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zinon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7초

생고시용(生藁施用)과 Diazinon의 운용(運用)이 토양중(土壤中) Diazinon의 분해(分解)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Rice Straw Amendment and Repeated Application of Diazinon on the Persistence of Diazinon in Submerged Soils)

  • 이해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1호
    • /
    • pp.1-6
    • /
    • 1981
  • 토양처리형(土壤處理型) 살충제로 널리 사용(使用)되고 있는 diazinon입제(粒劑)의 토양중(土壤中) 분해(分解)에 대(對)한 생고(生藁), 토양살균(土壤殺菌) 및 약제연용(藥劑連用)의 영향(影響)을 시험(試驗)한 결과(結果), 1. 생고시용(生藁施用)으로 토양중(土壤中) diazinon의 분해(分解)가 다소(多少) 촉진(促進)되는 경향(傾向)으로, 생고무시용구(生藁無施用區)에 비(比)해 생고시용구(生藁施用區)는 그 반감기(半減期)가 약(約) 2.5일(2.5日) 단축(短縮)되었다. 2. 토양(土壤)의 살균처리(殺菌處理)로 diazinon의 분해(分解)는 현저(顯著)히 지연(遲延)되었으며, 무살균토양(無殺菌土壤)에 비(比)해 살균토양(殺菌土壤)은 그 반감기(半減期)가 약(約) 20일정도(20日程度) 지연(遲延)되었다. 3. diazinon입제(粒劑)의 연용(連用)으로 토양(土壤)과 표면수중(表面水中) diazinon의 분해(分解)는 현저(顯著)히 촉진(促進)되었으며, 이러한 현상(現象)은 연용회수(連用回數)가 증가(增加)할수록 심(甚)하였다. 토양(土壤)보다는 표면수(表面水)에서 더욱 현저(顯著)한 경향(傾向)이었다. 4. 연용처리(連用處理)한 토양(土壤)과 표면수(表面水)를 살균처리(殺菌處理)한 결과(結果)는 토양(土壤)과 표면수(表面水) 공(共)히 diazinon 분해(分解)에 미치는 연용(連用)의 영향(影響)은 거의 없었다.

  • PDF

담수토양중 Diazinon과 Dursban의 분해에 미치는 Monooxygenase와 Esterase의 활성 (Effect of activities of monooxygenase, ${\alpha}$, ${\beta}-esterase$ on the degradation of diazinon and dursban in submerged soil)

  • 최종우;이영하;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7-103
    • /
    • 1990
  • 담수토양중 Diazinon과 Dursban의 분해에 미치는 Monooxygenase 활성과 ${\alpha}$, ${\beta}-esterase$ 활성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실 조건에서 항온($30{\pm}1^{\circ}C$)으로 유지하면서 두 약제의 분해율과 두 효소의 활성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담수토양중 두 약제의 전체 분해율 중 미생물에 의한 분해율은 5일과 10일 사이에 Diazinon은 29-38%(1X), 34-24%(3X), Dursban은 18-28%(IX), 18-27%(3X)이었다. 2. M. O.활성은 Diazinon 처리구에서 12시간부터, Dursban처리구에서 3일부터 활성을 나타내었다. 3. ${\alpha}-$보다는 ${\beta}-esterase$활성이 10배정도 높았으며, Dursban처리구는 초기(1일)에 활성이 높았지만, Diazinon 처리구는 후기($5{\sim}8$일)에 활성이 높았다. 4. Diazinon의 분해율과는 M.O. 활성이, Dursban의 분해율과는 ${\beta}-esterase$활성이 각각 2배정도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Diazinon이의 계배 기형 유발에 미치는 영향 1. 계배형태와 콜린성 봉쇄약물과의 관계 (Teratogenic Effects of Diazinon in Chick Embryos 1. Effects of Diazinon Treatment on Morphology and Cholinergic Blocking Agents)

  • 허정호;손성기;이주홍;김종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2-129
    • /
    • 1994
  • Teratogenic effects of diazinon were assessed morphologically and cholinergic blocking agents. Diazinon at doses ranging from 25 to 2000 ug /egg, was Injected on day 3 of incubation. TD50s were different for the various teratogenic signs (wry neck, micromelia, abnormal feathering, abnormal beak and curled claws). The threshould dose for wry neck was higher than threshould dose for other signs; 40 ug/egg produced substantial micromelia, abnormal feathering. abnormal beak and curled claws, but gave no signs of wry neck. In contrast to the teratogenic doses, the LD50 of diazinon was very high (above 2000 ug /egg).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diazinon-induced teratogenesis was reduced body weight (78.7%) and body length (73.8%). Maximal teratogenic effects, scored as signs of retarded growth, wry neck micromelia, abnormal feathering, abnormal beak, and curled claws, were produced when the insectcide was administered on the third or fourth day. The threshold dose for type II teratogenic signs(such as wry neck and short neck) was higher than for type I (such as micromelia and abnormal feathering). Morphological studies, using atropine and gallamine, suggested that nicotine but not muscarinic receptors may be involved in the mechanism of diazinon induced type II malformations.

