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estive diverticulum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개조개, Saxidomus purpuratus 소화맹낭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Digestive Diverticulum of Saxidomus purpuratus (Bivalvia: Veneridae))

  • 주선미;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59-165
    • /
    • 2011
  • 개조개 소화맹낭의 해부학적 구조와 미세구조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기재하였다. 개조개는 한국 여수연안에서 2010년 5월에 채집하였다. 소화맹낭은 진한 녹색으로 생식소 위쪽에 위치하며, 일차소관으로 위와 연결되어 있었다. 소화맹낭은 다수의 소화선세관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소화선세관은 단층 상피층으로 호염기성세포와 소화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호염기성세포는 원주형으로 소화세포에 비해 전자밀도가 높았다. 세포질에는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 관상의 미토콘드리아, 골지체 및 전자밀도가 높고 막을 가진 분비과립들을 함유하고 있었다. 소화세포는 원주형이며, 자유면에는 미세융모가 발달되어 있었다. 세포질 상부에서는 음소포, 용해소체 및 미토콘드리아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결과는 소화선세관의 호염기성세포와 소화세포는 각각 세포외 소화와 세포내 소화에 적당하게 분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지중해담치, Mytilus galloprovincialis 소화맹낭의 미세해부학적 구조 (Microanatomical Structure of the Digestive Diverticulum of Mytilus galloprovincialis (Bivalvia: Mytilidae))

  • 주선미;이정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4호
    • /
    • pp.257-263
    • /
    • 2011
  • 지중해담치 소화맹낭의 해부학적 구조와 미세구조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기재하였다. 소화맹낭은 황갈색으로 위를 둘러싸고 위치하며, 일차소관으로 위와 연결되어 있었다. 소화맹낭은 다수의 소화선세관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소화선세관은 단층 상피층으로 호염기성세포와 소화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호염기성세포는 원주형이며, 세포질에는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 관상의 미토콘드리아, 골지체 및 전자밀도가 높고 막을 가진 분비과립들을 함유하고 있었다. 소화세포는 원주형이며, 자유면에는 섬모와 미세융모가 발달되어 있었다. 세포질 상부에서는 음소포, 활성 용해소체 및 미토콘드리아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결과는 소화선세관의 호염기성세포와 소화세포는 각각 세포외 소화와 세포내 소화에 적당하게 분화되었음을 의미한다.

꼬막, Tegillarca granosa 소화맹낭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Digestive Diverticulum of Tegillarca granosa (Bivalvia: Arcidae))

  • 주선미;전미애;김혜진;구가연;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7-34
    • /
    • 2015
  • 꼬막 소화맹낭의 해부학적 구조와 미세구조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기재하였다. 소화맹낭은 생식소 위쪽에 위치하며, 일차소관으로 위와 연결되어 있었다. 소화맹낭은 다수의 소화선세관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소화선세관은 단층 상피층으로 호염기성세포와 소화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호염기성세포는 원주형으로 소화세포에 비해 전자밀도가 높았다. 세포질에는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 관상의 미토콘드리아, 골지체 및 전자밀도가 높고 막을 가진 분비과립들을 함유하고 있었다. 소화세포는 세 가지 종류 (A, B, C) 로 구분 할 수 있었는데 이들 소화세포들은 세포형태, 전자밀도, 세포소기관의 발달 차이를 보였으나 자유면에서 섬모와 미세융모의 발달 및 세포질의 용해소체는 세 가지 상피세포에서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결과는 소화선세관의 호염기성세포와 소화세포는 각각 세포외 소화와 세포내 소화에 적당하게 분화되었음을 의미한다.

Immunohistochemistry of Gastrointestinal Endocrine Cells in the Meckel′s Diverticulum of the Bean Goose, Anser fabalis Latham

  • Ku, Sae-Kwang;Lee, Hyeung-Sik;Park, Ki-Dae;Lee, Jae-Hyu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4권4호
    • /
    • pp.375-379
    • /
    • 2000
  • The appearance of some gastrointestinal endocrine cells in the Meckel's diverticulum (MD) of the bean goose, Anser fabalis Latham was observed using specific antisera against serotonin, gastrin, cholecystokinin (CCK)-8, glucagon, secretin, somatostatin and human pancreatic polypeptide (HPP) with the peroxidase antiperoxidase (PAP) method. Among these specific antisera, serotonin-, gastrin-, CCK-8-, somatostatin- and HPP-immunoreactive cells were demonstrated in this study. Serotonin-, gastrin- and somatostatin-immunoreactive cells were detected at moderate frequency and CCK-8- and HPP-immunoreactive cells was rare and low frequencies, respectively. These immunoreactive cells were located in the superficial epithelium, intestinal crvpt and intestinal glands with spherical or spindle shaped cells having long cytoplasmic processes (open typed-cell). Mucosal layer of MD was composed of simple columnar epithelium and numerous intestinal glands. In addition, numerous lymphatic tissues were also demonstrated. In conclusion, histological profiles of MD were similar to any parts of the large intestine, especially the cecum, but the appearance,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gastrointestinal endocrine cells were similar to those of upper parts of the small intestine. Although the exact digestive functions were unknown, the finding that the appearance,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gastrointestinal endocrine cells in MD is similar to small intestine may be considered as distinct evidence that this organ may have some digestive functions.

