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mutagenicity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4초

Antimutagenic Effect of Bacillus natto Isolated from Natto

  • Yun, Soon-Il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3호
    • /
    • pp.133-137
    • /
    • 2005
  • In vitro antimutagenicity of Bacillus natto islolated from Natto, Japanese traditional fermented food, was investigated using umu-test. Mutagenicity of S9-activated metabolites of Trp-P-2 and IQ for Salmonella typhimurium TA 1535/pSK1002 was remarkably inhibited by addition of bacterial cells and their cytoplasmic fraction. Desmutagenicity by cytoplasmic frac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the fraction. Bioantimutagenic effect of cytoplasm on Salmonella typhimurium SD-100 did not show bioantimutagenic activity against mutated bacterial cells induced by Trp-P-2. Cytoplasmic fraction exhibited 17% bioantimutagenicity due to desmutation caused by IQ.

쑥 추춤물의 항돌연변이 활성효과 (Effect of Mugwort Extract on the in vitro Mutagenicity, Desmutagenicity.)

  • 이성;권동진;유진영;정동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5-110
    • /
    • 1996
  • Mugwort has been known as a traditional substitutive foodstuff and as showing a physiologically beneficial function to a human being. Therefore, effect of mugwort extract in terms of mutagenicity and desmutagenicity was investigated to berify its function. Ethanol extract from mugwort did not exhibit any mutagenicity. On the contrary, inhibitory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 were observed on mutagenicity induced by aflatoxin $B_{1}(AFB_1)$, 3-amino-1,4-dimethyl-5H-pyrido[4,3-b]indole(Trp-P-1), 3-amino-1-methyl-5H-pyrido[4,3-b]indole(Trp-P-2) and 2-nitroflourene(2NF)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 On direct-acting mutagen(2NF, 3${\mu}$g/plate), ethanol extract showed a slight inhibitory effect of 19.7~22.9%, however on indirect-acting mutagen such as AFB1(2${\mu}$g/plate), Trp-P-1(1${\mu}$g/plate) and Trp-P-2(1${\mu}$g/plate), we observed higher inhibitory effect of 47.9~61.2%, 64.1~70.7%, 67.4~78.7%, respectively. Step-wise fractionation of the ethanol extract was done by using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water to obtain effective fraction. Among them, hexane,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fractions showed high inhibition of 63.0~80.0%, 77.5~82.1%, and 68.5~83.1%, respectively on the mutagenicity of $AFB_1$ in Sal. typhimurium TA98. Consequent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ugwort extract contains some compound(s) which may show desmutagenicity.

  • PDF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추출물의 돌연변이원성 억제작용 (Desmutagenicity of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 김선봉;여생규;김인수;안철우;박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60-168
    • /
    • 1995
  • Desmutagenicities against 2-amino-1-methyl-6-phenylimidazo[4, 5-b] pyridine(PhIP) and 2-amino-3, 8-dimethylimidazo[4, 5-f]quinoxaline(MelQx) of tea extracts (steamed green tea, roasted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were investigated. All the fractions obtained from tea extracts showed strong desmutagenic activity against PhIP and MeIQx toward S. typhimurium TA 98 in the presence of the S-9 mix. The crude catechin fraction exhibited the strongest desmutagenic activity. Among these tea extracts, black tea especially exhibited the strongest desmutagenic activity and the activity was 70.9~91.0% against PhIP and 92.2~98.8% against MelQx at a concentration(0.5~1.0mg/plate) for drinking. The activity of authentic catechins of (-)-EGC, (-)-EGCg, (-)-ECg and (-)-EC were 79.5%, 60.2%, 46.1% and 43.5% against PhIP, and were 52.3%, 11.6%, 8.2% and 22.1% against MelQx by addition of 1.0mg/plate, respectively. The desmutagenic activity was supposedly due to the (-)-EGCg, (-)-EGC and (-)-EC in tea polyphenols, and the browning materials. The desmutagenicity was stronger when mutagens were preincubated with S-9 mix after reaciton with black tea extracts than when preincubated with them after reaction with S-9 mix. The desmutagenicity of tea extracts was rather expressed by reacting directly with mutagens than by deactivating the activated forms of mutagens.

