4권2호
    • /
    • pp.171-182
    • /
    • 2017
  • In this study, the internal structure of a Heumgyeonggak-nu (欽敬閣漏) was designed,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was analyzed. Heumgyeonggak-nu is an automated water clock from the Joseon Dynasty that was installed within Heumgyeonggak (欽敬閣), and it was manufactured in the $20^{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jong (1438). As descriptions of Heumgyeonggak-nu in ancient literature have mostly focused on its external shape, the study of its internal mechanism has been difficult. A detailed analysis of the literature record on Heumgyeonggak-nu (e.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ndicates that Heumgyeonggak-nu had a three-stage water clock, included a waterfall or tilting vessel (欹器) using the overflowed water, and displayed the time using a ball. In this study, the Cheonhyeong apparatus, water wheel, scoop, and various mechanism wheels were designed so that 16 fixed-type scoops could operate at a constant speed for the water wheel with a diameter of 100 cm. As the scoop can contain 1.25 l of water and the water wheel rotates 61 times a day, a total of 1,220 l of water is required. Also, the power gear wheel was designed as a 366-tooth gear, which supported the operation of the time signal gear wheel. To implement the movement of stars on the celestial sphere, the rotation ratio of the celestial gear wheel to the diurnal motion gear ring was set to 366:365. In addition, to operate the sun movement apparatus on the ecliptic, a gear device was installed on the South Pole axi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manufacture and restoration of the operation model of Heumgyeonggak-nu.

지구과학 교과 영역 탐구 활동 소재로서의 월면 회전 (An Inquiry Activity in the Subject Matter of Earth Science: Apparent Rotation of Lunar Configuration)

  • 김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591-605
    • /
    • 2006
  • 본 연구는 달의 일주 운동에서 관찰되는 월면 무늬의 겉보기 회전 운동에 관해서 정량적으로 기술하고 관측 결과를 제시하여 지구과학 교과 관점에서 지구 자전 현상과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달의 일주 운동 관측이 지구과학 교과 영역에서 수행할 수 있는 탐구활동 소재 중의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월면 무늬 회전은 지표면에 서 있는 관측자가 일주 운동하고 있는 달을 보고 있을 때 달 표면에 있는 어두운 무늬들이 지평선에 대해서 회전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이 현상은 육안으로도 쉽게 관측되므로 지구과학 탐구 요소로서 의문을 품어볼 만한 자연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이 현상을 지구 자전과 관련된 내용으로 소개하고 있는 지구과학 전공 영역 서적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월면 회전 현상의 이론적인 원리를 수학적으로 상세히 유도하고, 실제관측을 통하여 이 현상이 지구과학 교과 영역의 탐구 소재로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월면의 역회전 현상을 제시하고, 이를 수학적으로 증명하였으며 정성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설명 방법을 고안하여 소개하였다.

Chandler Wobble and Free Core Nutation: Theory and Features

  • Na, Sung-Ho;Roh, Kyoung-Min;Cho, Jungho;Yoo, Sung-Moon;Choi, Byungkyu;Yoon, Hasu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6권1호
    • /
    • pp.11-20
    • /
    • 2019
  • Being a torque free motion of the rotating Earth, Chandler wobble is the major component in the Earth's polar motion with amplitude about 0.05-0.2 arcsec and period about 430-435 days. Free core nutation, also called nearly diurnal free wobble, exists due to the elliptical core-mantle boundary in the Earth and takes almost the whole part of un-modelled variation of the Earth's pole in the celestial sphere beside precession and nutation. We hereby present a brief summary of their theories and report their recent features acquired from updated datasets (EOP C04 and ECMWF) by using Fourier transform, modelling, and wavelet analysis. Our new findings include (1) period-instability of free core nutation between 420 and 450 days as well as its large amplitude-variation, (2) re-determined Chandler period and its quality factor, (3) fast decrease in Chandler amplitude after 2010.

Tidal and Sub-tidal Current Characteristics in the Kangjin Bay, South Sea, Korea

  • Ro, Young-Jae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2권1호
    • /
    • pp.19-30
    • /
    • 2007
  •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meter records along with wind records for over 500 days obtained in the Kangjin Bay, South Sea, Korea spanning from March, 2003 to Nov. 2005. Various analyses include descriptive statistics, harmonic analysis of tidal constituents, spectra and coherence, the principal axis, progressive vector diagrams. These analyses can illustrate the response of residual current to the local wind resulting in the net drift with rotational motion. Current speed ranges from -28 to 33 (cm/sec), with standard deviations from 6.5 to 12.9 (cm/sec). The harmonic analyses of the tidal current show the average form number, 0.12 with semi-diurnal type and the rectilinear orientation of the major axis toward northeast. The magnitudes of the semi-major range from 12.7 to 17.7 (cm/sec) for M2 harmonics, while for S2 harmonics, they range from 6.3 to 10.4 (cm/sec), respectively. In the spectral and coherency analysis of residual current and wind, a periodicity of 13.6 (day) is found to be most important in both record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net drift of residual current. The progressive vector diagrams of residual current and wind show two types of behaviors such as unidirectional drift and rotational motion. It was also found that 3 % rule holds approximately to drive 1 (cm/sec) drift current by 30 (cm/sec) wind speed based on the correlation of the semi-major axis of wind and residual current.

