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ourse context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1초

온라인 시민 사회운동의 공론화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안티닉스 운동 게시판 분석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Process of Public discussion about the On-line civic Social Movement)

  • 정재철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3권
    • /
    • pp.253-285
    • /
    • 2006
  • 본고는 개별 시민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체감하는 문제들을 네트 상에서 제기하고 동일한 이해를 갖는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조직되는 개인 차원의 온라인 시민 사회운동에 관심을 갖고 안티닉스 운동을 사례로 삼아 운동의 공론화는 누가 어떤 과정으로, 어떻게 진행했으며, 어떤 결과를 낳았는가와 안티닉스 운동의 공론화 과정에서 형성되는 담론의 특징은 무엇인가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안티닉스 운동은 사이트 운영자와 그를 따르는 적극적 참여자에 의해 주도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 전반에 걸쳐 사이트 운영자의 다양한 운동 전략이 사이트 방문자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안티닉스 운동의 성공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안티닉스 운동 게시판의 공론장은 익명성을 바탕으로 욕설과 비방이 주를 이루기보다는 전통적 공론장의 기능과 역할에 가깝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일시적으로 난장의 요소가 지나쳐 공론장의 기능을 약화시키는 경우, 이를 견제하는 이성적인 참여자들이 등장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게시판 운영자의 전략적이며 효과적인 대응 역시 안티닉스 운동의 공론장이 전통적인 공론장에 가깝게 기능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주거변화의 일상사적 담론과 한국 주거의 근대화과정 (Discourse of "Alltagsgeschichte" and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n Housing)

  • 전남일;홍형옥;양세화;손세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181-19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n housing during the past one century. To following up the changes of everyday lives of common peoples, magazines, news papers, tourist's records and gossip items were collected and interpreted from the microscopic point of view. In this study arguments on 'modernity' of korean housing was focused on some issues, thus, separation, differentiation, individualization, as well as privatization. Concrete discourses are; firstly, spatial isolation of housing and urban place each other, secondly, functional division of inner spaces of housing, and lastly, guarantee of privacy sphere. Historical changes of housing showed some meaningful phenomena. Before modernization housing was place of reproduction and consume at the same time. However after modern urban space came into existence and work and rest were separated, housing gained only mono function. Thus, housing have only one meaning as private place for nuclear family, that is "Home, Sweet Home." Instead of past multi-functional rooms, functional prescribed rooms, for example, dinning room, were newly born. In the past, the boundary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here was not clear. For examples, everyday experiences of family were extended to the street and in the house in most cases spaces were shared. But after modernization the scale of individual spaces become larger and private life can be secured. Consequently, history of everyday life from traditional agricultural society to industrialized modern society demonstrates the structural context between the micro and macro dimension in the fields of human life. In other words, everyday lives and macro history response each other and create new perception of time-space structure in the modern housing.

동시대 예술 형식의 상호성과 공유 가능성 -니콜라 부리오의 포스트프로덕션 개념을 중심으로- (Collaborative Dispositions of Participatory Arts in Contemporary Practices -Based on Nicolas Bourriaud's Notion of Postproduction-)

  • 백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88-101
    • /
    • 2018
  • 본고는 니콜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의 포스트프로덕션(Postproduction) 개념에 토대하여 동시대 예술 형식의 상호성과 공유 가능성을 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표본 사례로 예시한 올라퍼 알리아슨(Olafur Eliasson), 리크리트 티라바니자(Rirkrit Tiravanija,), 아이 웨이웨이(Ai WeiWei)의 근작에서 예술은 전지구적 현안에의 관여를 유도하는 실행 체계이자 협업 시스템으로서 제시된다. 이러한 형식주의 작업 양상은 탈중심을 넘어 사용자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동시대 IT 네트워크 환경과 경험을 투영한다. 예술과 비예술의 경계가 모호해진 시장주의 현실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서 예술가들은 공유와 확장성을 지향하는 사용자 문화를 적극 포용하고 있다. 작품의 생산과 유통 과정에 수용자가 직접 개입할 수 있도록 작업체계는 분산적으로 구축되는데, 이는 기존의 관객 참여형 예술과 궤를 함께 하면서도 매체 실험을 넘어서는 것이다. 여기서 온오프라인을 넘나들며 탈정형적 연대를 추구하는 사용자들이 서로에게 잠재된 가능성을 일깨워내는 쇄신 주체로 상정된다. 참여 양식이 집단 지성에 대한 상호 신뢰를 토대로 유무형의 자원 공유와 네트워킹에 기반하면서, 예술은 대안적 현실을 모색하는 공론장이자 플랫폼으로 제시되고 있다.