  • PDF

Maillard 반응 유래(由來) 저분자 카르보닐화합물의 돌연변이원성과 그 억제기구 (Mutagenicities of Carbonyl Compounds Derived from Maillard Reaction and their Desmutagenicity Mechanisms)

  • 김선봉;염동민;도정룡;윤형식;변한석;김인수;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35-440
    • /
    • 1989
  • 식품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각종 활성산소 소거제 및 환원제를 사용하여 식품성분간의 상호반응에 의하여 당의 분해로 생성되는 저분자 카르보닐 화합물의 돌연변이원성과 그 억제기구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카르보닐화합물의 돌연변이원성은 glyceraldehyde 등의 ${\alpha}-hydroxycarbonyl$ 화합물보다 glyoxal등의 ${\alpha}-dicarbonyl$ 화합물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methyl glyoxal이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다. 각종 활성산소 소거제 및 환원제의 돌연변이원성 억제작용은 cysteine, glutathione 및 sodium bisulfite의 억제작용이 큰 것으로 나타나 이들 카르보닐화합물의 돌연변이원성은 주로 산화에 의해 생성되는 일중항산소$(^1O_2)$ 및 그 자체의 반응성에 크게 기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들 카르보닐화합물의 돌연변이원성은 첨가된 활성산소 소거제에 의하여 카르보닐화합물의 자동산화로 생성된 일중항산소, 수산라디칼, 과산화수소 및 superoxide anion 등의 소거 및 환원제에 의하여 카르보닐화합물의 반응성의 소실로 인하여 억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공시한 각 활성산소 소거제 및 환원제 단독으로는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Benzo(a)pyrene의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유기게르마늄(GE-132)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 of Organic Germanium(GE-132) on the Mutagenicity of Benzo(a)pyrene)

  • 이효민;정용;정기화;김재완;권순경
    • 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8-29
    • /
    • 1993
  • This study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action and mechanism of GE-132 (Carboxyethylgermanium sesquioxide)on benzo(a)pyrene, which have strong carcinogenicity and mutagenicity. To confirm desmutagenic effect (inhibition of metabolic processes of benzo(a)pyrene with S9 Mix or inactivation of the mutagenicity of benzo(a)pyrene metabolites) and antimutagenic effect (inhibition of gene-expression of reverted genes) of GE-132 against benzo(a)pyrene using with Salmonella typhimuyium TA98 Ames test was performed. The revertants in desmutagenicity test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combined groups of benzo(a)pyrene and GE-132 than benzo(a)pyrene only, without inhibition the metabolism of benzo(a)pyrene by S9 Mix. The ideal combined groups of benzo(a)pyrene and GE-132 were 10 $\mu{M}$ and 10mg, 20 $\mu{M}$ and 20mg, 100 $\mu{M}$ and 30 mg, respectively. Then, the revertants in antimutagenicity test, which was studied the direct action of GE-132 on the induction of revertant cells by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activated benzo(a)pyrene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reated groups of GE-132 than no treated groups. The number of revertants of Salmonella typhimurium TA98 were reduc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GE-132.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GE-132 inactivated the mutagenic metabolites of benzo(a)pyrene without inhibition of the enzyme action in the S9 Mix, and GE132 showed antimutagenic effect which have inhibitory action of reverted gene expression.

  • PDF

조리 조건을 달리한 가열조리된 육류(돼지고기)의 변이원성 검색과 제어에 관한 연구 (The screening of the mutagenicity and desmutagenicity for cooked pork meats according to cooking conditions)

