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culture

검색결과 1,713건 처리시간 0.028초

디지털 콘텐츠 저작물의 공정이용 확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ended Fair Use of Copyrighted Digital Contents)

  • 김성묵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217-222
    • /
    • 2020
  • 디지털 경제에서 저작권 논의는 디지털 저작물의 이용환경 변화와 디지털 기술들의 빠른 발전을 반영해야 한다. 이용자 제작 콘텐츠와 기여활동에 있어서 이용자 저작물 권리의 보장, 양도, 이용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디지털 아카이브의 경우 이용허락 범위나 인용 가이드를 명시하는 것이 요청된다. 디지털 복제의 규제에 치우치지 않고 표현의 자유를 늘리고 변형적 가치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디지털 제조에서 사적이용과 공적이용, 공유와 산업간의 긴장이 커질 것이므로 정책적 논의가 진행되어야 한다. 저작자의 권리보호 못지않게 저작물의 공정이용의 범위를 확장하는 방향으로 저작권 해석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저작물의 공정이용 확대와 구체적인 규정 제시가 창작과 유통을 활성화하고 혁신을 생산적으로 사용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현대 디지털 패션에 나타난 생태적 이미지의 표현유형과 내적 의미 (A study on the expression types and internal meanings of ecology images appeared in modern digital fashion)

  • 강준호;권기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3호
    • /
    • pp.422-436
    • /
    • 2021
  • The fashion industry analyzes the value of its essence with ecological design and is expressed as an innovative sculpture using digital technology.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s ecological images and digital technologies, categorizes types and derives their meanings through analysis of ecological images shown in modern digital fashion. A literature survey was conducted on ecological images and digital technolog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o analyze the expression type and internal meanings of ecological images, designs with ecological formability we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related journals, books, and internet sites. The finding are as follows: The expression type was first identified as organic curved garment silhouettes of a non-material liquid with digital retouching. Second, ecological fashion design includes structural shape that applies the silhouette of an organism and patterning of the ecosystem. Third, ecosystems consist of interactions between components of an ecosystem that appear in the interactive type. Accordingly, the internal meanings of ecological images in modern digital fashion are: first, digital fashion can encircle the inherent concepts of nature as organic collections of individuals; second, digital ecological images emphasize a sense of community with coexistence and harmony, playing a complementary role; and finally, the images express perceptual features by providing people with transcendent experien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analyzes new formative features based on ecological systems in the digital fashion environment, establishes an aesthetic system through internal meanings, and enhances awareness of human-natural relationships.

인터넷 서점과 인스타그램에 나타난 디지털 키워드 변화 탐색 - 코로나19 발생 전후 비교 분석 - (Exploring Changes in Digital Keywords on Online Bookstores and Instagram: A Comparative Analysis of Before and After COVID-19)

  • 제수연;김시원;엄란이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15-724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shifts that occurred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by scrutinizing digital keywords derived from prominent culture media, such as books and instagram. The analysis identified trends rooted in digital terminology. For this study, the period 2017 to 2022 was divided into three-year segment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Subsequently,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igital keywords to assess the number of digital-related books and book hashtags, the number of instagram mentions, and relevant keywords. We found that COVID-19 exerted a discernible influence on information related to digital keywords, substantially impacting both the book publishing market and instagram. Notably, digital-related books have been published in a variety of fields since the outbreak, and new fields are emerging. The year 2020 saw the most significant growth in the mentions of digital terms on instagram. Such terms were used in conjunction with terminology related to people working in a digital environment, endeavors aimed at revenue generation in online spaces, leisure activities associated with art and culture, and online service platforms. Through the analysis of digital keyword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digital trends and their future trajectories.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융복합 학문의 시대적 흐름- 음악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Trend of the Convergence Stud in Arts & Culture Education - Focused on Music Technology)