국회 라키비움의 전망에 관한 연구 - 기억기관 협력 정책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erspectives of the National Assembly Larchiveum: Focused on Discussion about Collaborative Strategies of Memory Institutions)

  • 김유승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3-115
    • /
    • 2012
  • 국가적 책무를 부여받은 국회와 그 소속 기관들이 맡은 바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산, 접수, 관리하는 지식정보자원들은 우리의 역사이자 민주주의의 증거로서 큰 가치를 지니며, 이에 대한 관리 및 보존활동은 국가적 과업이다. 그러나 국회 지식정보자원을 책임지고 있는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헌정기념관 등의 모습은 그 막중한 책무에 부합하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회 문화유산과 지식정보를 공히 다루는 세 기관들의 통합적 발전 전략으로서 '국회 라키비움' 수립에 대한 필요충분조건을 분석하고 그 전망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협력정책의 필요성, 절차, 성공요인에 대한 다양한 문헌을 살피고, 협력 사례들을 그 수준과 지리적 범주를 기준으로 유형화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국회 기억기관의 연혁과 협력의 장애요인을 논의하고, 통합을 위한 대안을 모색한다. 결론에 갈음하여, 국회 기억기관 간의 비전 공유와 신뢰구축 활동으로부터 국회 라키비움의 내용적 완성에 이르는 단계적 전략을 제시한다.

도로 위의 군비경쟁: LDA 토픽모델을 활용한 SUV의 인기 요인 탐구 (The Arms Race on the Road: Exploring Factors of SUVs' Popularity by LDA Topic Model)

  • 전승봉;고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239-252
    • /
    • 2020
  • 본 연구자들은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SUV 선호 증가의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온라인 자동차 커뮤니티인 보배드림에서 2005년부터 2019년까지 작성된 SUV 관련 게시글 32,679개를 수집한 후, LDA 토픽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SUV 담화에서 주요한 토픽으로 등장한 '안전'이 범죄로부터 개인의 위험에 주목한 기존 연구와 달리 교통사고 및 고속주행 상황에서의 안전을 의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 사회의 SUV 소비는 개인이 운전하면서 느끼는 불안과 위험에 대한 대비 수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위험 인식 저변에는 불평등 증대로 인해 감소하는 타인에 대한 신뢰가 작동한다고 할 수 있다.

1990년대 이후 의학교육제도 개선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Since 1999)

  • 이무상
    • 의학교육논단
    • /
    • 제14권1호
    • /
    • pp.37-49
    • /
    • 201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rovement and discourse of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since 1990.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ing on the 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initiated in 2002, has explored the discussions that led to the system's establishment and what the context of those discussions. To meet this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report related to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authored by members of the government and medical community, suggestions to the government, discussion materials, and data with regard to the Medical (Dental) Education Eligibility Test.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has been an important issue in education reform by the expansion of the number of years of higher education, the requirements for increased levels of professional knowledge by improving public educational standards, and the basic formation policy of higher education consisting of graduate school, special graduate school, and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Nevertheless, the views of the government and the medical community on improving medical education system have made an obvious difference. This was due to different aims about how to improve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and different perception of the degree and medical education system. The medical community at least tended to prefer the status of academic positions over professional positions. The policy of medical education for people with a bachelor's degree which was introduced in 2002 spread to many colleges of medicine based on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policy. Even so, the absence of accompanying policy by the relevant government agencies and department of education, which could have ensured the success of the system, has led to continued debate. In conclusion, without a consistent and persistent government policy, the 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has led to confusion in many medical institutions. Above all, an evidence-based policy decision and policy approach based on a long-term perspective are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Health and Safety at Work: Analysis from the Brazilian Documentary Film Flesh and Bone