  • 정경숙;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716-722
    • /
    • 2002
  • 조리조건을 달리하여 가열조리된 육류에서 형성된 단백질의 열분해 산물의 발암성을 검색하고 이의 제어방법을 검토하여 보다 안전한 조리법을 확립하고자 육류 중 돼지고기를 가스그릴(GG)과 전기그릴(EG) 및 전자렌지(MW)를 이용하여 온도별로 조리 한 후 이의 80% 메탄올 추출물에 대해 변이원성을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in vitro), micronucleus test(in vivo)를 실행하여 검색하였다. 또한 가열조리 중 생성되는 변이원성을 제어하고자 항암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진 채소즙과 녹차 추출물을 시료로 침지후 조리하여 이의 변이원성을 검토하였다. 가열 조리한 시료의 농도별(0.5, 2.5, 5.0, 10.0 mg/plate) 변이원성은 농도의존성을 나타내었고, 시료농도 5 mg/$m\ell$/plate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변이원성을 나타냈다(p<0.05). 또한 시료의 조리온도가 상승할수록 변이원성이 증가하여 조리온도 의존성을 알 수 있었고 S-9 mixture 첨가시 변이원성이 2-4배 정도 증가하여 간접 돌연변이원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육류의 종류별 변이원성은 돼지고기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변이원성을 보였고 닭고기가 가장 낮은 변이원성을 나타냈다(p<0.05). 돼지고기를 채소즙 및 녹차즙에 침지후 GG, EG로 조리하였을 때 생강>양배추>무즙의 순으로 생강즙에 침지한 시료에서 변이원성이 유의성 있게 낮게 나타났다(P<0.05). 돌연변이원 생성 억제 효과가 높았던 시료를 이용하여 Micronucleus test를 한 결과 생강즙 처리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소핵 형성률을 나타내어 생강이 소핵 형성 억제 효과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실용적인 면에서는 생강즙은 물과 동량인 경우 냄새가 너무 강하여 맛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양배추나 무즙을 이용한다면 고온 가열 조리시보다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재래종 황색자두효소 갈변반응 생성물의 돌연변이 억제작용 (Desmutagenicity of the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Which Obtained from Prunus salicina (yellow) Enzyme and Polyphenol Compounds)

  • 함승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1호
    • /
    • pp.71-76
    • /
    • 1987
  • 재래종 황색계자두 효소와 4종류의 polyphenol 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어진 효소적 갈변반응 생성물에 대하여 변이원성 및 변이원 억제작용에 관한 실험결과 B. subtilis H17과 M45 두 균주를 이용한 rec-assay에서 4종류의 갈변반응 생성물 모두 변이원성은 없었다. rec-assay에서 금속이온의 영향을 실험한 결과 pyrogallol의 갈변반응 생성물의 경우 $Fe^{3+},\;Mn^{2+},\;Zn^{2+},\;Ni^{2+}\;Al^{2+}$에서 약한 영향을 받았으며 hydroxyhydroquinone의 갈변반응 생성물에서는 $Cu^{2+},\;Pb^{2+}$, 그리고 catechol의 갈변반응 생성물에서는 $Mn^{2+}$ 공존하에서 약한 영향을 받았다. DNA절단실험 결과 갈변반응 생성물 자체에 의해서는 4종류의 시료 모두 DNA절단능력은 없었다. 금속이온의 영향에서는 $Fe^{2+}$의 경우 그 자체에 의해 절단되었으며 $Cu^{2+}$은 DNA 절단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9 mix를 첨가한 돌연변이 유발실험에서는 4종류의 갈변반응 생성물 모두 농도증가에도 변이원성은 없었으며 변이원 물질인 $benzo\;{\alpha}\;pyrene$에 대한 돌연변이원 억제반응에서는 4종류의 갈변반응 생성물 모두 농도증가에 따라 대조구에 비해 강한 억제작용을 나타냈다. 따라서 재래종 황색계 자두로부터 추출한 polyphenol oxidase와 4종류의 polyphenol 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어진 효소적 갈변반응 생성물의 들연변이원성 실험결과 갈변반응 생성물자체에 의한 돌연변이원성은 없었으며 금속이온의 영향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강력한 발암물질인 $benzo\;{\alpha}\;pyrene$을 사용한 돌연변이 억제실험에서는 4종류의 갈변반응 생성물 모두 강한 돌연변이 억제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Chitosan의 in vitro 돌연변이 억제효과 및 세포내 작용 특성 (In vitro Antimutagenic Activity of Chitosan and Its Bio-antimutagenic Characteristics)

