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eloped seed

검색결과 721건 처리시간 0.04초

내재해 다수성 톨 페스큐 신품종 "그린마스터"의 품종 특성 (A Stress-Tolerant and High-Yielding Tall Fescue New Variety, 'Greenmaster')

  • 최기준;임영철;지희정;김기용;박형수;서성;문정섭;김대호;이상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99-204
    • /
    • 2010
  • 본 시험은 신품종 톨 페스큐를 육성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07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에서 수행되었다. 톨 페스큐 신품종 '그린마스터'는 6배체 품종으로서 엽은 녹색이며, 출수기가 5월 14일경이며 풍엽성이 우수한 품종이었다. 4개 지역평균 건물수량은 '그린마스터' 19,156 kg/ha로서 대비품종인 'Fawn' 보다 11% 많았으며, 지역별로는 4개 지역 모두에서 'Fawn' 보다 생산성이 우수하였다. '그린마스터'의 사료가치는 조단백질 함량이 13.6%, 건물소화율이 51.1%, 가소화양분총량(TDN)이 60.3 %, NDF (중성세제불용섬유)가 66.1%, ADF(산성세제불용섬유)는 36.2%로서 Fawn과 비슷한 사료가치를 나타내었다. 특히, '그린마스터'는 'Fawn' 보다 재생력, 내병성 및 내하고성이 우수하여 영속성이 좋은 품종이며 한번 조성하여 여러 해 동안 이용하는 초지조성에 알맞은 품종으로서 우리나라 전국에서 재배적응성이 우수한 품종으로 사료된다.

톨 페스큐 신품종 '그린마스터2호'의 품종 특성 및 수량성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Tall fescue Variety 'Greenmaster2ho')

  • 이상훈;김기용;지희정;황태영;박형수;채현석;이기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6-30
    • /
    • 2015
  • 본 시험은 엔도파이트 프리 톨 페스큐 신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2008년부터 2014년까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 학원 초지사료과에서 수행되었다. 톨 페스큐 신품종 '그린마스터2호'는 6배체 품종으로서 잎은 녹색이며, 출수기가 5월 16일경으로서 대비품종인 'Fawn' 보다 5일 늦은 중생품종이고, 출수기에 초장은 82.5 cm 정도이다. 지역적응시험 4개 지역평균 건물수량은 '그린마스터2호'가 15.1톤/ha로서 대비품종인 'Fawn' 보다 29% 많았으며, 지역별로는 4개 지역 모두에서 'Fawn' 보다 생산성이 우수하였다. '그린마 스터2호'의 사료가치는 조단백질(CP) 함량이 13.9%, 건물소화율(IVDMD)이 69.9%, 가소화양분총량(TDN)이 63.8%, 중성세제불용섬유(NDF)가 59.4%, 산성세제불용섬유(ADF) 는 33.5%로서 Fawn과 대등하였다. '그린마스터2호'는 엔도파이트에 감염되지 않는 품종이면서 'Fawn' 보다 국내 기후환경 적응성과 영속성이 우수하여 초지조성에 알맞은 품종으로서 우리나라 전국에서 재배 가능하다.

오차드그라스 신품종 "온누리"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New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Cultivar, "Onnuri")

  • 지희정;이상훈;김기용;최기준;박남건;이기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9
    • /
    • 2013
  • 전국에서 1978년부터 1992년까지 수집된 생태형 오차드그라스 계통들 중 생육특성 및 내재해성이 우수한 5 계통을 집단 교배하여 생산된 합성종자를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천안에서 생산력 검정시험이 수행되었고,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 동안 지역적응성 시험으로 천안, 평창, 진주 및 제주지역에서 생육특성 및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2011년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심의회에서 생육특성과 수량성이 우수한 합성 28호를 신품종 "온누리"로 명명하였다. 온누리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온누리의 월동 전 및 봄의 초형은 중간형이며, 엽은 담녹색이고, 출수기에 지엽 길이는 중간이며, 상부절간장이 길고 풍엽성이 양호하였다. 출수기는 5월 16일로 표준품종인 암바 보다 5일이 빨랐으며, 출수기에 초장은 90cm로서 암바 보다 5cm 길었다. 내습성과 내병성은 온누리가 암바에 비하여 비교적 강하였으며, 녹병은 온누리가 암바 보다 강한 편 이었다. 온누리의 ha당 건물수량은 14,775 kg으로 암바 보다 18% 많았고, 특히 제주지역에서 증수하였다. 온누리의 사료가치는 암바와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온누리는 다수성인 중생종 계통으로, 특히 습해 및 내병성에 강하고, 건물 생산성이 많은 품종으로 초지 및 양질 조사료 생산을 위한 우수한 품종이다.

