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library model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8초

협력 기반 과학기술 디지털도서관 구축에 관한 연구 (Building a Collaborative Sci-Tech Digital Library)

  • 이나니;이미화;차미경;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19-236
    • /
    • 2007
  •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과학기술정보센터인 KISTI와 JST의 과학기술정보를 공유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도서관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도서관의 개념, 구성 요소를 포함한 프레임웍과 기술 요소를 살펴보았으며, 협력 기반 디지털도서관의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최근 디지털도서관 협력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제안된 디지털도서관 모형은 단계적으로 협력의 범위를 확장하는 모형으로, 대상 자원의 협력 및 공유 가능성에 따라 데이터의 직접 교환과 분산검색을 병행하며 메타데이터로부터 원문으로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방안이 포함되어 있다. 제안된 모형은 다른 분야나 타 기관과의 협력에서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서관의 미래상에 대한 담론 및 쟁점의 분석과 형상화 (Analysis of discussion and dispute on the future library model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7권
    • /
    • pp.61-9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verview a recent dispute of the library of the 21st century in Korea and to suggest a desirable model of the future library. There are two visions of the future of library. The first is an access based library model(digital library) emphasizing the digital resources that are networked and browsable electronically. The second is an ownership-based library model(paper library) which emphasize the use of traditional print collections stored locally and physically browsable. A points of dispute between the paper library as storehouse and the digital library as gateway are an electronic informations versus printed materials, access versus ownership, information professional versus librarians. The idea that library as physical place and as cyberspace are diametrically o n.0, pposed is a fallacy and surrealistic opinion. Future library has to acquire, organize, preserve, and make accessible the collections that users want and need. In other words, future libraries need both ownership and access. Access to remote electronic resources must serve as a reasonable substitute for holdings of older material. Therefore, it is a balanced solution that the more heavily used or important materials be considered for ownership and selective information resources for access. No doubt, the traditional library and the digital library will be coexist in the 21 century.

  • PDF

학교교육 정보화를 위한 디지털 도서관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ing Digital library for Informatization of School Education)

  • 유양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3-119
    • /
    • 2001
  • 본 논문은 디지털 도서관이 학교의 교수 학습에서 활용되는 방법과 디지털 도서관의 설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한국의 교육 정보화 계획과 학교도서관의 개괄적인 검토를 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이 정보화 사회에서 자율적, 창의적 학습 능력을 배양하는 효수학습 과정 운영의 지원 체제임을 규명하고 학교교육 정보화의 지원 체제를 위한 디지털 도서관 시스템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Track for Civil Service Librarian

  • Noh, Yo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31-63
    • /
    • 2013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professional librarians in society. To this end, we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S curriculum, determined demand from field librarians through a survey, carried out job analysis by library types, and developed an operating model for LIS curriculum by synthesizing all of these results. Finally, we suggested a course of study for civil service librarians based on this model. As a result, the six required courses for civil service librarians are: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Organization, Information Services (Reference and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Management, Information Retrieval, and Field Work. The four core courses for the civil service concentration are: Collection Development, Information Sources by Subjects, Public Library Management, and Digital Libraries. Suggested electives best suited to this career path include Using Web Resources,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Services in Culturally Diverse Communities, Library Marketing, Libraries and Cultural Programs, Reading Guidance, Library History, Small Library Management, Studies in Library Buildings, Library Cooperation, Managing Digital Collection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a Digital Age.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 모델 (A Logical Model of Library System towards Knowledge Service)

  • 이현실;배창섭;이은주;한성국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5-67
    • /
    • 2009
  •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기술의 보편화로 도서관 생태 환경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디지털도서관 등 정보 매체 중심의 변화뿐만 아니라, Library 2.0 또는 소셜 시맨틱 디지털 라이브러리 등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지향 관점으로의 변화를 실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시스템의 진화에 초점을 두고, 지식 서비스 실현을 위한 제반 환경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논리 모델은 다양한 지식 정보자원, 참여와 협력의 능동적 이용자, 도서관 업무 혁신, 유비쿼터스 정보 기술을 조화하여 도서관의 근본적 임무를 수행하는데 프레임워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CMC 환경에서 디지털도서관의 커뮤니케이션 모형 (Communication Model for Digital Library in the CMC Environment)