  • 전향숙;장현주;이종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59-1064
    • /
    • 1996
  • 키토산의 in vitro 돌연변이 억제활성을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와 SOS chromotest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S. typhimurium에 의한 시험된 간접변이원 Trp-P-2에 대해서 0.1-1.0 mg/plate의 chitosan농도로 시험하였을 때, 24-65%의 돌연변이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p<0.01). Chitosan농도 0.1-0.5 mg/plate 범위에서는 용량-반응(dose-responese)관계를 나타내면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0.5 mg/plate이상의 농도에서는 오히려 저해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반면, 직접변이원인 SA 및 2-NF로 유도된 돌연변이에 대해서는 시험한 어느 농도에서는 chitosan에 의한 돌연변이 억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Chitosan은 직접변이원인 4-NQO에 의한 SOS 유도에 대해 chitosan농도가 0.15 mg/assay 및 0.20 mg/assay일 때 4-NQO에 의해 유도된 유도지수(induction factor) 8.290을 4.226및 4.516으로 낮추어 46-49%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간접변이원인 Trp-P-2에 의한 SOS 유도에 대한 chitiosan의 억제효과는 시험한 chitosan의 농도범위에서 약 9-39%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hitosan농도가 0.1 mg/assay이 경우를 제외하고는 chitosan농도 증가에 따라 비례적으로 SOS유도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Trp-P-2d 의해 DNA 손상을 유도한 다음 chitosan의 세포내 역제(bio-antimutagenicity) 활성을 살펴 본 결과, 저농도에서는 세포의 억제(desmutagenicity) 특성을, 0.75-1.0 mg/plate의 비교적 고농도에서는 세포내 억제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해조류 중의 anti-tumor initiator 및 promoter의 해석-2: PhIP와 MeIQx의 돌연변이원성을 억제하는 해조 추출물 소재의 연구 (Elucidation of Anti-tumor Initiator and Promoter Derived from Seaweed-2: Investigation of Seaweed Extracts Suppressing Mutagenic Activity of PhIP and MeIQx)

  • 박영범;김인수;유승재;안종관;이태기;박덕천;김선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81-586
    • /
    • 1998
  • 해조류 추출물을 이용하여 가열 식품 유래의 돌연변이 유발물질인 PhIP와 MeIQx에 대한 돌연변이원성 억제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PhIP와 MeIQx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작용은 갈조류가 녹조류 및 홍조류에 비해 우수하였다 특히 갈조류 중에서는 감태, 곰피, 다시마 및 미야베모자반에서 그 효과가 우수하였다. 그 중에서 곰피를 diethyl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 및 수용성 획분으로 분획하였을 때, 수용성 획분을 제외한 비극성 획분에서 억제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는데, ethyl acetate 획분에서 강하였다. 곰피의 ethyl acetate 획분을 Sephadex LH20으로 분획 하여 분리 한 결과, 활성 획 분 A-7은 PhIP에 대하여는 $90\%$/mg 이상, MeIQx에 대하여는 $80\%$/mg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207.7 및 232nm에서 흡수파장을 나타내었다.

  • PDF

당(糖) 분해생성물의 돌연변이원성 억제작용 (Desmutagenic Action of Sugar Degradation Products)

  • 김선봉;김인수;염동민;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9-124
    • /
    • 1988
  • 식품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식품의 가공, 저장 및 조리중에 식품성분간의 상호반응인 Maillard 반응을 이용하여 당의 분해로 생성되는 각종 카르보닐화합물을 강력한 돌연변이원성물질로 알려진 Trp-P-1, Trp-P-2, Glu-P-1, Glu-P-2 및 IQ에 각각 작용시켜서 이들 물질의 돌연변이성 억제효과를 연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카르보닐화합물에 의하여 돌연변이원성물질의 돌연변이원 활성이 크게 억제되었다. 사용한 카르보닐화합물중 ${\alpha}$-hydroxycarbonyl 화합물의 경우, glyceraldehyde, glycolaldehyde 및 dihydroxyacetone에서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alpha}$-dicarbonyl 화합물의 경우, diacetyl에서 그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서, 전반적으로 ${\alpha}$-dicarbonyl 화합물이 ${\alpha}$-hydroxycarbonyl 화합물보다 돌연변이성 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공시한 카르보닐화합물 단독으로는 돌연변이 성을 나타내었으나, Trp-P-1등의 돌연변이원성물질과의 상호반응로 이들 두 물질의 돌연변이성이 동시에 소실되는 것이 입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