대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MMP-1 저해 활성 (Effect of Rheum undulatum Extract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in Human Skin Fibroblasts)

  • 박성민;이계원;조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700-170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대황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효과, MMP-1 활성 저해효과 및 자외선이 조사된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대황 추출물의 DPPH radicals과 초산소 음이온 라디칼 소거효과는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DPPH와 초산소 음이온 라디칼을 각각 20 ${\mu}g$/ml에서 72%와 80% 정도 소거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자외선이 조사된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MMP-1의 발현 저해효과 측정에서 대황 추출물은 1 ${\mu}g$/ml에서 약 79.5%로 매우 우수한 합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대황 추출물의 MMP-1 활성 저해효과는 20 ${\mu}g$/ml에서 약 70%의 우수한 활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대황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및 MMP-1 활성 저해효과와 자외선에 의한 MMP-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보아 우수한 항노화 소재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전자변형 작물이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enetically Modified Crops on Soil Microbial Community)

  • 이기종;오성덕;손수인;류태훈;박종석;이장용;조현석;안병옥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92-199
    • /
    • 2012
  • 유전자변형 작물을 종자로 판매하거나 식품, 사료 혹은 가공용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관련 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관련부처에서는 유전자변형 작물의 승인에 앞서 환경위해성 평가 자료가 과학적으로 타당한지 검토한다. 환경위해성 평가 중 유전자변형 작물이 토양 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은 충분히 연구되지 못한 분야이다. 최근 토양 환경내 미생물 군집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발전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배양에 의존적인 또는 비의존적인 기술에 의한 토양 미생물의 군집 특성을 조사한 연구와 유전자변형 작물의 환경위해성 평가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유전자변형 작물의 토양미생물 영향 평가는 사안별 평가 원칙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신뢰할 수 있고 상세한 토양 미생물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석 방법의 조합이 필요하다.

고랭지 지역에서 재배한 녹두 품종들의 항산화 활성 및 아미노산 조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Amino Acid Components of Mungbean Cultivars Grown in Highland Area in Korea)

  • 진용익;홍수영;김수정;옥현충;이예진;남정환;윤영호;정진철;이순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1-387
    • /
    • 2010
  • 본 연구는 고랭지 재배된 녹두의 항산활활성 및 유리아미노산 등 기능성물질로 알려진 GABA함량이 품종 간 그리고 나물 이용 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항산화활성 분석에서 '장안' 녹두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물의 활성이 종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물의 기능성 관련 지표로 이용되는 총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고랭지 재배 녹두의 종실에 함유된 총페놀 함량은 $1,186-1,493\;{\mu}g\;g^{-1}$ 범위를 보였고, 나물은 $2,321-2,783\;{\mu}g\;g^{-1}$으로 분석되어 종실을 나물로 이용 시 총페놀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종실의 아미노산 함량 분석 결과, 대부분의 품종에서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소선' 녹두의 함량이 높았다. 이들 아미노산 함량은 녹두나물 제조 시 현저히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Valine과 arginine의 함량이 700mg $100g^{-1}$ 이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녹두는 독특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아 금후 새로운 대체작물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화색이 선명한 황색 절화용 거베라 '조이풀' 육성과 유전적 분석 및 절화 수명 특성 (Breeding, Genetic Analysis, and Vase-life of Bright Yellow Gerbera Cultivar 'Joyful' for Cut Flower)