  • PDF

$TiO_2$ 광촉매를 처리한 Diazinon의 광분해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photodegradation of diazinon using $TiO_2$ photocatalyst)

  • 류성필;오윤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1-158
    • /
    • 2000
  • Considerable interest has been shown in recent years towards utilizing $TiO_2$ particles as a photocatalyst in the degradation of harmful organic contaminants. In this study,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diazinon which is extensively used as a pesticide in the agriculture field, has been investigated with UV-illuminated $TiO_2$ weight, UV wavelength, pH of the solution. Photodegradation rate increased with decreasing initial concentration of diazinon and with increasing pH of the solution. Photodegradation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TiO_2$ weight, but was nearly the same at $TiO_2$ weight of 1g/$\ell$, 2 g/$\ell$, i.e., for initial diazinon concentratin of 5 mg/$\ell$. UV wavelength affecting on the degradation rate of diazinon decreased in the order of 254 nm>312 nm> 365 nm. For $TiO_2$ weight of 1 g/$\ell$and initial diazinon concentration of 5 mg/$\ell$, the photodegradation removal of diazinon was 100% after 130 min in the case of 254 nm, but 95% in the case of 312 nm, and 84% in the case of 365nm, after 180 min. The photodegradation of diazinon followed a first order or a pseudo - first order reaction rate. For initial diazinon concentration of 5 mg/$\ell$, the rate constants(k) in UV and $TiO_2$(1 g/$\ell$)/UV system were $0.006 min^{-1} and 0.0252 min^{-1} at 254 nm, 0.0055 min^{-1} and 0.0104 min^{-1} at 312 nm, and 0.004 min^{-1}$ at 365 nm respectively.

  • PDF

답토양(畓土壤) 및 수도체중(水稻體中) Diazinon의 잔류평가(殘留評價) (Evaluation of Diazinon Residues in Paddy Soil, Brown Rice and Rice Straw)

  • 이영득;이성희;박영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5
    • /
    • 1983
  • 수원(水原) 및 리리(裡里) 2개포장(個圃場)에서 diazinon립제(粒劑)의 토양중(土壤中) 잔류소장(殘留消長)을 구명(究明)하고 약제(藥劑) 철포회수(撤布回數) 및 시기별(時期別)로 수확(收穫)한 현미(玄米) 및 볏짚중 diazinon의 잔류양(殘留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원(水原) 및 리리(裡里) 포장조건하(圃場條件下)에서 토양중(土壤中) diazinon의 반감기(半減期)는 $9{\sim}12$일(日)로 철포회수(撤布回數)와 포장간(圃場間)에 큰 차리(差異)가 없었다. 2) 실험실시험(實驗室試驗)에서 diazinon의 토양중(土壤中) 반감기(半減期)는 수원토양(水原土壤)에서 12.6일(日), 리리토양(裡里土壤)에서 11.6일(日)이었다. 3) 락제처리별(樂劑處理別) 현미중(玄米中) diazinon의 잔류양(殘留量)은 부검출(不檢出)${\sim}0.14ppm$으로 이에 따른 안전사용기준(安全使用基準)은 수확전(收穫前) 15일한(日限), 살포회수(撒布回數) 4회 이내(回 以內)였다. 4) 볏짚 중 diazinon의 잔류양(殘留量)은 $0.08{\sim}4.76ppm$의 범위(範圍)였다.

  • PDF

재조합 생촉매를 이용한 Diazinon 제거 (Removal of Diazinon Using Recombinant Biocatalyst)

  • 최석순;서상환;강동균;차형준;권인찬
    • 공업화학
    • /
    • 제22권5호
    • /
    • pp.486-48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대장균 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유기인분해효소(organophosphorus hydrolase; OPH)를 이용하여 난분해성 및 환경독성물질로 알려진 diazinon의 효과적 처리가 이루어졌다. 이 실험에서는 $25^{\circ}C$ 배양 온도와 배지에 0.2 mM ethylenediamine tetraacetate (EDTA) 첨가 조건이 유기인분해 효소 생산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조건에서 성장한 대장균을 이용하여 초음파 파쇄공정이 수행되었을 때, 25, 50 mg/L diazinon는 각각 4.5, $7.2mg/g{\cdot}min$의 diazinon 제거 속도를 나타내었고, 두 농도(25, 50 ppm) 모두 90% 이상 제거 효율을 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diazinon과 같은 독성 화합물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생물학적 처리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자빔을 이용한 통계적 Diazinon 분해특성 연구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Diazinon Degradation using E-beam)

