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restoration

검색결과 392건 처리시간 0.029초

문화원형 디지털 복원기술 : 컴퓨터 그래픽스 및 영상처리를 활용한 시스템의 통합 기능을 중심으로 (Techniques for Digital Restoration of Cultural Assets : Focused on Computer Graphics and Image Processing Methods)

  • 문호석;손명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03-113
    • /
    • 2009
  • The industry of cultural digital contents has been regarded as the main next generation industry. Recently techniques for restoring cultural assets and the multiple usage of those have been developed in our country. Using computer graphics and image processing techniques, many cultural assets have been restored. If the focus for researches and supports to cultural assets restoration grows rapidly, we will create cultural and economical added-values and get the benefit of that technology.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techniques for restoring cultural assets focused on computer graphics and image processing techniques.

완전 디지털 시스템으로 기존 교합을 보전한 All-on-4 임플란트 수복증례 (All-on-4 implant restoration with full-digital system preserving existing occlusion: A case report)

  • 김경희;정승미;이예찬;안설은;최병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30-337
    • /
    • 2018
  • 무치악 환자에게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수복 치료는 그 효용성이 검증되었으나, 복잡한 치료과정이 수반된다. 반면, 현대 치의학에서 디지털 기술력은 나날이 발전하여 현재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수복치료까지 그 범위를 확장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66세 하악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에 대하여 진단부터 수술, 임시수복물 및 최종수복물의 디자인과 제작까지 디지털 시스템을 모든 단계에 이용하였다. 수술 전 진단단계에서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점막스캔과 환자의 안정적인 기존 총의치 교합을 토대로 임시수복물을 디자인하였다. 수술가이드를 이용하여 무절개 임플란트 식립 후에 사전제작한 임시수복물을 임플란트와 연결하여 즉시 임시수복물로써 사용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교합이 형성된 임시수복물의 수직고경과 중심위를 이전하여 최종수복물을 디자인 및 제작 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의 수직고경과 교합을 보전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무치악환자에서 복잡할 수 있는 임플란트 치료의 간단한 프로토콜을 정립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문화원형의 디지털복원 (Research on Digital Restoration of Culture Archetype)

  • 이창순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5-36
    • /
    • 2010
  • 최근 유무형 문화재를 보존 및 복원하는 문화원형 디지털복원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현존하는 문화재는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유실되거나 훼손되기 쉽기 때문에 문화원형을 디지털로 데이터베이스화했다가 필요 시 리버스 엔지니어링의 활용으로 문화재를 복원할 수 있고, 또한 컴퓨터그래픽, 3차원 가상현실, 홀로그램 등과 같은 디지털콘텐츠로 구축하여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원형 디지털복원의 다양한 유형에서 나타나는 시각적 및 기술적 요소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점을 제시하고 현실성 있는 기술력과 시각적 메카니즘을 찾고자 한다.

고구려 의장기 절(節)의 3D 디지털 복원 (3D Digital Restoration of Koguryo Ceremonial Flag "Jeol")

  • 공전영;공석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3호
    • /
    • pp.6-20
    • /
    • 2022
  • 고구려 벽화고분에 나타난 도상 자료인 절(節)에 대한 3D 디지털 복원을 시도하였다. 기존 연구는 그림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표면적인 디지털 복원을 진행하였는데, 근본적으로 문화유산에 대한 역사·문화적 이해가 부족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려고 학제 간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인 절은 제왕의 권력을 상징하는 위세품이다. 절은 고구려 시대 깃발의 일종으로서, 세계유산인 안악 3호분에 의장기로 나타나고 있다. 동북아지역에서 고대 시기 절의 원형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어 복원할만한 가치가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자료와 고고미술 관련 자료를 교차 검증하여 절에 대한 문화원형을 복원하였다.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절에 대한 형태, 색깔 등을 추출하고 이를 다른 그림 자료를 통해 교차 검토하였다. 2D로 복원된 자료는 다양하게 활용하기가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그래픽자료인 3D로 디지털 복원하였다. 3D 자료는 동영상을 비롯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하여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복원 과정을 통해 절이라는 도상 자료에 대한 문화재 가치를 심층적으로 인식하고 보다 구체적인 활용방안까지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복원된 결과물은 3D 형태의 문화콘텐츠이다. 이는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문화 향유권 증진과 그 우수성을 대내외에 홍보할 수 있는 원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 차후 고구려 벽화무덤에 나타나는 도상 자료에 대한 디지털 복원 체계를 구축하고, 문화유산 3D 디지털 복원방식 확산에 기여하고자 한다.

석조문화재 디지털복원 및 구조안정성 평가를 위한 3차원 영상분석: 마곡사오층석탑 (3D Image Analysis for Digital Restoration and Structural Stability Evaluation of Stone Cultural Heritage: Five-storied Magoksa Temple Stone Pagoda)

  • 조영훈;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5-130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공주 마곡사오층석탑을 대상으로 3차원 스캐닝 시스템을 적용하여 디지털 복원 및 구조안정성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16방향에서 측정한 레이저 스캐닝 데이터를 7단계의 데이터처리 프로그램 과정에 활용하여 석탑의 디지털복원을 완성했다. 디지털복원 결과, 전반적으로 층별 부재의 높이와 폭은 방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고, 각 층별 옥개석의 폭은 매우 큰 차이를 나타냈다. 탑신의 층별 폭은 1층에서 5층으로 갈수록 줄어들지만 체감비율은 일정하지 않았다. 구조해석을 위한 3차원 영상분석 결과, 1층 탑신이 남동쪽으로 기울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2층 탑신부터 상륜부까지 모두 북서쪽으로 변위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3차원 영상분석이 석조문화재에 지속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측정방법의 정량화가 필요하며, 훼손도 정량평가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복원된 영상에 표기된 시간 정보에 의한 프레임 재정렬 기법 (Frame Rearrangement Method by Time Information Remarked on Recovered Image)