  • 김은진;임병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02-113
    • /
    • 2012
  •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에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려는 노력은 사회 문화 전반 분야뿐만이 아닌 일반 교육계와 문화, 예술교육에도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가장 큰 변화의 하나는 다른 영역간의 통합과 연계라는 추세가 문화와 예술분야에도 영향을 주면서, 문화와 예술이 통합을 이룬 문화예술 교육을 탄생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새로운 시대는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활용이 교육 전 영역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문화 예술교육에도 테크놀로지의 활용이라는 새로운 시도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음악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알아보았다. 음악 테크놀로지의 활용은 다른 교과간의 통합적 접근으로의 가능성을 보여주며, 문화예술교육 외에 다양한 학문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음악 테크노로지의 활용은 현재 문화예술 교육 분야의 독특성, 전문성, 고유성을 반영해줄 만한 교수학습방법의 학습도구로서 다양한 대상과 상황에서 적용하여 실천적 사례를 쌓음으로서 문화예술 교육 분야를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경북 문화콘텐츠산업의 현황과 육성 방향 (Present State and the Promotion Course of Culture Contents Industry in Gyeongbuk Province)

  • 서곡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37-144
    • /
    • 2009
  • 경북 문화콘텐츠산업은 소비지향적 구조, 영세성, 부족한 인프라, 불균형, 전략 부재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하지만, 경북 문화콘텐츠산업은 풍부한 문화자원, 문화콘텐츠산업의 전망, 미래의 효과적인 육성전략으로 인해서 그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육성방안으로는 문화원형의 디지털화, 유교 문화의 에듀테인먼트, 전통문화디지털센터의 구축, 장소마케팅, 다큐영상원 건립, 문화 리터러시, 작은 영상 지향, 글로벌 도시와 문화거점 도시의 육성, 킬러 콘텐츠 개발, 관광자원 개발, 차별화 전략 등이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은 고부가가치, 관련 산업에 대한 영향력, 디지털문화콘텐츠의 효용성, 시장 규모의 확대, 빠른 성장속도 등의 측면에서 경북도 문화콘텐츠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메이커 문화를 둘러싼 담론적 지형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The Discursive Topography in Maker Culture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Maker Movement')

  • 최혁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82권
    • /
    • pp.73-103
    • /
    • 2017
  • 이 연구는 메이커 운동과 관련된 단행본, 정책 보고서, 기사 및 칼럼 등을 비판적 담론 분석의 관점에서 살펴보며 메이커 문화를 둘러싼 담론적 지형과 사회적 실천을 분석한다. 정부 주도의 메이커 운동은 제작 문화를 경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창조 경제'의 원동력으로 의미화하고, 디지털 제조업의 창업을 정책적으로 진흥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정부 주도의 경제주의적 메이커 운동을 비판하면서, 기술을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디지털 사회 혁신'으로 메이커 운동을 제도화한다. 문화 예술계에서는 메이커를 장인 노동이나 손노동과 같은 '창조적 장인'으로 간주한다. 또한 지배적인 기술 구조에 대한 대항으로서 '비판적 제작 활동'을 구축하고자 하는 저항의 움직임도 있다. 하지만 지배적 담론이 현실적인 차원에 미치는 권력 효과와, 대항적 담론 투쟁으로 인한 지배 구조의 균열을 섣불리 확신할 수 없다. 현재 진행 중인 메이커 운동은 지배적인 권력 구조와 접합되어 제작 문화를 사회적 경제적 가치로 이끌어 내고자 하는 담론 전략과, 이에 대한 문화적 기술 정치적 가능성을 중시하는 대안적인, 혹은 대항적인 의미화 실천이 경합하는 갈등과 투쟁의 장이다.

  • PDF

디지털교과서 활용 정책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A study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on Digital Textbook Utilization Policy)

  • 안성훈;안석훈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2호
    • /
    • pp.111-118
    • /
    • 2021
  • 향후 디지털교과서 활용의 올바른 방향 설정과 현 디지털교과서 사용에 따른 단점과 역기능을 파악하여 보완하기 위해서는 디지털교과서를 이미 활용하고 있는 다른 나라들의 실태를 일률적인 기준에 의해 검토하고 분석하여 국내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정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국, 캐나다, 말레이시아, 중국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정책을 비교·분석하고 우리나라의 디지털교과서 정책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각 국가별 디지털교과서 추진 주체 및 전략, 사용범위, 발행제도, 활용 방식을 각각 비교·분석하고 각 국가별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국가별 시사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제시된 디지털교과서 개선 방안은 향후 디지털교과서의 발전 방안 정책을 마련하는데 의미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디지털교육에 대한 대중 담론 분석 (Discourses of Korean Newspaper Articles about Digital Education)

