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MEK Journal of Embedded Systems and Applications
/
v.8
no.1
/
pp.1-9
/
2013
Performance of smart phones has increased to conduct simple PC functions that has become essential to modern people.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 phones, not only limited inner sensors but various sensors can be connected through USB. However, there is problem that app needs to downloaded when using each sensor. In this paper, a smart phone unified app structure for USB sensor Plug&Play is presented. The structure was designed to download web pages to use various sensors in one app. Unified app communicated with the platform through ADK accessory protocol and implements structure of delivering sensor ID to the web server and downloading device driver, web page. By measurement test, it was confirmed that download time of web page in unified app was 10 times faster than original download time of original app. By managing various sensors by one app, the app is searched every time the sensor changes in which there is no need for downloading several app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v.17
no.2
/
pp.225-232
/
2013
The smart education is performed in the education field, bu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subject class performed in the various smart devices are insufficient an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raining teacher and learner for the app development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the contents production education program of the game type web app around elementary science 6 grade 1 term utilizing Storyline authoring tools, similar to PowerPoint and be executable in the various devices. After educating students, we investigate the convenience of the use of Storyline, satisfaction level of learning contents work activity, and the continued availability, and etc,. They are interested in the activity of the smart educational contents development and they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continued app development education and activity in spite of it make difficulty for using English menu.
In, Byung-Jun;Jun, Sung-Mi;Kim, Su-Jin;Yook, Y-Sul;Park, Hong-Sun;Kim, Jung Ta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2012.10a
/
pp.357-358
/
2012
현재 스마트폰 사용이 상용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사용자들은 각 사용자에게 맞는 편리한 App(Application)을 제작 또는 다운받아 사용을 하고 있다. 현재 등록되어 있는 App.의 수는 50만이 넘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보급되어있는 App.중 사용자 취향에 맞는 App을 다운받아 사용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들이 핸드폰으로 간단히 타자연습을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제작된 App은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타자연습을 하며, 사용자들이 타자연습에 지루함을 느낄 수 있기에 추가적으로 랭킹, 페이스북 친구에게 자신의 타자속도를 보여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2014.11a
/
pp.463-464
/
2014
모바일기술이 우리의 비즈니스 방식과 생활패턴에 큰 변화를 가져오면서, App 개발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앱개발은 기술적인 측면에 주로 관심을 가지게 되지만, 교육용 모바일 앱(Mobile App)을 개발 할 때, 개발초기에 모바일 개발방법을 결정하기에 앞서, 주요 고려사항을 검토해야한다.
As knowledge-based society comes to the fore, sharing knowledge becomes a hot issue. Among various types of knowledge, a significance of software(applications) and contents is a huge in a current society. Moreover, along with appearance of smartphone, for instance iPhone, Application Store(also known as AppStore) utilized as a common gateway for sharing software and contents, brings a big interest for many users and developers. However, prior research to understand users' behavior on AppStore has been a scant.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key smart service environmental factors on AppStore in order to empirically explain users' psychological feelings of intention to use AppStore. Based on a well-known technology adoption model, TAM, the study incorporates three main characteristics(user, society, and service) with six constructs(Innovation, Enjoyment, Subjective Norm, Information Level, Content variety, and Cost), influencing perceived usefulness, which then affects users' intention to use AppStor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support the tested hypothes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suggest a new theoretical work for future AppStore research and offers suggestions that the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of AppStore should consider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and contents.
Park, Jong-Jin;Choi, Gyoo-Seok;Kim, Jeong-Lae;Park, In-Kyoo;Kang, Jeong-Jin;Son, Byeong-Ki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v.14
no.6
/
pp.13-18
/
2014
In this paer, mobile healthcare App is developed for mental health management focused on anger management for modern people who are under constant stress and various inner conflicts. We describe mechanism of anger and relations between disease and anger, and constitute contents of App to provide information of anger management. And finally we implement Web App. We build menu of App to be convenient to users to use. Implemented App provides many useful functions like information of anger and body, various self-test including A-type test, hostility test, and KMPI etc., journaling, anger management and community.
With the advent of experience era, the user experience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in all walks of life. And the importance of user experience emphasize began to be emphasized. It analyzed the interfering factors of user experience of smart phone medical APP, and evaluated their relative importance. Then it made suggestions on the priority of medical APP development and provided reference for medical APP design optimization and service quality improvement. First of all, based on the related research about user experience theory, smartphone APP user experience and mobile medical APP, it summarized the user experience elements of smartphone medical APP. Secondly, 200 subjects in the 20-40 age group who chose smartphone download experience and used medical APP were surveyed to rate the effect of 18 factors. The results show that the factors such as product resources, medical advertising recommendations, doctor-patient interaction, emotional pleasure, easy to learn, and other facto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users' good experience when using app.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IT is contributed to popularization of smart phones, which in turn creates a new domain called app store. Smartphone apps have grown fast because they can be easily purchased through an app store. As the volume of apps traded in app stores is so huge that it is extremely hard for users to find the exact app they want. In general, an app store recommends an app to users based on the search words they entered. In terms of recommendation of app, this kind of content-based method is not effective. To increase accuracy in recommending app, this paper proposes a characteristic similarity-based app recommendation method. This method creates attributes on the app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such as genre, functionality and number of downloads and then compares them with the propensity to use the app. According to diverse simulations,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mproved the performance of app recommendation by 33% in averag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2016.01a
/
pp.193-194
/
2016
본 연구 프로젝트는 사용자가 보관하고 있는 냉장고 속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식이나 실생활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돕는 App을 개발하였다. 기존 음식의 레시피를 제공하는 App이 "집밥 백선생", "냉장고를 부탁해"와 같은 예능 프로그램 증가로 사용자들은 음식을 직접 만들기를 원하고, 개발자들도 그에 알맞은 App을 개발 및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레시피에 해당하는 재료는 마트나 집에 없는 것이 많고, 사용했던 재료들은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본 App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재료를 선택하여 그에 맞는 레시피를 찾고 만드는 법을 제공하며, 실생활에서도 활용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App이다.
The digital app-book is an advanced form of the electronic book (e-book), which attracts a lot of interests by the help of video, sound, sensors and a variety of interactions. As mobile devices have evolved, the demand of digital app-books is also rising substantially. However, the distribution of digital app-book contents is hard to meet the demand because the digital app-book requires a lot of programming cost for the interaction. To resolve this problem, Was verified and implementation as a library func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device and user. The proposed library consists of three parts (user action recognition, device action, and content action) and provides various user-device interaction functions by combining methods of each part, which can support source code reusability, easy understanding and availability, and wide expandibility. The library was used in the development of natural science education app-book contents. As a result, it could reduce a lot of code lines and facilitate more rapid app-book development.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