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patients

검색결과 4,526건 처리시간 0.03초

Postoperative irradiation after implant placement: A pilot study for prosthetic reconstruction

  • Doh, Re-Mee;Kim, Sungtae;Keum, Ki Chang;Kim, Jun Won;Shim, June-Sung;Jung, Han-Sung;Park, Kyeong-Mee;Chung, Moon-Kyu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5호
    • /
    • pp.363-371
    • /
    • 2016
  • PURPOSE. On maxillofacial tumor patients, oral implant placement prior to postoperative radiotherapy can shorten the period of prosthetic reconstruction. There is still lack of research on effects of post-implant radiotherapy such as healing process or loading time, which is important for prosthodontic treatment planning.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post-implant local irradiation on the osseointegration of implants during different healing stages. MATERIALS AND METHODS. Custom-made implants were placed bilaterally on maxillary posterior edentulous area 4 weeks after extraction of the maxillary first molars in Forty-eight Sprague-Dawley rats. Experimental group (exp.) received radiation after implant surgery and the other group (control) didn't.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according to the healing time (2, 4, and 8 week) from implant placement. The exp. group 1, 2 received 15-Gy radiation 1 day after implant placement (immediate irradiation). The exp. group 3 received 15-Gy radiation 4 weeks after implant placement (delayed irradiation). RESULTS.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mmediate irradiation groups. BMD was similar in the delayed irradia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irradiated groups exhibited a lower bone-to-implant contact ratio,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rradiated groups also exhibited a significantly lower bone volume and higher empty lacuna count than the control groups. No implant failure due to local irradiation was found in this study. CONCLUSION. Within the limits of this study, the timing of local irradiation critically influences the bone healing mechanism, which is related to loading time of prostheses.

어린이 영구치에 나타난 국소적 치아 이형성증의 관리 (THE MANAGEMENT OF REGIONAL ODONTODYSPLASIA OF PERMANENT TEETH IN CHILDREN)

  • 이형숙;김재문;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37-743
    • /
    • 2008
  • 국소적 치아 이형성증(Regional Odontodysplasia)은 치아 경조직에 비교적 드물게 나타나는 발육성 장애로 치열궁의 특정 사분악에 국한되어 나타나며 이환치 경조직의 모든 구성요소가 발육 부전이나 석회화 부전을 보인다. 국소적 치아 이형성증에 대한 장기적 치료와 관리를 위해서는 여러 분야에 걸친 체계적 접근이 요구되며, 치료 계획은 환자의 저작기능과 심미성의 회복, 정상적인 수직고경과 공간의 유지, 악골의 정상적인 성장과 이환치의 맹출관리를 도모할 목적으로 수립되어야 한다. 본 증례보고에서는 부산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서 국소적 치아 이형성증으로 진단받고, $2{\sim}5$년간 정기적인 관찰을 받아온 5세 8개월${\sim}$10세 9개월 어린이 3명을 대상으로 그 간의 치료 내용과 치아 발육과정을 검토해 보았다. 관찰 기간 동안 12개 이환치 중 심한 염증과 이형성으로 발거된 1개 치아를 제외한 모든 치아에서 석회화의 진행 또는 치조골 상방으로의 맹출성 이동을 보이긴 하였으나 그 정도와 속도는 개개 치아마다 매우 다양하였다. 그러므로 치료는 악골의 정상 발육과 공간 유지를 도모하고 치아의 조기 상실에 따른 부작용을 차단하기 위해서 이환치에 대하여 최대한으로 보존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추천된다. 또한 치아마다 그 발육정도가 다양하므로 개개 치아의 맹출 관리를 위한 독립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을 동반한 복합 치아종 (COMPOUND ODONTOMA WITH CONGENITAL MISSING OF THE PERMANENT TEETH: CASE REPORTS)

