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information gap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4초

밀리미터파 발진용 GaAs Gunn 다이오드 소자의 개발과 음성미분저항 (Development of GaAs Gunn diodes and Characterization of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 for Millimeter-wave Oscillator)

  • 윤진섭;남궁일주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21-29
    • /
    • 2008
  • The DC characteristics of GaAS Gunn diode are investigated as a preliminary study on the planar grade gap injector GaAs Gunn diode which is the transferred electron device with high output power and dc-rf conversion efficiency. The Gunn devices we fabricated were confirmed to have the DC characteristics of negative differential resistance(NDR). We discussed the nature of the NDR effect, including the electron intervalley transfer; the NDR effect was examined for six different cathode radii.

중소기업 기술보호지원제도에 대한 이용자와 정책담당자의 인식차이 분석 (Perception differences between users and policy-makers on technology protection support system fo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 박상훈;조남욱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7-48
    • /
    • 2017
  • As the risk of technical leakage is increasing, technology protection support systems fo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have gained attention. This paper analyzed the perception gap of the user and policy-maker regarding technology protection support systems. First, to identify key elements of technology protection support systems and construct measurement factors, interviews with experts are conducted. Then, surveys are conducted to analyze the perception differences between the users and policy-makers. Factor analysis and ANOVA have been utilized to analyze survey results. The result shows that the perception gaps exist in the following areas: management system, cost reduction, copyright protection, customer satisfaction, leakage prevention, and awarenes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echnology protection support systems, this paper suggests technology protection support systems should be customized in terms of the company's size and type of busines.

혼합트래픽 네트워크에서 혼잡회피를 위한 큐 관리 알고리즘 (Queue Management Algorithm for Congestion Avoidance in Mixed-Traffic Network)

  • 김창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81-94
    • /
    • 2012
  • This paper suggests PARED algorithm, a modified RED algorithm, that actively reacts to dynamic changes in network to apply packet drop probability flexibly. The main idea of PARED algorithm is that it compares the target queue length to the average queue length which is the criterion of changes in packet drop probability and feeds the gap into packet drop probability. That i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queue length and the target queue length is great, it reflects as much as the difference in packet drop probability, and reflects little when the difference is little. By doing so, packet drop probability could be actively controled and effectively dealt with in the network traffic situation.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suggested algorithm, we conducted simulations by changing network traffic into a dynamic stat. At the experiments, the suggested algorithm was compared to the existing RED one and then to ARED one that provided the basic idea for this algorithm. The results proved that the suggested PARED algorithm is superior to the existing algorithms.

중고령자의 디지털 정보화 접근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참여/네트워크 활동의 매개효과 (Accessibility to digital informa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and its impact on life satisfaction level: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n online social engagement and online network activity)

  • 김수경;신혜리;김영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23-3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자의 디지털 정보화 접근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과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에 응답한 중고령자 1,491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정보화접근수준과 삶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접근수준이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을 경유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디지털 정보화 접근수준이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을 거쳐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을 경유한 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더 크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접근수준과 삶의 만족도,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및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정보통신산업(ICT)의 글로벌 가치사슬구조분석 (Global Value Chain Structure Analysis for ICT Industry)

  • 조상섭;채동우;이중만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6권6호
    • /
    • pp.65-78
    • /
    • 2019
  • This study describes the accounting approach of separating the value chain components that occur between the origin and destination of a country's total exports, and applied this analysis to the natio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nalysis results of ICT's global value chain for the United States and China, focusing on Korea,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value added standard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export amount standard fo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In particular, the gap was starkly visible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anufacturing sector, where global vertical specialization was developed relatively. As a representative sector, the computer-related equipment sector exported to China became more specialized vertically than othe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ies. Next, the method of participating in vertical specialization of Kore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ctor and its relative position in the global value chain came from domestic products (0.25/35.16) whose total exports, which were double calculated in the case of the U.S. market, returned home. On the other hand, about 32.68 percent returned to the Chinese market. Finally, in the global value chain level, the SW sector occupied a medium vertical culture location fo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sector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sector.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 영향요인: 베이비붐 세대와 노인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Digital Divide Influence Factors of the Elderly: Comparison between Baby Boomer and Elderly)