  • PDF

청둥오리 Meckel 게실의 조직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Thehistological and immunohistological studies in the Meckel's diverticulum of the duck, Anas platyrhynchos platyrhyncos, Linne)

  • 구세광;이재현;이형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50-454
    • /
    • 1998
  • We have studied Meckel's diverticulum(MD) of the duck(Anas platyrhynchos platyrhyncos, Linne) by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methods. Because MD were first observed in 2 weeks after hatching, tissues were taken from 2 weeks to 32 weeks after hatching groups. MD were observed as like any parts of intestinal tract that composed with simple columnar epithelium and numerous mucosal gland especially, cecum except that many lymphocytes were exist in this study. Also a number of bovine chromogranin(BCG)-, serotonin, and somatostatin(SOM)-immunoreactive cells were observed in epithelium and submucosal gland in this study, so it could be suggest that the MD of the duck serve as some digestive and lymphatic functions.

  • PDF

Simultaneous laparoscopic removal of a Todani type II choledochal cyst and a microlithiasic cholecystitis

  • Alfonso Grottesi;Simonetta Iacovitti;Paolo Ciano;Francesco Borrini;Maddalena Zippi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81-284
    • /
    • 2022
  • Diverticula of the choledochus, better known as Todani type II cysts, are very rare and represent a predominantly pediatric pathology. Their identification by radiological methods, even if occasional, requires clinical doctors to request a surgical consultation, even for asymptomatic subjects, to proceed with their removal, given the risk of associated neoplasms. The laparoscopic approach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se cysts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with excellent results. Due to the poor clinical records, currently there are neither shared protocols about their management nor long-term follow-up of operated patients. We report a case of an adult female suffering for years from biliary colic due to the presence of a duodenal diverticulum associated with microlithiasis' cholecystitis, who was laparoscopically treated, with excellent results in terms of symptomatic regression, reduced hospitalization, and no surgery-related complications.

납(Pb)에 노출된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생물지표 변화 (Changes of Biomarker in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Exposed to Lead)

  • 신윤경;박정준;임현식;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13
    • /
    • 2013
  • 본 연구는 납에 노출된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의 생물학적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기간은 4주였으며, 실험구는 대조구 1개와 납 노출구 3개 (0.25, 0.50 and 1.00 mg/l) 였다. 실험 결과 납은 바지락의 생존율과 산소 소비율의 저하 및 기관계의 조직학적 변성을 유도하는 것이 확인 되었다. 납 노출구에서 산소소비율은 25-72% 감소하였다. 기관계의 조직학적 분석 결과, 외투막 상피층과 결합조직층의 변성, 아가미 점액세포의 증가와 상피세포의 괴사, 발에서는 상피층의 붕괴, 점액세포의 감소 및 혈림프동의 확장과 결합조직층의 변성을 나타냈다. 소화맹낭의 소화선세관에서는 호염기성세포와 상피세포의 위축 및 농도 의존적으로 lipofuscin의 축적이 확인되었다.

꼬막, Tegillarca granosa의 생존, 호흡 및 기관계 구조에 미치는 구리 (Cu) 의 독성 (Copper Toxicity on Survival, Respiration and Organ Structure of Tegillarca granosa (Bivalvia: Arcidae))

  • 신윤경;박정준;주선미;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1-158
    • /
    • 2015
  • 본 연구는 구리에 노출된 꼬막, Tegillarca granosa의 생존율, 호흡율 및 기관계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기간은 4주였으며, 실험구는 대조구와 구리 노출구 3개 (0.125, 0.250 and 0.500 mg/L) 였다. 실험 결과 구리는 꼬막의 생존율과 호흡률의 저하 및 기관계의 조직학적 변성을 유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노출 종말점에서 0.500 mg/L의 구리 노출구에서 사망률은 66.7%였으며, 호흡률은 대조구에 비해 18.2%로 감소하였다. 기관계의 조직학적 분석 결과, 외투막 상피층과 결합조직층의 변성, 아가미 새엽 상피세포의 위축과 측면섬모의 소실, 발에서는 상피층의 붕괴, 점액의 산성화 및 혈림프동의 확장과 근섬유 다발의 변성을 나타냈다. 소화맹낭의 소화선세관에서는 호염기성세포와 상피세포의 위축 및 붕괴가 확인되었다.

동죽, Mactra veneriformis의 생존, 호흡 및 기관계 구조에 미치는 구리 (Cu)의 독성 (Copper Toxicity on Survival, Respiration and Organ Structure of Mactra veneriformis (Bivalvia: Mactridae))

  • 신윤경;박정준;임현식;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9-137
    • /
    • 2013
  • 본 연구는 구리에 노출된 동죽, Mactra veneriformis의 생존율, 호흡율 및 기관계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기간은 4주였으며, 실험구는 대조구와 구리 노출구 3개 (0.025, 0.050 and 0.100 mg/L)였다. 실험 결과 구리는 동죽의 생존율과 호흡률의 저하 및 기관계의 조직학적 변성을 유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구리 0.100 mg/L 노출구에서 3주후 사망률은 100%였으며, 호흡률은 대조구에 비해 75% 감소하였다. 기관계의 조직학적 분석 결과, 외투막 상피층과 결합조직층의 변성, 아가미 점액세포의 증가와 상피세포의 괴사, 발에서는 상피층의 붕괴, 점액세포의 감소 및 혈림프동의 확장과 결합조직층의 변성을 나타냈다. 소화맹낭의 소화선세관에서는 호염기성 세포와 상피세포의 위축 및 농도의존적으로 lipofuscin의 축적이 확인되어 저농도의 구리에 노출된다 할지라도 노출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동죽의 재생산 및 생산량 변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