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8초

Heilianthus annuus에 의한 오염된 하천에서의 Phytoremediation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Phytoremediation in Polluted Stream by Heilianthus annuus)

  • 최문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4호
    • /
    • pp.165-171
    • /
    • 2006
  • 본 연구는 비교적 저농도로 오염된 하천수를 대상으로 phytoremediation 기법으로 정화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온실에 식물 반응조를 설치하여 해바라기 일종인 Heilianthus annuus의 성장에 따라 영양염의 처리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현장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H. annuus을 식재한 인공부도(artificial floating island)를 관개수로에 설치하여 식물의 질소, 탄소 및 수소 함유량 증가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7월부터 9월에 이르기까지 유입수 용존 무기질소(DIN)의 농도를 $28.5\sim199.2mg/l$, 유입수 용존무기인(DIP)의 농도를 $13.3\sim25.4mg/l$ 까지 변동 시켰을 때, 농업용수 기준보다 매우 높은 고농도임에도, 식물체의 성장장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때 DIN 제거율은 평균 3일의 체류시간에서 $81.7\sim98.6%$였으며, DIP 제거율은 $81.9\sim98.4%$로 나타났다. 또한 효율적인 처리기간은 48시간으로 확인되었다. 인공부도에 식재한 H. annuus의 질소, 탄소 및 수소의 함유량을 보면 질소의 경우 줄기에서 $3.2\sim7.8%$, 뿌리에서 $3.0\sim6.3%$를 보였다. 탄소는 줄기에서 $40.1\sim57.7%$, 뿌리에서 $43.4\sim53.8%$의 함유량을 보였다.

계화 간척지구 강우 유출수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a Reclaimed Rice Paddy Field)

  • 여미미;이제도;우강화;김영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9-1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계화간척농지로부터 발생 되는 비점원 오염물질 유출현황을 조사하였다. 간척 논면적은 2,988ha로 크게 1,181ha와 1,817ha 크기의 두개의 소유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개의 소유역에 대해 각각 3번의 강우사상에 대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강우량은 각각 66.0, 23.5, 23mm이었다. 간척농지에서 오염물질 유출 특성은 일반 내륙의 논에서와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논에서는 발생되는 비점오염부하는 큰 반면에 연구대상 간척농지에서 발생되는 TSS, TN, TP의 비점오염 유출수준은 일반 임야지역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른 유역과 다르게 질소의 경우 용존성 유기질소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인의 경우에는 용존성 인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 PDF

대청호 저토의 N, P및 Si 영양염 함량과 조류생장잠재력 (The Contents of Nitrogen, Phosphorus, Silicon Nutrient and Algal Growth Potential (AGP) in the Sediment of Taechong Reservoir)

  • 조경제;신재기
    • 생태와환경
    • /
    • 제34권2호통권94호
    • /
    • pp.106-118
    • /
    • 2001
  • 대청호내 3개 지점에서 저토의 영양염을 조사하여 수층과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생장 잠재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저토-수층의 경계면에서 DO는 0.5 mg $O_{2}$/l 이하로서 무산소 상태였다. 공극수의 전기전도도는 저토보다 1.9${\sim}$2.6배 더 높았고 수심이 얕을수록 변동폭이 컸다. Eh는 -12${\sim}$-148mV 범위였고 가비중은 1.17${\sim}$1.30g/cm$^{3}$ 범위로서 지역간에 차이가 크지 않았다. 함수율과 유기물 함량은 각각 58%${\sim}$72%, 8${\sim}$13% 범위로서 댐 부근에서 높았고 옥천천에서 낮았다. 저토의 입도 조성은 사질이 97%를 차지하였다. 저토내 총세균수와 규조류의 세포밀도는 수심이 깊은 하류에서 높았다. 공극수와 치환성의 질소와 인 함량에서 입자성이 용존성보다 풍부하였고, 무기 질소로는 NH$_{4}$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유기와 무기 질소 형태로 볼 때, 공극수내 질소함량은 무기 질소가 많았고, 치환성 질소는 유기 질소가 많았다. 공극수 인 함량에서 용존 유기 인이 많았고 치환성은 무기 인이 많았다. 저토내 규소는 치환성이 최대 63%로서 공극수보다 훨씬 많았다. 대청호의 저토는 유기물이 풍부한 부영양 상태로 평가되었다.