  • 이시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57-6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자빔공정에서 반응표면법의 하나인 Box-Behnken법을 이용하여 주요 인자로서 diazinon 농도($X_1$), 조사강도($X_2$)와 pH($X_3$)를 토대로 3개 수준으로 구성된 실험설계에 따라 diazinon의 제거와 무기화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우선 pH와 diazinon 농도의 영향이 반응표면법(RSM)에 적용될 적정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통계적 접근은 회귀분석과 분산분석(ANOVA)를 각 인자별 정량적 비교를 도출하기 위해 적용하였으며, 인자별 영향은 조사강도>diazinon 농도>pH의 순으로 나타났다. 회귀모델은 최적화도구를 이용하여 운영조건의 영향을 고려한 최적점을 예측하였으며, 그에 따른 모델식은 $Y_1=81.73-5.58X_1+23.69X_2-14.23X{_2}^2+4.22X{_3}^2(R^2=99.7%)$, $Y_2=35.23-3.01X_1+10.79X_2-7.58X_2{^2}(R^2=97.9%)$로 도출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는 diazinon 농도 12.75mg/L와 조사강도 4.26kGy에서 diazinon 제거율 95.7%, TOC 저감율은 41.8%로 나타났다. pH 조건은 기존의 다른 고도산화공정(AOPs)에 비해 전자빔 공정에서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omparative Study on Adsorptive Characteristics of Diazinon in Water by Various Adsorbents

  • Ryoo, Keon Sang;Jung, Sun Young;Sim, Hun;Choi, Jong-Ha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9호
    • /
    • pp.2753-2759
    • /
    • 2013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fly ash and loess, as alternative to activated carbon, for the adsorption of diazinon in water. Batch adsorptio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nfluences of various factors like initial concentration, contact time and temperature on the adsorption of diazinon. The adsorption data shows that fly ash is not effective for the adsorption of diazinon. The equilibrium data for both activated carbon and loess were fitted well to the Freundlich isotherm model. The pseudo-second-order kinetic model appeared to be the better-fitting model because it has higher $R^2$ compared to the pseudo-first-order kinetic model. The thermodynamic parameters such as free energy (${\Delta}G$), the enthalpy (${\Delta}H$) and the entropy (${\Delta}S$) were calculated. Contrary to loess, the ${\Delta}G$ values of activated carbon were negative at the studied temperatures. It indicates that the adsorption of diazinon by activated carbon is a favorable and spontaneous process. The positive ${\Delta}H$ values of activated carbon and loess suggest that the diazinon adsorption process is endothermic in nature. In addition, the positive ${\Delta}S$ values show that increased randomness occurs at the solid/solution surface during the adsorption of diazinon.

다이아지는 처리에 의한 송사리의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활성 및 신경전달물질 함량의 변화 (Regulation of Acetylcholine Esterase and Neurotransmitters in Oryzias latipes by Diazinon)

  • Kim, Jong-Sang;Koh, Sung-Cheol;Lee, Sung-Kyu;Chon, Tae-Soo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4권3호
    • /
    • pp.81-85
    • /
    • 1999
  • Diazinon, an organophosphate pesticide, is relatively highly toxic to fish and causes vertebral malformation and behavioral change of fish at relatively low concentrations. To elucidate biochemical mechanism of the behavioral change of Oryzias latipes (killifish) caused by diazinon, the effect of the insecticide on acetylcholine esterase activities and the levels of some neurotransmitters were evaluated. Acetylcholine esterase activities in both head and body were significantly lowered at the concentration of 10 ppb of diazinon and acetylcholine contents in head tended to be upregulat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diazinon. Exposure of killifish to 5000 ppb diazinon resulted in gradual decrease in acetylcholine content in body part with exposure time. Norepinephrine and serotonin concentrations in killifish head and body were highest at 1000 ppb of diazinon while neurotransmitter were relatively low in fish unexposed or exposed to lower dose of the pesticide, suggesting that increased norepinephrine and serotonin can partially account for diazinon-induced behavioral abnormality.

  • PDF

전남지역 복숭아중의 농약잔류에 관한 조사 연구 (Study on the Pesticide Residues in Peaches in Chonnam province)

  • 김영국;오금순;송병준;박종태;김순천;박재홍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3-28
    • /
    • 1992
  • 전남지방의 주요 재배단제에서 채취한 총 16종의 복숭아들에 대한 농약 잔류량 조사하였으며, 이들 복숭아를 수세 및 탈피 그리고 저장하였을 때의 농약 잔류량의 변화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총 24종의 조사대상 농약중 TPN(Chlotothalonil) 및 Diazinon 그리고 Fenitrothion만이 3지점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그 잔류량은 보사부에서 설정한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s : MRL)에 크게 미달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들 시료들을 수세 및 탈피하지 않고 분석한 결과 TPN의 우 MRL을 훨씬 초과한 양이 검출되었는데, Diazinon은 MRL에는 미치니 못하였지만 수세 및 탈피한 시료들보다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수세에 의한 복숭아중의 잔류농약의 경감효과는 TPN의 경우 63.4~66.4% 이었으며 Diazinon은 거의100% 수준이었다. 한편 탈피에 의한 잔류농약의 경감효과는 TPN 및 Diazinon 모두에서 대부분 제거되어 수세에 의한 경감보다도 훨씬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료를 2주간 저장한 후 복숭아를 수세나 탈피를 하지 않거나 수세만 하여도 TPN과 Diazinon이 대부분 제거되며, 탈피를 한 경우는 별로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