충북 청원군의 안개, 이슬, 서리의 산성도 연구 (An Acidity Study of Fog, Dew and Frost Observed in Chongwon, Choongbook)

  • 정용승;김태군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5-51
    • /
    • 1992
  • A study on acidity in fog, dew and frost was carried out. Samples were taken during May 1990-February 1991 at two sites in Chongwon, Choongbook. The acidity of dew and of fog collected from grass at site A was 4.89 and 5.46, respectively. Dew in summer showed very strong acidity. The volume of dew deposited on grass was much less than the volume of rain, but dew is effective to diffuse acid predursors and acid materials. Dew and fog can remove more effectively atmospheric acid materiasl deoposited on grass by diurnal turbulent motion rather than direct absorption of acid predursors and materials in the atmosphere. In a polluted area, acidic dew and fog can be occurred by the direct absorption and oxidation of acidic predursors in the atmosphere as well as the role of wet removal on grass surface. Acidity of frost collected on teflon surface showed little difference to acidity of dew and fog on teflon surface. This suggests a similar absorption mechanism of atmospheric precursors and materials into dew and frost in the atmosphere. Strong acidity in dew, fog and frost appeared to occur from local pollution sources of several ten kilometres. In particular, strong acidity in dew, fog, and frost together with acid rain can accelerate a damage in ecosystems. Discussion is made on scientific analyses and seasonal variations of acidity of fog, dew and frost. A mechanism on acidification of fog, dew and frost is also discussed.

  • PDF

강릉과 원주지역의 야간 오존 변화에 대한 분석 (The Analysis of the Nocturnal Ozone Variations over Kangreung and Wonju)

  • 김현숙;이현진;김재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74-483
    • /
    • 2004
  • 이 논문은 강릉과 원주지방의 오존의 일변화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원주지방의 오존의 일변화는 대도시 지역에서 관측되어지는 오후에 최대치, 일출부근에 최소치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강릉지방의 일변화에서는 오후에 최대치를 보여주나 새벽 3시경이 2차 극값이 관측되어졌다. 3차 극값의 경우 오후 최대 값보다 높은 값이 종종 관측되어졌다. 이와 같은 새벽에 발생하는 오존 상승은 일년 내내 관측되어졌으나 그 양과 범위에서 봄철이 가장 뚜렷하였다. 이와 같은 새벽 오존 상승에 대한 원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상인자와 오존의 상관관계와, HYSPLIT모델을 이용하여 공기의 기원을 조사하였다. 새벽 오존 농도 상승이 나타나는 날은 바람이 강하고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날이었다. 새벽오존 농도 상승이 일어날 때 모델을 이용한 공기의 기원을 분석해본 결과 서풍이 불면서 하강운동이 동반한 경우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편서풍이 강하게 부는 봄철에 대도시가 밀접한 강릉의 서쪽 지역에서 이동되어온 오존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이런 경우 밤에도 바람이 강하게 불어 강력한 혼합현상에 의해 오존이 풍부한 대기 상층의공기가 하부로 유입되면서 지표 부근 오존의 양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에서 관측된 수온과 염분 자료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bserved at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 오경희;박영규;임동일;정회수;심재설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25-234
    • /
    • 2006
  •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에 설치된 해양환경모니터링시스템을 이용하여 얻은 수온과 염분 자료를 이용하여 이어도 기지주변의 해수 특성과 양자강에서 유출되는 저염분수의 특징, 태풍에 의한 해수 성질 변화를 파악하였다. 수온은 정확도가 매우 높은 반면, 염분자료의 정확도와 안정도는 비교적 낮았다. 여름철 표층에서 강하게 나타나는 수온과 염분의 일변화는 태양일사량의 변화 이외에도 조석에 의한 수층의 수직운동에 의해서 발생하였다. 계절변화는 수온자료에서만 발견되었다. 염분의 가장 큰 변화 원인은 양자강에서 유입되는 담수로 약 $3{\sim}4$일 사이에 최대 8 psu 정도의 변화를 일으킨다. 2003년 8월과 2004년 8월 제주도 남서부 해역에서 저염분수가 발견되기 약 10일 전에 이어도 기지에서도 저염분수가 관측되었으나, 2005년 7월에는 이어도 기지에서만 저염분수가 관측되었다. 즉, 이어도 기지를 통과한 저염분수가 반드시 제주도 근해까지 확장하지는 않는다. 2003년 9월과 2004년 8월에 강력한 태풍이 이어도 기지 근처를 지나갔는데, 태풍에 의한 영향은 약 $3{\sim}4$일 간 지속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