  • 허신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799-805
    • /
    • 2023
  • 비대면 교육이 일상화되었던 팬데믹 시기를 거치면서 디지털 역량은 더욱 강조되었고, 이는 교육 정책의 변화에 반영되었다. 많은 정책은 대중 담론에 영향을 받기 마련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교육에 대한 대중 담론을 분석하기 위해 전국 일간지의 신문기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가 정점이던 2020년에 디지털교육에 대한 담론은 급증하였는데, 이는 비대면 교육 상황에서 학습과 학생에 대한 효율적 관리라는 현실적인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다. 둘째, 담론은 디지털 역량의 문제를 주로 새로운 기술 습득의 문제와 관련지어 논했고, 가장 중요하게 다루었다. 셋째, 디지털교육 담론은 미래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가에 대한 관점보다는 현재적인 관점의 담론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미래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가에 대한 관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단지 새로운 기술 습득이나 기능 함양이 디지털 리터러시의 전부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래 사회에 필요한 디지털 역량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시키고, 이를 교육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사이버 저작권윤리(Cyber Copyright Ethics)의 수용에 관한 연구: 영향요인도출 (Factors Influencing Cyber Copyright Ethics Reception and Policy Alternatives in Digital Convergence Era)

  • 이기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57-70
    • /
    • 2011
  • 본 연구는 디지털융합시대 사이버 저작권윤리(cyber copyright ethics)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저작권윤리의 확보는 저작권을 적절히 수용하는지의 여부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보았다. 관련이론과 문헌검토를 통해 인간-기술-내용-문화(human-technology-contents-culture, HTCoC)의 4가지 요인이 저작권 윤리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LISREL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모형이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저작권의 윤리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주관적 규범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인터넷매체라는 기술적 한계를 보완하면서, 동시에 저작권문화의 형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작권 문화는 저작권윤리의 확립에 있어 매개변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말미에는 분석결과를 기초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결국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저작권보호를 위해서는 저작권윤리의 정착을 통해 저작권의 침해행위가 최소화되어져야 하고, 동시에 체계적인 정책노력을 통해 디지털융합시대의 역기능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 여성 패션에 나타난 신자연주의의 표현 특성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neo-naturalism in contemporary women's fashion)

  • 박규리;이연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21권5호
    • /
    • pp.613-628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neo-naturalism coming from periodical changes in the 21th society, culture based on naturalism and analyze the expressional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neo-naturalism on 2000s. For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researched development of naturalism in fashion, and searched digital naturalism and ecology which are design paradigm effecting on neo-naturalism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eliminary study. Analyzing preliminary study on architecture, interior, fashion about digital naturalism and ecology design, concept of neo-naturalism identified and four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neo-naturalism was classified, actual examples of neo-naturalism in 21th fashion were extracted and drew design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ly, naturalism described nature as it is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values and needs of the times. Naturalism in fashion showed natrual human body's curve, nature pattern and used natural materical focused on ideal beauty of nature. Secondly, neo-naturalism renews with the foundation of digital culture and ecology design paradigm, and focuses on the flexible possibility to express nature with digital, new media and formative art, and made the artificial nature uniting human-nature-environment as organic whole by ecology design paradigm. Thirdly, design of neo-naturalism divided four characteristics, nature's organic form, combination with the technology, ethical harmony with nature, global local design. The first characteristics of the nature's organic form are expressing silhouette of the nature's organic volume abstractly, the second ones of the combination with the technology are reinterpreting primitive nature contemporary with artificial sensibility of high technology, the third ones of the ethical harmony with nature are showing simple design and high-touch, and the forth ones of global local design are expressing cultural hybrid preserving vernacular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