  • 김하나;김재곤;백병주;한지혜;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79-684
    • /
    • 2007
  • 치아종은 치아조직의 비정상적인 과성장으로 인해 형성되는 외배엽성 상피세포와 중배엽세포로 구성된 혼합종양이다. 양성 치성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하며 신생물이라기보다 과오종으로 보고 있다. 치아종은 악골내 모든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치아와 유사한 복합 치아종은 비교적 상악 전치부에 호발하고, 불규칙한 형태를 나타내는 복잡 치아종은 하악 구치부에 호발한다. 일반적인 증상이 없어 일상적인 방사선 검사에서 주로 발견되며 영구치의 맹출지연이나 매복, 유치의 만기잔존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을 동반한 증례는 매우 드물다. 치료는 외과적 제거가 추천되며 완전한 적출시 재발은 드물다. 본 증례는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을 동반한 복합 치아종 환자에 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임플란트 저작능에 영향을 주는 신경학적 원인에 대한 고찰 (Discussion of Neurologic Factor Influencing on Chewing Ability of Implant)

  • 김태선;윤준호;김성회;김지환;이재훈;심준성;문홍석;박영범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3호
    • /
    • pp.269-276
    • /
    • 2012
  • 임플란트 보철물의 저작능력과 관련되어 다양한 요인들이 존재하며 여기에 관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후향적 연구에서는 임플란트 저작력이 다른 유형의 보철물과 비교해서도 우수한 것으로 결론 내리고 있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임플란트 보철치료 후에 저작능력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환자들이 간혹 있으며 이러한 저작의 불만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여러 가지 원인들 중 신경학적 원인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Pubmed database에서 Implant chewing ability, masticatory ability 등의 임플란트 저작과 관련된 검색어를 사용하여 검색 후 임플란트 보철물의 저작능력에 관련된 요인들 및 임상과 관련된 논문들을 선택하고 고찰하였다. 저작능력에 관한 정의, 저작능력에 관련된 요인들에 대해 고려하였으며 이러한 요인들 중 신경학적 원인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 평가하였다. 치주인대(Periodontal Ligament: PDL)의 기계적감각수용기(Mechanoreceptor)는 저작운동 시 치아로부터 얻은 정보를 뇌간으로 전달하여 저작운동의 조절에 관여한다. 임플란트의 경우 치주인대의 부재로 인해 저작운동 시 저작운동 적응 능력이 떨어지며 특히 딱딱한 음식을 저작 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다. 저작근, TMD의 mechanoreceptor 또한 저작운동에 관여하기 때문에 치주인대의 기계적감각수용기 부재를 보상할 가능성도 있으며 임플란트 주변 조직에 있는 nerve fiber가 감각능력에 관여할 수 있을 가능성에 대한 보고도 있으니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를 이용한 숙주조절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고찰 및 메타 분석 (Effects of host modulation by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on periodontal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강대영;조인우;신현승;안형식;김현정;박정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1호
    • /
    • pp.7-18
    • /
    • 2017
  • 목적: 아라키돈산 대사물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잠재적인 숙주조절제로 고려되고 있다. 이종설의 목적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를 비외과적 치주치료와 병용하였을 때 치주질환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관련된 연구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였다. Cochrane의 고찰 방법론에 따라 방법론적인 질, 임상 부착 수준과 탐침 깊이 변화량에 대한 평균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12개의 연구의 방법론을 평가하였고 이중 9개의 연구에 대해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임상 부착 수준의 변화에 대한 평균차의 경우 모든 관찰기간에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군과 대조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가장 큰 평균차는 4주 때 0.30 mm로 나타났다(95% 신뢰구간 = -0.37 to 0.97). 탐침 깊이 변화에 대한 평균차는 6주 때 0.34 mm(95% 신뢰구간 = 0.29 to 0.40)로 유의차를 보였다. 결론: 이를 토대로 하였을 때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를 비외과적 치주치료와 병용하여 투여하였을 때 부가적으로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치은 연하 치석 제거와 치근면 활택술시 Gracey curet과 Ultrasonic curet의 치석 제거에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Effectiveness of Gracey Curet and Ultrasonic Curet on Subgingival Scaling and Root Planning)

