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형 재난현장 통합대응 표준체계 개발연구 (A Study On Developing Korean Standardized Integrated Response System For Disaster Site)

  • 강성경;이영재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10
    • /
    • 2015
  • 재난은 점차 복합, 대형화되고 있다. 이러한 재난 발생 시에는 기관 간 상호협업을 통해 신속하게 대응해야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재난 대응 시 각 분야(기관)별로 지휘체계를 분리해서 운영하고 있어 통합적인 재난대응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유형 및 규모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한 '한국형 재난현장 통합대응 표준체계'를 개발하였다. 다수기관들이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한 표준편제, 표준행동요령(SOP), 표준용어를 개발하였으며, 표준체계를 실현하기 위한 법/제도적 뒷받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통합대응 표준체계의 활용을 통해 재난현장의 일원화된 지휘/통제, 기관들의 대응 업무 명확화,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해지며, 재난대응 및 수습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업연속성경영시스템(BCMS)이 재난관리 성과와 재난현장 대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BCMS) on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and Disaster Site Response)

  • 신재성;정종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430-439
    • /
    • 2024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업연속성경영시스템(BCMS) 7개 하위 구성요인이 재난 관리 성과와 재난현장 대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통해 가설을 설정하고 통신사업기관 종사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총 327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통계적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업연속성경영시스템(BCMS)의 리더십, 기획, 지원, 운영, 성과평가는 재난 관리성과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업연속성경영시스템의 리더십, 기획, 지원, 운영, 성과평가, 개선은 재난현장 대응에 정의(+)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사업연속성경영시스템은 재난관리 성과와 재난현장 대응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업의 재난관리성과와 재난현장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업연속성경영시스템(BCMS)의 구축과 운영이 필요하다.

건설공사 비탈면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 Management spectrum for the Cut Slope)

  • 신관영;김용수;장범수;신창건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81-787
    • /
    • 2005
  • Recently, disaster that is earthquake, sever rainstorm and the tidal wave were increased by abnormal weather. These influence which is the slope stability of the completed slope as well as under construction slope is affected by disaster. But the management standard for the construction slope is incomplete. Also, the standard connected with construction slope is not integrated with the important public paper organic enemy and it is duplicated and the standards which conflict are being scattered. In this research which it sees consequently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construction slope the maintenance civil official relation law and standard investigation it leads and the problem point and a improvement program of management criterion and to sleep the construction slope which is suitable in domestic actuality it prepares and propose.

  • PDF

11.15 지진 사례를 통한 지진피해 시설물 위험도 평가 체계 개선 (Improvement of Post-earthquake Risk Assesment System for Damaged Buildings by Case Study on '11.15 Earthquake')

  • 강형구;윤누리;김다위;이정한;김혜원;오금호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85-191
    • /
    • 2018
  • Post-earthquake risk assessment technique in Korea is developed in 2013 by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at the same time, related manual and standard regulation is distributed to every local government by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investigate and evaluate the post-earthquake risk assessment of 9.12 Earthquake (M5.8, Gyeongju City, 2016) and 11.15 Earthquake (M5.4, Pohang City, 2017). To suggest and improve the assessment process of post-earthquake risk, first post-earthquake risk assessment method of advanced foreign countries including US, New Zealand and Japan are compared, and post-earthquake evaluation activities in 9.12 Earthquake and 11.15 Earthquake are analyzed. From the results, it is needed to expand the adapted building and structure types and strengthen the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capacity of local government.

효율적인 재난 상황관리를 위한 재난현장 필수정보 연구: 제천 스포츠 센터 화재사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ssential Information to Collect Disaster Sites for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 Focused on Jecheon Sports Center Fire case)

  • 조정윤;송주일;장문엽;장초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70-78
    • /
    • 2020
  • 연구목적: 재난이 발생했을 때, 보통 재난안전상황실로 정보들이 무분별하게 수집되고 전달되고 있어 신속하고 올바른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대응팀과 상황실 모두 최적의 재난 상황인지 및 대응이 가능토록 재난관리 필수정보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재난 사례를 바탕으로 실제 재난 대응과정을 확인하고,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위기관리 표준매뉴얼과 당시 재난발생시 작성된 화재상황보고 서식을 분석함으로써 현장과 상황실에서 필요로 하는 재난관리 필수정보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재난관리 필수정보는 상황접수 및 보고·전파, 총력대응·지역긴급구조통제단(지통단)·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지대본) 단계, 중앙 긴급구조 통제단(중통단)·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운영단계, 수습복구 단계의 4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수집되어야할 정보와 핵심 업무에 해당하는 정보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이렇게 도출된 재난관리 필수정보는 현장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담당자는 효율적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가이드의 역할이 가능하며, 재난대응의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상황실에서는 의사결에 필요로 한 핵심정보를 전달받게 됨으로써 신속한 상황판단이 가능해지므로 더욱 효율적인 재난 상황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시설물의 효율적 재해정보관리를 위한 재해관리전자매뉴얼 구축 연구 (Development of Disaster Management IETM for Effective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of Construction Facilities)

