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usibility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근관용 약제의 근관내 확산성 및 항균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DIFFUSIBILITY AND ANTIMICROBIAL EFFECTIVENESS OF INTRACANAL MEDICATIONS)

  • 박영숙;이정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2권1호
    • /
    • pp.25-37
    • /
    • 1986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measure the diffusibility and antimicrobial effectiveness of the medication used in clinical practice. To study the diffusibility of the root canal medicament, loss of formocresol and camphorated phenol from a cotton pellet after insertion into the pulp chamber of 260 molars prepared as routine endodontic treatment was measured. Measurement was done for the one time insertions and for the reinsertions using ultraviolet spectrophotometer. Antibacterial effectiveness against three microoganism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a-hemolytic streptococcus, on the blood agar plate was observed by measurement of the inhibition zone with. various amount of medicam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 1. Nearly all of the medication were lost in the first day after insertion and the residual amount of camphorated phenol was greater than that of formocresol. 2. Residual amounts of medication in the reinsertion group were greater than that of the one time insertion group. 3. Within the pulp chamber diffusibility of formocresol was greater than that of camphorated phenol. 4. The amount of formocresol diffusing out from the tooth was greater than that of camphorated phenol. 5. Antibacterial effectiveness was observed from the residual amount of formocresol in the reinsertion group and in other groups no antibacterial effectiveness was observed.

  • PDF

SODAR를 이용한 대기 확산능의 조사 (Investigation of Atmospheric Diffusibility Using SODAR)

  • 천성남;박옥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21-332
    • /
    • 1998
  • Various meleorologlcal dada obtained by SODAR system in shoreline area surrounding Boryung power plant have been analysed to investigate atmospheric diffusibility. Important conclusion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i) Stability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co (standard deviation of wind direction in degree for averaging time of 1 hour) appears to evaluate certain atmospheric velocity and : indicate horizontal mean wind speed. Thus different scheme for stability classification seems to be preferable in order to appropriately estimate lateral and vertical dispersion coefficients cy and cz, respectively. (ii) As a result of comparisons between 3 available schemes for estimating of mixing height, best one turned out to be the double height scheme where height corresponds to maximum cw.

  • PDF

농용 무인항공방제용 500g 대립제의 잡초방제효과와 확산성 (Herbicidal Efficacy and Diffusibility of 500g Great Granule for Remote-Controlled Aerial Application in Paddy Rice)

  • 윤철수;이성춘;김경현;이계환;석창수;김현재;조태경;황인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45-453
    • /
    • 2010
  • Halosulfuron-methyl+mefenacet 500g 대립제와 3kg 입제에 대한 시간대별로 채취한 물을 분석하고 제초활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00g 대립제를 중심부에 처리하여 30~60분 후 $10m^2$ 면적에 유효한 수준의 확산이 일어났다. 확산이 일어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부유성담체와 수분함량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500g 대립제의 개봉 후 수분과의 접촉은 확산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개봉당일 약제를 살포하여야 한다. 500g 대립제와 3kg 입제간의 약효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사마귀풀, 올챙이고랭이에 대한 반응은 달랐다. 이는 유효성분이 수중에 분포하는 500g 대립제와 달리 토양표면 1cm 내에 많은 양이 분포하는 3 kg 입제와의 유효성분의 확산양상에 의한 차이이다.

수도용 발포성정제 제초제의 확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usibility of Bubbling Tablet Herbicide Formulations for Paddy Rice)