  • 정석형;정진형;임성빈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1호
    • /
    • pp.257-269
    • /
    • 2001
  • Removal of subgingival calculus is essential for the success in periodontal treatment. Subgingival instrumentation is used for the removal of all bacterial plaque and calculus. In this study, Gracey curet and Ultrasonic curet were used on single rooted teeth to conduct subgingval scaling and root planning. The remaining amount of calculu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ype of instrument, depth of pocket, and tooth surface. 24 teeth were extracted from 14 patients being treated at department Periodontology Seoul Advantist dental hospital were used. Total 96 area(4 surface per teeth) were evaluated. 12 teeth treated with Gracey curet were used as the control group and the other 12 teeth treated with Ultrasonic curet were examined for experimental group. The 4 surface of the teeth(buccal, mesial, lingual or palatal, distal) were observed through the stereomicroscope and the images of the surface were captured and saved in CCD. The images were displayed on the monitor and the amount of calculus remained was evaluated by overlapping $10{\times}10$ grid pixel screen produced by Microsoft power point. The results evaluated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dual calculus and tooth position following scaling and root planning of all group,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esidual calculus, probing depth, instruments and tooth surface. 2.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esidual calculus and probing depth,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dual calculus, tooth surface and tooth position on experimental(Ultrasonic curet) group.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dual calculus according to the pre-treatment pocket depth and tooth position,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ooth surface. The amount of residual calculus increase with mesial, distal, buccal and lingual(or palatal) surface on control(Gracey curet) group. 4. The Gracey showed better results than ultrasonic curet in mesial and distal surface, 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ultrasonic curet alone is inadequate for thorough subgingival debridement and suggest that Ultrasonic curet with Gracey curet should be more effective.

  • PDF

상악전치부 임플란트 식립 시 상악전치부 치근첨에서 비강저까지 치조골의 수직적 길이 측정 (The Measurement of Vertical Length from the Root Tip of Maxillary Anterior Teeth to Nasal Floor, When Maxillary Anterior Implants Placed)

  • 장해만;김진욱;권대근;장현중;김진수;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5호
    • /
    • pp.326-331
    • /
    • 2012
  • Purpose: Length measurement from maxillary anterior teeth root tip to nasal floor is incorrect in panoramic radiography. Comparison of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and panoramic radiography should be helpful in determining the vertical length. Methods: Sixty nine patients were taken CBCT and panoramic radiography of the maxillary anterior. First measurement is length of parallel lines from the central incisor and lateral incisor root tip to nasal floor on CBCT. Second measurement is length of perpendicular lines from the central incisor and lateral incisor root tip to nasal floor on CBCT. Third measurement is length from the central incisor and lateral incisor root tip to nasal floor on panoramic radiographys. Results: In the first measurement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n average of $11.36{\pm}2.49$ mm in males and $10.49{\pm}2.17$ mm in females. In the second measurement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10.41{\pm}2.42$ mm in males and $9.18{\pm}2.08$ mm in females. In the third measurement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10.71{\pm}2.20$ mm in males and $9.27{\pm}2.10$ mm in females. In the first measurement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an average of $13.40{\pm}2.04$ mm in males and $11.96{\pm}2.20$ mm in females. In the second measurement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11.25{\pm}1.82$ mm in males and $10.06{\pm}1.68$ mm in females. In the third measurement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11.47{\pm}2.01$ mm in males and $10.13{\pm}1.70$ mm in females. Conclusion: The vertical length from root tip to nasal floor was longer in male than female (P>0.05). First measurement was longer than third measurement (P<0.05). This is the actual placement of the implant site measured on the vertical length than the length of the panorama means that there are a few more free. The first measurement was longer than 114% over the third measurement.

악교정술을 요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안면 골격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SKELETON ON ORTHOGNATHIC SURGICAL GASES WITH SKELETAL GLASS III MALOGGLUSION)