  • 정용모;이정수;이병정;권오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6호
    • /
    • pp.966-976
    • /
    • 2016
  •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포커스(Focus)'와 '초우(Chowoo)' 품종 간의 교배 후, 특성검정을 통해 선명한 황색의 반겹꽃 절화용 거베라(Gerbera hybrida Hort.) '조이풀(Joyful)'을 육성하였다. 인공교배로부터 얻은 실생계통을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조직배양과 포장재배를 통해 개체 증식과 생육 및 개화특성 검정, 농가 실증, 절화수명 등을 평가하였다. '조이풀'의 화색은 황색(12-A)으로 꽃의 직경이 12.8cm의 대륜화이며, 화경장은 60cm로 길었다. 개화 소요일수가 89일 정도이며, 절화 수량도 49.2개로 대조품종보다 개화가 빠르고 수량도 많았다. 절화수명에 있어서도 12.8일로 비교 품종보다 우수하였으며, 절화 보존 시 꽃크기 변화 등이 적고, 외형 등의 변화가 대조품종보다 우월하여 절화로서 높은 관상가치를 보였다. 또한 농가실증이나 기호도 평가 시 잘 조화된 절화품종으로 평가받았다. RAPD 분석에서 육성 품종이 모본과 부본의 밴드 패턴이 교배품종인 '조이풀'에는 모두 나타나서, 양친간 교배에 의해 육성된 품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이풀'은 2013년에 신품종으로 품종보호등록(품종보호 제4574호)이 되었으며, 절화용 거베라로서 농가소득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오차드그라스 신품종 '럭키원 2호'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New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Cultivar, 'Luckyone 2ho')

  • 지희정;우제훈;이성태;황태영;김기용;이상훈;이기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5-18
    • /
    • 2020
  • 전국에서 수집된 생태형 오차드 그라스 계통들 중 생육특성 및 내재해성이 우수한 계통을 선발하여 육성된 5계통을 집단 교배(polycross)하여 생산된 합성계통을 '합성37호'라 하였다. 이 계통을 2012년 천안에서 생산력 검정시험을 수행하였고,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 동안 지역적응성 검정시험을 천안, 평창, 진주 및 제주 등 4지역에서 생육특성 및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2017년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심의회에서 생육특성과 수량성이 우수한 '합성 37호'를 신품종 '럭키원 2호'로 명명하였다. '럭키원 2호'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럭키원 2호'의 월동전 초형은 중간형이며, 엽은 녹색이고, 출수기에 지엽 길이는 포트맥 보다 약간 길며, 상부 절간장은 매우 길고 (60.2cm), 풍엽성이 양호하였다. 출수기는 5월 5일로 조생종 품종으로 표준품종인 포트맥 보다 1일이 늦으며, 출수기에 초장은 95 cm로서 포트맥 보다 3 cm 짧았다. 내습성은 '럭키원 2호'가 포트맥에 비하여 비교적 강하였으며, 녹병은 럭키원 2호가 포트맥 보다 약간 강한 편 이었다. '럭키원 2호'의 ha당 건물수량은 15,980 kg으로 포트맥 보다 9 % 많았고, 특히 평창지역에서 증수하였다. '럭키원 2호'의 건물 소화율은 포트맥에 비해 높았으며 조단백질이 10 %로 약간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럭키원 2호'는 다수성인 조생종 계통으로, 습해 및 내병성에 비교적 강하고, 특히 건물수량이 높은 품종으로 산지생태 축산용 초지 조성 및 조사료 생산을 목적으로 재배 시에 유리한 품종으로 사려된다.