  • 김만호;양광록;이창혁;심재원;김경현;윤철수;유용만;변종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01-410
    • /
    • 2005
  • 논 잡초를 생력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발포성 정제를 제조하여 최적 유효농도 결정 제제실험, 발포성 실험, 확산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제의 발포속도는 유기산의 종류에 따라 oxalic acid>malonic acid>citric acid>tartar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발포성 정제 g 당 5분 이내에 발생하는 가스의 량은 수온에 따라 상이하여 $10^{\circ}C$에서 20 mL, $15^{\circ}C$에서 25 mL, $20^{\circ}C$에서 28 mL, $25^{\circ}C$에서 45 mL, $30^{\circ}C$에서 57 mL 이었다. 발포성정제의 수온에 따른 농약 주성분의 수중 확산성은 5, 15, 20, $30^{\circ}C$에서 처리 24시간 후 처리지점으로부터 2.4 m 떨어진 지점의 농도가 투하지점 농도의 20, 48, 85, 97%로 나타나 발포력이나 확산성 모두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담수 중 산도에 따른 발포력은 $pH5{\sim}11$의 범위에서 가스발생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Halosulfuron-methyl의 담수 중 농도는 실험면적의 크기와 관계없이 살포 후 24시간이 되면 표준농도 수준인 0.16 ppm 을 유지하였다. Pyriminobac-methyl도 같은 경향을 보여 면적의 크기는 확산성실험에 큰 영향이 없었다. 발포성 정제 살포 24시간 후 처리지점으로부터 바람의 방향 또는 바람의 반대방향으로 2.4 m 떨어진 지점에서의 제초제 주성분 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표준 약량의 4배량으로 5 g 짜리 4개의 정제를 4개지점에 동시에 처리한 경우 처리 24시각 후 halosulfuron-methyl 및 pyriminobac-methyl은 균일한 확산성을 나타냈다.

Evaluation of Diffusibility of Boron in Wood under Water Leaching Conditions

  • Ra, Jong-Bum;Kim, Gyu-Hyeo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5호
    • /
    • pp.98-103
    • /
    • 2006
  • Radial and tangential diffusion coefficients of boron in wood under water leaching conditions were determined from the change of concentration profiles of boron. Egner's solution was used to obtain variable diffusion coefficients of boron because it has been known to be the only method to determine variable diffusion coefficients with no cumbersome assumption. The values of diffusion coefficients were between $0.18{\times}10^{-6}m^2/sec$ and $25.6{\times}10^{-6}cm^2/sec$. The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ample thicknesses, and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leaching times. There was a region where Egner's method was not valid. However, Egner's solution illustrates a convenient way to evaluate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boron from wood under water leaching conditions. The diffusion coefficients at wood surface may be regarded as leaching coefficients.

Water Quality and Diffusion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Sea of the Geoje Island

  • Han, Young-Ho;Kim, Young-Seup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1권2호
    • /
    • pp.99-104
    • /
    • 1985
  •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for setting up the proper strategies to minimize the future marine pollution in the vicinity sea area of the Geoje Island, the general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dye diffusion experiment were carried out from January to March, 1983. Although TSS and COD level in the investigated sea area showed still slightly lower than the area of Seaside Industrial Complex Zones, seriously increasing due to the construction of heavy industrial plants. Dissolved oxygen showed more than 8 ppm, and inferred still enough for the reservation of the investigated sea area. The dye patches moved south-eastward with forming an elliptical shape and then turned slowly to the area of Kujora during flood tide, and it moved northwestward and then blocked the entrance of Jangseungpo during ebb tide, The diffusibility in the area may be assessed to be quite better than other coastal areas.

  • PDF

사례연구를 통한 DSC에 의한 BIPV 가능성 분석 연구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the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with DSC by the Case Studies)

  • 이응직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6권2호
    • /
    • pp.54-63
    • /
    • 2017
  • 건물에너지 자립과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BIPV 역할이 증대되는 가운데 기존 결정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DSC의 적용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DSC의 다양한 색상과 투명성 그리고 방향에 무관한 작동성은 모듈의 다기능 복합재로서 BIPV폭을 크게 확장시킨다. 이에 사례조사 분석을 통해 DSC BIPV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그 활용성을 조망한다. 국 내외 각 3건씩의 사례 조사 분석을 통해 나타난 대부분의 DSC BIPV는 주로 창호와 차양 장치로 구현되고 있고 이는 DSC의 특성과 무관치 않다. 즉, 다양한 색상과 투명성의 모듈은 건물 외피디자인과 에너지 획득에 커다란 전환점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으로는 적용모듈의 색상으로 인한 눈의 자극성이 존재하여 BIPV 창호적용에는 건물 및 실의 용도에 따른 색감 고려가 필수적이고 건물외피 적용을 위한 유연한 모듈개발의 경우 DSC BIPV는 상당히 기대되는 확산성을 가질 것이다.