  • 임정훈;이혁준;이지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475-485
    • /
    • 2020
  • 본 연구는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 영향요인을 베이비붐 세대와 노인세대를 중심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성별, 학력, 가구형태, 월소득, 이용동기, 이용태도, 이용성과, 정보지능사회에 대한 인식, 정보지능사회에 대한 불안감, 일상생활만족도, 사회적지지 등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18년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실시한 2017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55세 이상 장·노년층 230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베이비붐 세대는 성별, 학력, 이용동기, 이용 태도, 지능정보사회 인식,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노인세대는 가구형태, 지능정보사회 인식, 삶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관련 연구를 제고시키고, 함의 및 관련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지식정보 구축 대가의 개발 : 국가직무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과의 통합 방안을 중심으로 (A Development of a Framework Cost Estimation Model for the Digital Document Database Construction Projects)

  • 김소정;서용원;손영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7-65
    • /
    • 2017
  • The reference guide for the cost of establishing the digital documents has been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the budge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 However, due to the abolition of the nominal unit price notification in terms of IT projects,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to convert the standard of the current labor force grade standard to the national incompetency standard (NC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and revise the system and contents of the current knowledge information cost estimation model. In specific, i) we conducted gap analysis of cost estimation model and existing NCS model. As the contents conforming for the construction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 were not adoptable, we define the descrip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 and to identify the core elements of NCS prior to the improvement of the cost model. ⅱ) then we proposed improve the cost model considering integration with newly proposed NCS model for knowledge information construction job. In order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application of NCS development and cost estimation model, the experts reviewed relevant contents and made plans for improvement by using experts from supply and demand groups of various fields of national knowledge informatization projects.

다문화사회에서의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플랫폼 전자정부 구축 연구 (A Study on 'Platform' e-Government for Reducing the digital divide in a Multicultural Society of S. Korea)

  • 이상윤;정명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1-12
    • /
    • 2014
  • 2020년 무렵 한국사회는 급속한 정보통신기술(ICT)발전에 따른 디지털 양극화의 심화문제와 함께, 100만 명에 이르는 본격적인 다문화사회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도래에 적합한 정보격차를 해소하는 다문화정책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환경 아래에서의 한국 다문화 가족 관련 정보서비스가 확대 및 강화되는 미래전략방향을 탐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바람직한 미래상을 시나리오플래닝을 통하여 고찰하여 보고 이의 달성을 위한 향후 추진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ICT에 기반을 둔 데이터 서비스통합형의 개방된 플랫폼 전자정부 구축이 향후 한국 다문화사회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미래상으로 제시되었다.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과 사회자본의 관계: 디지털 기기 이용 효능감 매개효과 검증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Ability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al Capital: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Device use Efficacy)

  • 김준수;조우홍;장영은;변길희;최대훈;김미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327-33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실시한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 25.0 통계프로그램으로 개인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정보화기기 중 PC, 모바일 기기 활용능력,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독립변수로 하고 노인의 사회자본을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남성보다 여성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았고, 나이가 많은 사람, 월평균 소득이 높은 사람, 다른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노인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수인 PC활용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고,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과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자본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매개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pc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경로와 모바일기기 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매개효과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정보화기기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교육기관의 노력과 단순한 컨텐츠 위주의 교육에서 보다 실용적이고 즉시적인 교육 콘텐츠 전환 등 실천적 노력에 대해 제언하였다.

  • PDF

인천지역 중소기업 정보화 현황 및 발전방안 (A Study on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Development Strategy of Small and Midium Enterprises Case of Incheon Metropolitan Area)

  • 오원선;김준우;윤호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3호
    • /
    • pp.169-180
    • /
    • 2010
  • 정보화는 지금의 급 변화 하는 경영환경 속에서는 기업이 꼭 갖추어야 할 요소로 자리 잡았다. 인천의 중소기업은 경제규모나 고용증대 면에서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규모와 자본의 영세함으로 정보화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천소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보화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였고 정보화 방안을 분석하였다. 현재 인천 소재의 중소기업들의 정보하는 도입기와 성장기 사이에 도달해 있는 것으로 파악 되며, 중소기업 간에도 규모가 큰 중소기업이 정보화에 대한 노력과 성과가 규모가 작은 기업보다 더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또 중소기업 입장에서 정부나 자치단체에게 건의사항을 파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