검정콩의 등숙기간 중 Isoflavone과 Saponin 함량변이 (Variation of Isoflavone and Saponin During Maturity in Black Soybean)

  • 이은섭;김희동;채제천;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34-41
    • /
    • 2008
  • 건강 기능성 농산물로 주목을 받고 있는 검정콩의 isoflavone과 soyasaponin ${\alpha}g$${\beta}g$의 축적 추이를 검토하였다. 또한 이들 항산화 성분을 고함유한 고 기능성 검정콩 생산을 위한 재배기술 확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검정콩의 등숙기간 중 항산화 성분인 isoflavone과 soyasaponin ${\alpha}g$${\beta}g$의 함량은 대체로 수확기$(R_8)\;6{\sim}7$일전에 가장 높았다. 이는 고항산화 콩을 생산하려면 수량 중심의 수확시기보다 $3{\sim}7$일 정도 빨라야 함을 의미한다. 2. 검정콩 종실의 등숙기간 중 총 isoflavone 함량은 일품 검정콩은 개화 후 61일, 흑청콩은 개화 후 77일에 가장 높았다. 검정콩 종실의 soyasaponin ${\alpha}g$${\beta}g$의 함량은 일품 검정콩은 개화 후 61일에, 흑청콩은 개화 후 71일에 가장 높았다. 3. 검정콩 잎의 등숙기간 중 총 isoflavone함량은 일품검정콩과 흑청콩 모두 개화 후 55일에 가장 높았다. 검정콩 잎의 soyasaponin ${\alpha}g$의 함량은 일품검정콩은 개화 후 $18{\sim}41$일, 흑청콩은 개화 후 $55{\sim}71$일에 높았다. 4. 검정콩 잎의 생리활성 성분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아 이를 신소재 기능성 농산물로 활용 및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검정콩 잎을 신소재 기능성 농산물로 활용하기 위한 수확적기는 종실비대가 완료되는 생리적성숙기($R_7$)이었다.

고속도로 절·성토 비탈면 녹화 공법의 적용 실태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Revegetation Methods for Highway Slopes)

  • 김남춘;송호경;박관수;전기성;이상화;이병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5
    • /
    • 2007
  • A variety of revegetation methods are being utilized and developed. However, most of revegetation methods used on highway slopes in Korea are based on foreign-introduced plant varieties to stabilize road surfaces and to administer afforestation for surface covering at an earlier phase. Therefore. it results in various problems. such as failure to achiev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vegetation and 10 cause re-denudation of slopes as the foreign-in introduced plant varieties wane out from 2~3 years after hydro-seeding, etc. In addition, some of the revegetation plants seeded in the earlier phase grow excessively high, thus causes successional problems, such as to inhibit the invasion of the secondary vegetation from the surrounding areas, etc. Therefore, in this study, 160 slopes located in the nationwide express highways have been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order to produce basic data for restora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 in slopes created on a long-term basi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cut and filled slopes in express highways, status of revegetation methods, characteristics of soil and plant-ecological environment. 1. Investigation on cut and embanked slopes in express highways was carried out in the total of 160 locations, which include 108 cut slopes and 52 embanked slopes. As a whole, the most frequently used revegetation method was seed spray, which was found to be used in the total of 55 target slops investigated. 2. Planting method of Wistaria floribunda applied to some of the blasted rock zones was found to cause damages as Wistaria floribunda trailed up the surrounding vegetation and the secondary invaded trees. In order to prevent this, this method must be used only in the lowest parts of large-sized slopes. Also, it will be required to administer continuous management and maintenance in the areas already planted with this plants. 3. The areas of blasted rock and ripping rock slopes were applied with coir net (net + seeding) method. However, many of these areas failed in achieving ground covering. Most areas where revegetation was in progress, they were covered with Eragrostis curvula(Weeping lovegrass) only. In areas with soil, such as decomposition of granite, where afforestation is difficult. In this slopes, soil base must be improved by hrdroseeding with thin-layer vegetation base application methods in order to achieve success in afforestation with native plants. 4. Woody species, rather than herb species, are more helpful in stabilization of slope surfac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be able to grow and protect woody species on highway slopes. Growth of woody vegetation is most largely influenced by soil depth. Thus, when hydro-seeding woody plants, it is recommended to apply at the upper layer of the slopes, which is capable to sufficiently provide the fundamentals required in plant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