  • PDF

무안반도 연안수질의 시ㆍ공간적 변동과 소규모 방조제의 영향 (Temporal and Spatial Fluctuations of Coastal Water Quality and Effect of Small Tide Embankment in the Muan Peninsula of Korea)

  • 이대인;조현서;이규형;이문옥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4-36
    • /
    • 2003
  • 본 연구는 무안반도 주변 연안수질의 계절별, 조석별 변동과 방조제의 수문개방시 시간에 따른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주요 수질인자 중 용존산소는 하계의 대부분 정점과 추계 썰물시 저층에서 불포화상태를 나타내었지만, 다른 조사시기에서는 대부분 포화상태를 나타내었는데, 광합성에 의한 영향보다는 기후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생물성장에는 악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였다.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춘계 밀물시와 추계의 밀물과 썰물시에 표층과 저층 모두 평균 2㎎/L이상의 고농도를 나타내고 있어 해역수질환경 기준 II등급을 초과하였는데, 이것은 이 지역이 매우 낮은 Chl. a농도로 보아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유기물보다는 이 시기에 증가된 저층교란에 의한 부유물질과 담수유입의 영향이라 판단되었다 용존무기질소는 전 조사기간에 걸쳐 0.11~8.63㎍-at/L의 변동범위로 하계와 추계에서 다소 높고, 조석별 차는 뚜렷하지 않았으며 저층에서 놀게 나타났다. 용존무기인은 ND~2.08㎍-at/L의 변동범위를 보였으며 춘계를 제외하고는 평균 0.30㎍-at/L이상의 다소 높은 값을 보였다. N/P비는 대부분 16이하로 조사해역은 질소가 식물플랑크톤 등의 기초생산자에 대한 성장을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부영양화 지수는 대부분 1이하였으나, 추계에는 밀물시 방조제 지선 주변해역에서 1이상의 부영양화 현상을 나타내었고 썰물시에는 남부해역에서 부영양화 현상을 나타내었다. 추계 강우시 방조제 수문을 약 12분 동안 개방으로 인해 담수가 방류된 후 조석류에 따라서 방조제와 지선 주변해역에서 COD, DIN, DIP 등의 농도가 1시간 내지 2시간 안에 일시적으로 급증하였으나 그 후 다시 감소하여 방류전의 농도로 회복하는 특성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해역의 지속적 건강성을 위해서는 간석지 매립에 의해 조성된 방조제를 통한 방류량 및 오염부하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가막만 북부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특성 2. 수질환경과 엽록소 a량의 변동특성 (Variati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the Northern Kamak Bay. Southern Korea)

  • 윤양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429-436
    • /
    • 2000
  • In order to study on the variati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chlorolphyll a concentration the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daily or three times a week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90 to November 1991 at Kukdong port located in the northern Kamak bay of Southern Korea I made an analysis on biological factor as chlorophyll a concentration as well as physico-chemical factors such as water temperature salinity sigma-t dissolved oxygen, nutrients (ammonia, nitrite, nitrate, phosphate, and silicate) N/P ratio and chemical oxygen demand. In Northern Kamak bay seasonal variations in physical factors such as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sigma-t were very marked. On the other hand chemical factors such as nutrients concentration and COD were not so. Chemical factors, in particular silicate were influenced by input of freshwater. And the roles of silicate on the season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species composition was very low. Phytoplankton biomass as measured by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as very high all the year round and it was controlled by the combination of several factors especially of N/P ratio determined by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 PDF

2009년 남해안 전역에 발생된 고니아룩스 적조에 관한 연구 (The Massive Blooms of Gonyaulax polygramma (Gonyaulacales, Dinophyceae)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of Korea in Summer, 2009)

  • 조은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12호
    • /
    • pp.1521-1531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ine environment, including nutritional content,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outbreaks of Gonyaulax polygramma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in August, 2009. Samples were collected at 13 sites and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measured using a CTD. Field surveys were twice: the first between August 5-7, the second between August 22-24. The cell density of G. polygramma was 6,500-10,000 cells $ml^{-1}$ during the $1^{st}$ survey, whereas during the $2^{nd}$ survey the range of the cells was recorded from 8,000 to 12,500 cells $ml^{-1}$. Cochlodinium polykrikoides ranged from 0 to 105 cells $l^{-1}$ during the field survey. In water environments, the majority stations during the $1^{st}$ survey showed a nearly homogeneous water column below $1^{\circ}C$ in temperature, as well as similar profiles of salinity. However, the stratification between the surface and bottom was observed in the $2^{nd}$ survey. Regarding nutrients,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in the surface ranged from 0.144 to 0.236 mg $l^{-1}$ during the $1^{st}$ survey, and 0.082-0.228 mg $l^{-1}$ during the $2^{nd}$ survey. DIP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concentration between the $1^{st}$ and $2^{nd}$ survey. During August of 2009, the wind speed in the southern waters remained at around ${\leq}2\;m\;s^{-1}$ for about 60% of time, and there was very little precipitation during the month. Irradiance of ${\geq}10$ hr was shown in the late of August. It is thought that a low level of DIN and salinity play an important role as an essential factor for rapid growth, wide distribution and longer duration of red tide in G. polygramma.