  • 임한호;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9-201
    • /
    • 1998
  •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학생 중 안모형태와 교합상태가 양호하고,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정상교합자 74명 (남자 38명, 여자 36명)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조선대학교 부속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악교정 수술을 통한 교정치료가 필요하다가 진단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성인 45명 (남자 23명, 여자 22명)을 실험군으로 하여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을 촬영하고 Burstone & Legan방법에 의해 각각의 계측항목별로 남여를 비교 분석하여 악교정 수술이 필요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환자의 악안면 골격 특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는 함몰된 안모를 지니고 있었고 (P<0.001), 여자에서 뚜렷한 상악골 열성장 (P<0.nt)과 하악골 과성장 (P<0.01)을 보인 반면, 남자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존재하지 않았고 상,하악골 연조직의 전,후방적인 비교에서는 특징적으로 남자는 하악골 연조직의 과다한 전방돌출 (P<0.001), 여자는 상악골 연조직의 과다한 후퇴 (P<0.001)을 보였는데 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이 남자는 하악골 과성장, 여자는 상악골 열성장에 의해 주로 기인됨을 알 수 있다. 2. 골격성 III급 부정 교합을 지닌 남여 모두에서 특징적으로 MP-HP 각과 genial angle이 커서 하악골의 전하방 과성장을 보인 반면, ramus height는 남여 모두에서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으며, 상악중절치는 순측경사, 하악전치는 설측경사 되어 있었는데 이는 악교정 수술을 위한 술전교정 치료시 이러한 치성보상을 정상으로 회복시켜 각 골격구조내에서 치아들이 적절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것을 의미한다. 3. 여자에서 상안면고경에 비해 하안면고경이 특징적으로 짧았고, 남자의 lower facial throat angle이 특징적으로 작았다. 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이 남자에서는 하악골의 과다한 하방 성장및 긴 목, 여자에서는 하악골의 전방으로의 과다성장및 짧은 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지르코잔 프레타우 블럭을 이용한 Full Zirconia 수복 시 심미에 관한 임상적 소견 (Clinical remarks about esthetics in the case of full zirconia restoration utilizing Zirkonzahn Prettau® block)

  • 박종찬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0-46
    • /
    • 2013
  • 치과에서 수복물제작에는 지난 50년간 금속을 이용한 금속도재관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다 보니 심미적이고 생체 친화적이며 금속 알러지등의 문제로 인한 환자들의 사고의 변화에 따라서 'metal free restoration'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특히 그 동안 많이 사용되어왔던 귀금속 가격이 급등하여 더 이상 구강 내 수복 물로써 제 역할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으며, PFM수복은 술자로 하여금 chipping과 파절로 인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구치부 임플란트 수복물로써 보다 심미적이고 강도가 높은 재료의 요구로 인하여 그 어느 때보다 CAD/CAM이 주목을 받고 있다. Full zirconia 수복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1. 강도 2. 콤비네이션 작업은? 3. 빛 투과성은? 4. crack이 발생한 경우의 처치는? 5. 블럭의 색조 재현상은? 6. 대합치 마모도 7. 저온 열화 현상 등을 들 수가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블럭의 색조 재현상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Full zirconia 수복을 꺼려하는 가장 커다란 이유 중에 하나가 바로 기존의 PFM 수복과 비교했을 때 자연스러운 색조를 재현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며, 교합 조정 후에 컬러링한 표면이 삭제된 후 나타나는 보기 싫은 블럭의 노출로 인하여 많은 임상가들이 꺼려하고 있다. 지르코잔의 블럭을 약 4년 여 동안 사용하면서 이러한 점들은 어느 정도 극복되어질 수 있는 문제라고 여겨지며, 어떻게 하면 그 가급적 주변 보철물 또는 자연 치아와의 조화 이룰 수 있는 수복물을 만들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해 정리였다.

일부 건강검진 수검자에서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치주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Factors to Periodontal Diseases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in Health Examination Examinees)

  • 이재성;강현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259-268
    • /
    • 2018
  • 본 연구는 일부지역 건강검진 대상자들의 건강검진 자료를 토대로 대사증후군과 그 위험인자를 가진 성인에 있어서 치주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2014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한국건강관리협회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9,9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IBM SPSS 24.0 Ve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그 결과, 대사증후군에 이환되어 있는 대상자들 중 치주질환 발병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기적 구강검진(0.579), 구강용품사용유무(0.499), 구강보건교육 경험유무(0.358)이었으며, 치주질환의 교차비는 정기적 구강검진을 하지 않는 경우 1.79배, 구강관리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1.61배,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없는 경우 1.43배로 증가하였다(p<0.001). 결론적으로 대사증후군 대상자들에 있어서 치주질환 발병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검진, 구강관리용품 사용, 구강보건교육이 매우 중요함을 밝혔는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