  • 문현석;강인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2D호
    • /
    • pp.255-265
    • /
    • 2009
  • 기존의 재해관리 업무는 각 부서별로 분산된 업무 체계 및 재해관리정보 누락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재해 발생시 많은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재해관리 정보 및 업무특성을 파악하여 재해업무 단계 및 단계별 정보를 분 하며, 재해관리 정보간 통합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해 재해정보분류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재해발생시 실시간 활용을 위한 재해관리 전자문서의 표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스키마(Schema)를 구성하며, 이를 기반으로 전자적 매뉴얼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제시된 방법론을 검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통합된 재해정보의 제공을 통해 재해관리업무 수행의 일관성 확보, 정보의 누락 방지 및 실시간적이고 종합적인 재해관리 정보제공을 위한 전자적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재난상황관리를 위한 재난현장정보 수집 및 표출시스템 개발 연구 : 지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ystem for collecting and displaying disaster site information for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 focusing on earthquakes)

  • 구지희;송주일;조정윤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1-40
    • /
    • 2022
  • COVID-19, 집중호우, 화재 등 다양한 재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재난관리 및 대응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재난대응 활동 전반에 걸쳐 효율적인 대응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재난현장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하되 사진 및 동영상 등 영상정보를 통해 현장상황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신속한 재난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각 재난유형별로 재난대응 단계별 필수적인 활동 업무, 위기관리 표준매뉴얼과 각 재난 유형별 관련법, 일일상황보고 등의 각종 서식상의 수요정보를 분석하여 의사결정시 요구되는 필수정보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재난발생시 재난현장의 상황파악 및 실시간 피해현황 파악에 필요한 정보목록도 함께 도출하여 재난현장 정보 수집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수집된 재난상황정보는 공간정보 기반의 시스템을 통해 상황인식을 직관적으로 할 수 있도록 표출하였다. 우선적으로 수집해야할 재난상황관리 필수정보를 제시함으로써 현장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담당자는 효율적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재난대응의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상황실에서는 필요로 한 정보만을 전달받아 신속한 상황판단이 가능하므로 재난 상황관리에 대한 효율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재난정보 표출시스템 구축 및 공동활용을 위한 재난공간정보 공통기준 연구 (Study on Spatial Disaster Information Common Standard Establishing and Joint Use of Disaster Information Display System)

  • 전영재;원상연;권찬오;이준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8-82
    • /
    • 2020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대규모의 풍수해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나, 실제 재난 현장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데이터의 일원화와 표준화는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 상황 인지 및 모니터링 목적의 재난정보 표출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DB 정보를 확보하고 품질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재 제공되고 있는 공간정보의 품질을 점검하였다. 점검 결과, 기관별로 다른 기준에 의해 공간정보가 구축되어 통합 사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공통 기준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재난안전 분야 기능분류체계(BRM) 개발을 위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SOP) 기반 공통업무 분석 (Common Business Analysis of Disaster and Safety Response Processes Based on Crisis Management SOP Manuals for Development of BRM)

  • 강주연;한희정;명현;오효정
    • 기록학연구
    • /
    • 제58호
    • /
    • pp.191-224
    • /
    • 2018
  • 반복되는 재난을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과거에 수행한 재난 대응 업무로부터 생산된 기록들의 체계적인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흩어져 있는 재난안전 기록정보자원을 기록관리체계로 편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능분류체계(BRM) 개발이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선행 연구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SOP)을 대상으로 재난안전 공통업무를 분석하였다. 총 28개의 매뉴얼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1,667개의 주요업무가 추출되었고 이는 다시 5개의 중분류 유형, 20개의 소분류 유형으로 그룹핑되었다. 나아가 업무유형별 생산 예상 기록을 살펴봄으로써 재난안전 업무의 수행 및 재난안전 기록정보자원 관리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산업체재난 조기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최적 재해경감활동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to Establish the Early Counter System on the Industrial Accidents)

  • 이근재;윤명오;이원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9-20
    • /
    • 2010
  • 본 연구는 아직 초보수준인 국내기업의 업무연속성 유지를 위한 재해경감 활동계획 수립 및 실행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조기대응체계 구축을 통하여 어떠한 재난에도 안전을 기할 수 있는 기업 연속성 유지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국내 재난관리 표준으로 채택된 사고대비 및 업무연속성 관리의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였고, 국내기업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실행지침을 제시하였으며, A기업을 대상으로 재해경감활동계획 수립 및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특히 사고대비 및 업무연속성 관리의 가이드라인 5단계 주요 절차 중 계획수립단계의 위험 평가, 영향분석, 예방경감계획 및 대응관리계획 수립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였고, 국내 재해경감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재난대응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기술 부분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