  • 조윤희
    • 정보관리연구
    • /
    • 제30권3호
    • /
    • pp.27-43
    • /
    • 1999
  • 컴퓨터매개커뮤니케이션(CMC) 환경에서 운영되는 디지털도서관(DL)은 전통적인 도서관(TL)에서 제공하던 정보서비스의 영역과 제공방법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해 주었고, TL은 정보제공 환경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이동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하에 DL의 정보서비스는 불특정 다수 이용자들에게 시공간을 초월한 정보서비스의 영역학대와 즉시적이고,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한 상호작용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논고는 CMC 환경에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DL과 이용자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에 대해 개괄적인 내용을 검토하고, DL에서 제공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DL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모형개발을 위해 DL의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국내 현황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DL의 효과적인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모델을 제시하고, 향후 CMC 환경에서 제공되는 DL과 정보이용자간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하이브리드 정보 환경에서의 정보서비스 (Information Services in Hybrid Information Environments)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09-32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various digital library models that form basic concept of the hybrid information services and to suggest the needs of hybrid information services in digital environments as previous stage towards a building of generic information model appropriate to hybrid information environments.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nge of information service environments and information services of traditional and digital environments, Also addressed are relationships between digital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Finally. this study suggest the needs of hybrid information services in digital environments and survey various digital library models that form basic concept of the digital library models.

  • PDF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에 대한 고객만족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An Analysis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Customer Satisfaction of Information Commons in Digital Librar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 오동근;조현양;최성열;여지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1-187
    • /
    • 2010
  • 이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NDL) 정보광장에 대한 고객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고 이 모형에서 이용자와 직원 모두에게 적용할 수 있는 모형을 검증하여, 도서관의 서비스품질과 만족도, 충성도에 대해 이용자의 인식과 직원의 예측 사이의 차이를 분석하고, LCSI의 공식에 따라 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의 고객만족지수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의 고객만족을 측정하기 위한 모형은 부분매개모형보다는 완전매개모형이 더 적합하였으며, LCSI의 공식에 따라 고객만족지수를 산출한 결과 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의 고객만족지수는 75.69점으로 나타났다. 이용자의 고객만족도에 대한 도서관 직원들의 예측을 파악하기 위해 이용자와 동일한 모형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우수한 적합도를 보여 이용자와 직원에게 모두 동일한 모형을 적용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와 직원이 예측한 서비스품질 및 만족도, 충성도를 비교한 결과, 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 이용자들은 직원이 예측한 것보다 모든 면에서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북한 PUST 디지털도서관 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brary Model for PUST in North Korea)

  • 이종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43-158
    • /
    • 2008
  • 본 연구는 남북합작으로 건립하는 PUST에 설치될 도서관과 디지털도서관 모델 제시를 위해 수행되었다. 우선 이론적 연구를 통해 디지털도서관의 문제와 PUST 디지털도서관의 이슈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저작권법하의 공정사용 미흡 등으로 현 단계에서 디지털도서관만 운영하는 것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남북의 언어와 지적기반의 차이 등으로 홈페이지 접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료 의 검색 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연구자는 디지털도서관과 하이브리드 도서관을 병행 운영할 것과, 디지털도서관 관련 하여 유니코드를 통한 홈페이지의 이중화 NCHAR 데이터타입 설정을 통한 다국어 저장, 전거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Digital Libraries: Analysis of Delos Reference Model and 5S Theory

  • Isah, Abdulmumin;Mutshewa, Athulang;Serema, Batlang Comma;Kenosi, Lekoko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권4호
    • /
    • pp.38-47
    • /
    • 2013
  • The proliferation of digital libraries (DL) in the twenty-first century has revolutionized the way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disseminated. This has led to various practical and research models of DLs. This paper discusse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digital libraries, and examines various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DLs. It further identifies various models and theories of digital libraries with a special focus on the DELOS Reference Model and 5S Theor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ocused frameworks is analyz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application in the DL unive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