  • Mendes, Luciano;dos Santos, Heliani Berlato;Ichikawa, Elisa Yoshie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8권4호
    • /
    • pp.347-355
    • /
    • 2017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make some analysis on the process of work and accidents occurring in slaughterhouses, evidenced in the Brazilian documentary film called Flesh and Bone. As such, it was necessary to discuss an alternative theoretical concept in relation to theories about health and safety at work. This alternative discussion focuses on the concepts of biopower and biopolitics. Methods: The use of audiovisual elements in research is not new, and there is already a branch of studies with methodological and epistemological variations. The Brazilian documentary Flesh and Bone was the basis for the research. The analysis of this documentary will be carried out from two complementary perspectives: "textual analysis" and "discourse analysis." Results: Flesh and Bone presents problems related to health and safety at work in slaughterhouses because of the constant exposure of workers to knives, saws, and other sharp instruments in the workplace. The results show that in favor of higher production levels, increased overseas market sales, and stricter quality controls, some manufacturers resort to various practices that often result in serious injuries, disposal, and health damages to workers. Conclusion: Flesh and Bone, by itself, makes this explicit in the form of denunciation based on the situation of these workers. What it does not make clear is that, in the context of biopolitics, the actions aimed at solving these problems or even reducing the negative impacts for this group of workers, are not efficient enough to change such practices.

계층적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사용한 서비스 로봇과 인간의 상호 주도방식 의사소통 (Mixed-Initiative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Service Robot using Hierarchical Bayesian Networks)

  • 송윤석;홍진혁;조성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3권3호
    • /
    • pp.344-355
    • /
    • 2006
  • 일상 생활에서 서비스 로봇이 효과적으로 사람들의 업무를 보조하기 위해서는 인간과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하다. 그 중 대화는 인간과 로봇이 보다 유연하고 풍부한 의사전달을 하는데 유용하다. 전통적인 로봇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방법으로 명령과 같은 간단한 질의 등을 사용하였으나 실제 사람들의 대화는 보다 복잡하고 다양하며 배경 지식이나 대화의 문맥 등에 의해 중요한 정보가 생략되기도 한다. 따라서 동일한 질의라도 다양한 의미를 갖기 때문에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이를 다루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상호-주도형' 의사 소통 방식을 서비스 로봇에 구현함으로써 대화의 모호성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서비스 로봇의 시뮬레이션과 사용자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무질서의 원질서 개인기록 정리에 있어 원질서 존중 원칙의 실효성 고찰 (Disorder as Original Order : Theoretical Discourses of the Principle of Original Order for Personal Records)

  • 김수진;김유승;류반디;박진경;박태연;배양희;신동희;윤은하;현문수
    • 기록학연구
    • /
    • 제54호
    • /
    • pp.5-44
    • /
    • 2017
  • 본 연구는 기록학 이론의 하나인 원질서 존중원칙에 대한 다양한 담론을 논하고 개인기록에 대한 적용의 실효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는 적용과 실효성의 측면에서 개인, 가족 문서의 맥락성을 위한 이론과 관련된 문헌을 분석하며, 노근리 아카이브의 사례를 통해 원질서 존중 원칙의 실질적 적용을 고찰한다. 노근리 수집물은 정은용, 정구도 가족이 축적하고 생산해온 기록으로부터 시작된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 기록물에서 시작되는 노근리디지털아카이브의 정리를 위해 연구팀이 고민하고 탐구해온 내용을 소개한다. 이에 본 연구는 원질서 존중 원칙의 실질적 영향과 적용을 노근리 기록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이론의 의미를 재구성해보고자 한다.

경계 밖의 수용 보존기록학과 포스트모더니즘 (Accepting out of Boundary : Archival Science and the Impact of Postmodernism)

  • 이승억
    • 기록학연구
    • /
    • 제38호
    • /
    • pp.189-223
    • /
    • 2013
  • 포스트모더니즘에 의하면, 그 어떤 현실도 그것에 관한 표현 속에 담겨 있는 담론을 결코 초월할 수 없다. 근래 들어 보존기록학 연구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은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받은 보존기록학에서는 보존기록을 자연히 남겨진 것이 아니라 하나의 구축된 산물로 간주하며, 보존기록에 관한 어떠한 종류의 원칙도 상대주의에 입각하여 그 내용은 물론 그것을 기획하는 것 자체에 대해 회의적으로 다룬다. 여기에서는 아키비스트 자체도 이와 같은 상대화될 수 있는 맥락의 현실에 노출되어 있는 존재로 인식한다. 이를 부정적으로 보는 입장도 있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이 보존기록과 관련한 현실의 본질에 좀 더 가깝게 갈 수 있도록 해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진 긍정적 견해도 있다. 이 글은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에서 보존기록 속성, 출처, 원질서, 보존기록으로서의 가치 등 근대적 학문으로서 보존기록학의 기본개념에 대하여 살펴보고,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이 무엇인지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은 어떠할 것인지에 대해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