미디어 콘텐츠와 아동의 놀이: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을 중심으로 (Media Content and Children's Play: Focused on Carrie And Toys)

  • 고유미;김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53-65
    • /
    • 2017
  • 요즈음 아동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 콘텐츠 중 하나는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이다. 이 콘텐츠는 아동에게 모방 놀이를 유발했다. 이 놀이에는 몇 가지의 특징이 있었다. 첫째, '캐리 놀이'를 하는 아동들은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즐거움을 추구했다. 그런데 그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가 필요했다. 둘째, 놀이에 대한 동기 근원이 모호했다. 놀이하는 사람을 따라하는 놀이이다 보니 놀이를 즐기는 장면에서는 내적 지향이 뚜렷하게 드러나지만 놀이자를 따라하는 놀이에서는 외적 요인인 타인의 시선을 기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이 놀이는 규칙성은 높고 자유도는 낮았다. 아동들은 전형적인 순서와 대사를 따라 놀이를 진행했다. 자유롭게 진행할 수 있는 영역은 종종 축소되었고, 확장되어도 정형화 된 형태로 마무리 되었다. 넷째, '캐리 놀이'는 견고한 놀이 세계를 구축했다. 시공간적으로 분리된 놀이 세계가 확립되었고, 참여자들은 새로운 이름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이 세계는 확산성이 없었다.

Anesthetic efficacy and safety of 2% lidocaine hydrochloride with 1:100,000 adrenaline and 4% articaine hydrochloride with 1:100,000 adrenaline as a single buccal injection in the extraction of maxillary premolars for orthodontic purposes

  • Deshpande, Nupoor;Jadhav, Anendd;Bhola, Nitin;Gupta, Manan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0권4호
    • /
    • pp.233-240
    • /
    • 2020
  • Background: Palatal injection of local anesthetics is the most painful injection. To obviate the need for palatal injections, local anesthetic agents with diffusibility are being investigated. Henc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anesthetic efficacy of 2% lidocaine hydrochloride (HCl) with 1:100,000 adrenaline and 4% articaine hydrochloride (HCl) with 1:100,000 adrenaline using single buccal infiltration for the extraction of maxillary premolars. Methods: A prospective, double-blind, crossover, randomized clinical study was performed on 60 consecutive systemically healthy patients with an age range of 15-30 years, requiring extraction of asymptomatic bilateral maxillary premolars for orthodontic purposes. They received 1ml buccal infiltration of 4% articaine HCl with 1:100,000 adrenaline on one side and 2% lidocaine HCl with 1:100,000 adrenaline on the other side. The extraction procedure on either side was scheduled 14 days apart. Parameters assessed were the time of onset of anesthesia, intraoperative discomfort, hemodynamic parameters, and the duration of analgesia.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using the Mann-Whitney test, the Wilcoxon test, the Kruskal-Wallis ANOVA test, and the chi-square 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established at P < 0.05. Results: Articaine showed a faster time of onset and longer duration of analgesia than lidocaine.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intraoperative discomfort and hemodynamic parameters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xtraction of maxillary premolars can be performed with a single buccal infiltration of 2% lidocaine HCl with 1:100,000 adrenaline, which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local anesthetic agent.

탄산화 작용에 따른 콘크리트의 세공구조 성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ore Structure Property of Concrete by Carbonation)

  • 김영봉;김영선;이의배;나철성;김규용;김무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537-540
    • /
    • 2008
  • RC 구조물은 반영구적인 재료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 RC 구조물의 조기 열화에 의한 문제가 보고되고 있다. 이중 내구성능 저하 요인으로서 탄산화에 의한 공극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결합재비율을 0.55로 고정하고 결합재로서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만을 사용한 (OPC), 이성분계 콘크리트로서 결합재에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50% 치환한 (BFS50), 플라이애시를 15% 치환한 (FA15), 또한 삼성분계 콘크리트로서 플라이애시 15%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35% 치환한 (BFS35+FA15)로 배합을 설정하였다. 또한 탄산화에 진행에 의한 공극구조의 변화로 열화요인의 작용으로 인한 $CO_2$ 및 염화물 이온의 침투 특성을 단독열화 시험과 복합열화 시험을 통해 비교 연구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극구조의 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인하여 염화물 이온의 침투속도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