  • 김용진;이정환;변준석;박남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1641-1652
    • /
    • 2021
  • To analyze the crime scene, the role of digital evidence such as CCTV and black box is very important. Such digital evidence is often damaged due to device defects or intentional deletion. In this case, the deleted video can be restored by well-known techniques like the frame-based recovery method. Especially, the data such as the video can be generally fragmented and saved in the case of the memory used almost fully. If the fragmented video were recovered in units of images, the sequence of the recovered images may not be continuou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video restoration method to match the sequence of recovered images. First, the images are recovered through a frame-based recovery technique. Then, after analyzing the time information marked on the images, the time information was extracted and recognized via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Finally, the recovered images are rearranged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obtained by OCR. For performance evaluation, we evaluate the recovery rate of our proposed video restoration method.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recovery rate for the fragmented video was recovered from a minimum of about 47% to a maximum of 98%.

전쟁 문화유산 디지털 재현을 위한 방독면 3D 가상 복원 및 융합 활용 연구 (A Study on 3D Virtual Restoration and Convergence Utilization of Gas Masks for Digital Reproduction of War Cultural Heritage)

  • 안형기;오승준;이호연;이용규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89-95
    • /
    • 2023
  • 2007년 1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창설되어 본격적인 유해발굴이 추진되었다. 현재 발굴 범위는 한국전쟁 당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비무장지대 내의 화살머리고지까지 확장되어 진행되고 있다. 백마고지에서는 많은 유해 및 유류품이 발굴되고 있다. 대부분 파손된 상태여서 정확한 형태를 복원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스캔과 3D 모델링을 통해 발굴된 유류품의 원형을 복원하고자 한다. 이러한 디지털 복원 방식은 그동안 수작업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는 원형 복원의 대안이 될 수 있다. 현재 문화유산 분야에서는 3D 기술을 사용한 각종 디지털 복원이 활발하다. 디지털 복원이 된 자료는 디지털 헤리티지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다양한 유해발굴 및 호국보훈 관련 콘텐츠의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발굴된 유해에 대한 디지털 휴먼 복원이 이루어진다면 전사자들의 생전 모습을 재현할 수 있을 것이다.

Image Authentication and Restoration Using Digital Watermarking by Quantization of Integer Wavelet Transform Coefficients

  • Ahsan, Tanveer;Chong, Ui-Pil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87-193
    • /
    • 2012
  • An image authentication scheme for gray scale image through embedding a digital watermark by quantization of Integer Wavelet Transform (IWT) coefficients of the image is proposed in this paper. Proposed method is designed to detect modification of an image and to identify tampered location of the image. To embed the watermark mid-frequency band of a second level IWT was used. An approximation of the original image based on LL band was stored in LSB bits of the pixel data as a recovery mark for restoration of the image. Watermarked image has achieved a good PSNR of 40 dB compared to original cover image. Restored image quality was also very good with a PSNR of more than 35 dB compared to unmodified watermarked image even when 25% of the received image is cropped. Thus, the proposed method ensures a proper balance between the fidelity of the watermarked image and the quality of the restored image.

Accuracy of various imaging methods for detecting misfit at the tooth-restoration interface in posterior teeth

  • Francio, Luciano Andrei;Silva, Fernanda Evangelista;Valerio, Claudia Scigliano;Cardoso, Claudia Assuncao e Alves;Jansen, Wellington Correa;Manzi, Flavio Ricardo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8권2호
    • /
    • pp.87-96
    • /
    • 2018
  • Purpos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which of the following imaging methods best assessed misfit at the tooth-restoration interface: (1) bitewing radiographs, both conventional and digital, performed using a photostimulable phosphor plate (PSP) and a charge-coupled device (CCD) system; (2) panoramic radiographs, both conventional and digital; and (3)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aterials and Methods: Forty healthy human molars with class I cavitie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restoration that was applied: composite resin, composite resin with liner material to simulate misfit, dental amalgam, and dental amalgam with liner material to simulate misfit. Radiography and tomography were performed using the various imaging methods, and the resulting images were analyzed by 2 calibrated radiologists. The true presence or absence of misfit corresponding to an area of radiolucency in regions subjacent to the esthetic and metal restorations was validated with microscop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d the scores were compared using the Cohen kappa coefficient. Results: For bitewing images, the digital systems (CCD and PSP) showed a higher area under the ROC curve (AUROC) for the evaluation of resin restorations, while the conventional images exhibited a larger AUROC for the evaluation of amalgam restorations. Conventional and digital panoramic radiographs did not yield good results for the evaluation of resin and amalgam restorations (P<.05). CBCT images exhibited good results for resin restorations(P>.05), but showed no discriminatory ability for amalgam restorations(P<.05). Conclusion: Bitewing radiographs (conventional or digital) should be the method of choice when assessing dental restoration misfit.

1960년대 청주 도심경관의 3차원 디지털 복원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 남문로 2가동의 간략화 모델작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stablishment of 3D Digital Restoration of Cheongju Townscape in the 1960s - Focused on the Simplified Modeling of Nammun-ro 2ga dong -)

  • 김태영;조상민;손인빈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31-40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Nammun-ro 2ga in Cheongju city in the 1960s as three-dimensional digital information data for the restoration of urban archetypes. For this purpose, referring to the existing restoration map and model of Cheongju urban area in the 1960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buildings that can be generally classified are prepared through the modeling of parametric families. Secondly, the untypical models(combined and broken roofs, atypical and large scale buildings) of them are simply performed through solid modeling. And then, these simplified models are simulated through a sky view, a walking sight, and information analysis.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visualize and regenerate the low and dense area of Cheongju city in the 1960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