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ourse of "Alltagsgeschichte" and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n Housing

주거변화의 일상사적 담론과 한국 주거의 근대화과정

  • Jun, Nam-Il (Major of Consumer and Housi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Hong, Hyung-Ock (Major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Kyung Hee University) ;
  • Yang, Se-Hwa (Major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University of Ulsan) ;
  • Sohn, Sei-Kwan (School of Architecture, Chung Ang University)
  • Published : 2006.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n housing during the past one century. To following up the changes of everyday lives of common peoples, magazines, news papers, tourist's records and gossip items were collected and interpreted from the microscopic point of view. In this study arguments on 'modernity' of korean housing was focused on some issues, thus, separation, differentiation, individualization, as well as privatization. Concrete discourses are; firstly, spatial isolation of housing and urban place each other, secondly, functional division of inner spaces of housing, and lastly, guarantee of privacy sphere. Historical changes of housing showed some meaningful phenomena. Before modernization housing was place of reproduction and consume at the same time. However after modern urban space came into existence and work and rest were separated, housing gained only mono function. Thus, housing have only one meaning as private place for nuclear family, that is "Home, Sweet Home." Instead of past multi-functional rooms, functional prescribed rooms, for example, dinning room, were newly born. In the past, the boundary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here was not clear. For examples, everyday experiences of family were extended to the street and in the house in most cases spaces were shared. But after modernization the scale of individual spaces become larger and private life can be secured. Consequently, history of everyday life from traditional agricultural society to industrialized modern society demonstrates the structural context between the micro and macro dimension in the fields of human life. In other words, everyday lives and macro history response each other and create new perception of time-space structure in the modern housing.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자(1994) . 서울, 제2의 고항. 서울: 서울학연구소
  2. 김진송(2003).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서울: 현실문화연구
  3. 권희영(2001). 한국사의 근대성 연구. 서울: 백산서당
  4. 노형석(2004) 모던의 유혹, 모던의 눈물. 서울: 생각의 나무
  5. 이광규 (1997). 한국가족의 사회인류학. 파주: 집문당
  6. 정호근(1998). 근대성과 한국문화의 정체성. 서울: 철학과 현실사
  7. 주남철 (1999). 한국의 전통민가. 서울: 아르케
  8. 최병두 (2002). 근대적 공간의 한계. 서울: 삼인
  9. A. 뤼트케 편, 나종석, 문수현, 이유재, 박용희, 이동기 역 (2002). 일상사란 무엇인가. 서울: 청년사
  10. A. H. 세비지 랜도어 (1895). 신복룡, 장우영 역주 (1999)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 파주: 집문당
  11. F. 브로델 저, 주경철 역 (2004).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 일상 생활의 구조. 서울: 까치
  12. G. W. 길모어 (1892). 신복룡 역주(1999). 서울풍물지. 집문당
  13. H. B. 드레이크(1930). 신복룡, 장우영 역주 (2000). 일제시대의 조선생활상. 파주: 집문당
  14. I. B. 비숍(1897). 신복룡 역주 (2000). 조선과 그 이웃나라들 파주: 집문당
  15. J. 슐롬봄 편,, 백승종 역 (2002). 미시사와 거시사. 서울: 궁리
  16. L. H. 언더우드 (1880). 신복룡, 최수근 역주(1999). 상투의 나라.파주:집문당
  17. M. 새비지 & A. 와드 저, 김왕배, 박세훈 역 (1996). 자본주의 도시와 근대성. 서울. 한울
  18. 박재환 편 (2004). 일상생활의 사회학. 서울: 한울
  19. 강수택 (1995). 아그네스 헬러의 인간학적 일상생활론 연구. 현상과 인식, 34(1),117-141
  20. 강수택 (1998). 근대적 일상생활의 구조와 변화. 한국사회학, 32, 503-529
  21. 곽차섭 (1999). 미시사-줌렌즈로 당겨본 역사. 역사비평, 1(1), 69-85
  22. 박재환(2001). 현대 한국사회의 일상적 삶의 구성원리. 사회과학논총, 20, 1-23
  23. 윤용선(1998). 독일 일상사의 이론적 논의. 외대사학, 8(1), 231-255
  24. 임창복(1984) 다세대 단독주택의 형태적 특성과 거주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8(118), 39-43
  25. 전남일(2003). 문명화이론을 통해 본 개항기의 주거와 그 근대 성의 재조명.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27-28
  26. 홍형옥(2005). 근대 이후 한국 주거의 미시사를 보는 다양한 시각. 가톨릭대학교 한국근현대연구팀 심포지움 자료집, 1-25
  27. 서울특별시 편(1979). 서울 600년사 제 3권. 서울특별시. 649-650
  28. 개벽. 제24호 1922년 6월
  29. 개벽. 제32호. 1923년 2월
  30. 개벽. 제40호. 1923년 10윌
  31. 경향신문 1975년 7월 12일자
  32. 별건곤. 제16-17호 1928년 12월
  33. 별건곤. 제25호. 1930년 1월
  34. 별건곤. 제38호. 1931년 3월
  35. 삼천리. 제12권 10호 1940년 12월
  36. 신가정. 제37호. 1936년 1월
  37. 신동아. 제5권 8호1935년 8월
  38. 여성동아. 1987년 8월
  39. 여원 1956년 9윌
  40. 춘추. 제2-7호 1941년 8월
  41. 현대주택, 1986년 5월, 1986년 11월
  42. 대한주택공사. 주택핸드북
  43. 대한주택공사. 주택통계편람
  44. 통계청. 인구주택 총조사
  45. Gerhard Muller(1985). Alltag und ldentitiit. Europaische Hochschulschriften
  46. hartmut Haussermann, & Walter Siebel(2000). Soziologie des Wohnens. Juverda
  47. Martina Low(2001). Raumsoziologie. Suhrka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