Factor Analysis of the Seawater Quality of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 Lee Yong-Hwan;Jung Kyoo-Jin;Kim Hak-Ko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6권3호
    • /
    • pp.140-148
    • /
    • 2003
  • On the basis of factor analysis, station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ir similar characteristics of seawater quality. The data for fact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the 15 stations from Dukryang Bay to Ulsan Bay on the southern cost of Korea. The study was based on the data from 1991 to 2000. The 8 water quality items analyzed were temperature, salinity, pH, DO, COD, DIN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P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and SS (suspended solid). Analysis of 6 water quality items including DO with the exception of temperature and salinity showed that 15 stations were grouped into two zones, i.e., the western and the eastern coast, by the axis of Samcheonpo-Jinju Bay-south of Geoje, 3 seawater zones in all. The adjacent stations to the southward or northward but not those to the eastward or westward were classified into the same group. On the analysis of all of the 8 water quality items, the stations of Dukryang Bay and Goheung; and those of Onsan and Ulsan Bay were classified into the same group. Yeosu and Namhae stations were sectioned into 1 group on the all seawater quality items but DIP, Samcheonpo and south of Geoje stations another group on all seawater quality items but water temperature, and Masan and Busan stations in the other group on all seawater quality items but DO. The stations from Dukryang Bay through Goheung to east of Geoje were grouped together on the COD item, and this showed somewhat different tendency in other seawater quality items.

방사무늬김 황백화 발생에 해양환경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a discoloration outbreak of Pyropia yezoensis)

  • 이상용;김영희;이지은;유현일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535-544
    • /
    • 2019
  • 김 황백화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김양식장에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양식환경 특성과 황백화 피해 엽체의 형태 및 세포구조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금강 하구역에 위치한 개야도에서는 황백화가 확인되지 않았고 새만금방조제 주변의 도청리, 비안도, 무녀도와 선유도에서 황백화가 발생하였다. 김의 황백화 피해는 2011년 11월, 2014년 4월과 11월에 확인되었으며, 황백화 피해 엽체는 엽체 퇴색과 세포 내 액포 비대가 발생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황백화는 DIN과 DIP의 농도가 각각 5 μM와 0.4 μM 이하에서 발생하였다. 용존무기질소(DIN)와 용존무기인(DIP)의 비를 통해 결핍된 용존무기영양염을 확인한 결과 DIN 결핍은 양식 초기, 낮은 DIP 농도는 양식 말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Performance of a Foam Fractionator in a Lab-scale Seawater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 Peng Lei;Jo Jae-Yo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6권4호
    • /
    • pp.187-193
    • /
    • 2003
  • The performance of a foam fractionator to remove TAN, $NO_2,\;NO_3$, TSS, protein, and $PO_4-P$ at different superficial air velocities and foam overflow heights was evaluated in a lab-scale seawater recirculating system for culture of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The foam overflow rate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uperficial air velocities, but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foam overflow heights. Concentrations of all the water quality variables in the foam condensate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foam overflow height, but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uperficial air velocities. TSS, protein, and phosphate enrichment factors were within the range of 6.4-39.4, 1.6-7.3 and 1.2-3.9, respectively. Low values of TAN, $NO_2,\;and\;NO_3$ enrichment factors were obtained and they indicate that foam fractionation is rot an effective way to remove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The calculated maximum daily removal values for TSS and protein were 10.9 and 1.4g, respectively.

GIS를 이용한 연안 수질등급 평가 (The Assessment of Coastal Water Quality Grade Using GIS)

  • 정종철;조홍래
    • 환경영향평가
    • /
    • 제15권1호
    • /
    • pp.45-5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spatiotemporal variation of coastal water quality according to time and location changes. For this we developed numerical marine trophic index base on four water quality components (chlorophyll, suspended solids,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and phosphorus) and applied this index to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d in the korean coastal zone for the 7-years period from 1997 to 2003. Water quality data are obtained only at selected sites even though they are potentially available at any location. Therefore, in order to estimate spatial variation of coastal water quality,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unknown values at unsampled locations based on observation data. In this study, we used IDW (Inverse Distance Weighted) method to predict water quality components at unmeasured locations and applied marine trophic index to predicted values obtained by IDW interpo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arine trophic index and spatial interpolation are useful for understanding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water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