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floss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4초

방문건강관리인력의 구강건강지식과 실천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of visiting health care personnel)

  • 원재희;박일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459-2467
    • /
    • 2010
  • 본 논문은 공공의료보건기관에서 근무하는 방문건강인력의 구강보건에 대한 전문성 제고의 목적에서 구강건강 지식 및 실천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강건강지식은 치주질환 67%, 치아우식증 68%, 일반치과지식은 68.4%이상의 정답률을 보였다. 둘째, 구강건강실천은 예방목적의 치과방문에서 50%이상, 치료를 위해서 60.1%가 치과방문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치석제거는 46.6%가 정기적으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과치료이용을 89.6%가 종합병원·치과(병)의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칫솔질의 경우 3회 이상은 89.5%, 구강위생용품으로는 치실을 58%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칫솔질 방법으로 회전법을 시행하는 대상자는 46%로 조사되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지식은 연령(F=5.25, p<0.01), 보건의료직 경력(F=3.94, p<0.01)에 따라, 구강건강실천은 방문보건경력에 따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F=3.20, p<0.05).

치과에 내원하는 환자의 구강보건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for Oral Health Education of Dental Patients)

  • 주온주;박정순;이흥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7-82
    • /
    • 2005
  •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구강진료기관에 내원한 18세 이상의 성인환자 350명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태도 및 행동실태를 파악하여 진료실에서의 구강보건교육의 중요성을 재인식 시키고자 시행하였으며, 2004년 3월 22일부터 4일 10일까지 자기기입식에 의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교육의 경험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학력에서는 대학교 졸업 이상이, 직업별로는 주부에서 구강보건교육 경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교육 후 실천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실천도가 높았으며, 연령에서는 30대가 가장 높았고, 학력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직업에서는 공무원이 실천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후 실천할 수 없었던 이유로는 62.9%가 관심이 없어서라고 응답하였다. 3. 구강보건교육 내용으로 가장 많은 응답자 35.2%가 치석 제거를 받아 보았다고 응답하였으며, 잇솔질 외 보조구강 위생용품에서는 치실이 42.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후 행동의 변화에 대해 46.9%가 잇솔질 횟수가 증가 했다고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으며, 식이조절이 10.4%로 사용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5. 구강보건교육 유무에 따른 구강위생 관리 실태는 잇솔질 방법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치석제거 주기는 1년 이상~2년이 25.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치실 및 치간 칫솔의 사용여부는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있는 환자에서는 30.6%가 사용을 하고 있었으며, 경험이 없는 환자에서는 5.9%가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일부 근로자들의 구강건강관리행태와 결손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al Behavior and Missing Teeth of Some Workers)

  • 배지영;정기옥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39-346
    • /
    • 2013
  • 본 연구는 근로자들의 구강건강관리행태와 결손치에 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울산시 근로자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1. 구강건강인지도는 30대가 가장 높았고(p<0.01), 구강건강의 감수성에 대한 자기평가에서는 여성(p<0.01), 연령이 낮을수록(p<0.05), 학력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2. 연령이 낮을수록(p<0.001), 학력이 높을수록 잇솔질 횟수가 많았고(p<0.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하루 잇솔질 횟수가 많을수록 결손치의 비율이 낮았으며(p<0.01), 치아를 닦을 때 치간칫솔, 치실 등의 구강위생용품 사용하는 경우에 결손치의 비율이 낮았으며(p<0.01), 예방목적으로 치과 내원한 경우에 결손치 비율이 낮았으며 (p<0.05),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에 결손치의 비율이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4. 구강건강인지도와 구강건강 감수성, 구강건강상태는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구강건강상태와 결손치수, 잇솔질 횟수와 결손치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에 근로자들은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구강건강관리와 치아의 소중함을 배우고, 구강건강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켜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될 것이다.

치기공과 학생들의 구강위생에 대한 지식 및 관리실태 (A Study on the oral health Status and Knowledge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Students)

  • 최에스더;권은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079-5086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치기공과 학생들의 구강위생관리 실태 및 지식을 파악하여 지역사회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고, 구강보건 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조사대상자는 충청도 소재 대학의 치기공과에 재학 중인 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2010년 11월 10부터 12월 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관리 지식차이는 성별로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고, 연령별로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높았고, 학년별 항목에서는 학년이 높을수록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구강위생관리 실태에 따른 구강관리지식차이는 일일 잇솔질 횟수가 5회 이상에서 가장 높았고, 잇솔질 방법은 옆으로 치아만 한다에서 높았다. 치간 칫솔 이용유무 항목에서는 사용한다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따라서 전반적인 구강위생관리 실태는 구강보건교육의 경험이 있는 치기공과 학생들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수업시간에 계속적으로 구강보건교육을 받고 익히는 사람들에게서 구강건강관리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지역사회에서도 구강보건교육의 기회를 확대시켜 국민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키도록 해야하겠다.

구미지역 성인들의 건강행위와 구강건강관리실태조사 (A study on the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 management of adults in Gumi)

  • 윤성욱;남인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69-282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ttitudes toward and practice of oral health management among adults in the Gumi area. Health behavior especially drinking and smoking have been proven to affect the tissues around the teeth and increasing in importance. Thus the study set out to examine oral management according to drinking and smoking to suggest a need for education about oral health and provide basic data for oral health education. Methods : Total 226 subjects, who consist of 141 male adults and 85 female adults, in Gumi were asked to fill out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on October 24, 2009. Their answers to the item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 behavior were analyzed with the SPSS WIN 12.0 program. Results : 1. As for the frequency of visiting a dental clinic(hospital) for the last year, the non-movement group recorded higher frequency than the movement group, and the drinking group also did than the non-drinking group(p<0.05). 2. As for the experience and frequency of scaling, the female subjects were higher in the experience and frequency of scaling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The older they got, the more they tended to have scaling. The married respondents had more experiences of scaling than the singles, and the non-drinking group was high in the experience of scaling(p<0.05). 3. As for the number, time, and method of toothbrushing a day, more women answered they brushed teeth three times or more per day than men; those who were in their forties were the highest in terms of the roll method, and those who were in their twenties were the highest in terms of toothbrushing time. The married group and the non-smoking group answered they brushed teeth in the roll method three times or more per day in higher percentage. And the non-drinking group was high in the roll method,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4. As for use and kinds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the female respondents used them more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The older they became, the more they used them. The married group, the non-smoking group, and the non-drinking group used such devices a lot. The smoking group used dental floss most, and the non-smoking group used more kinds of such devices than the smoking group,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Conclusion : Oral diseases can be prevented by adopting healthy and right oral management behavior. Us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more diverse programs about actual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activated so that people can change their bad oral management and behavior and develop a habit of the right oral management attitude.

Toenail Paronychium Flap: Novel Surgical Approach for Ingrowing Toenail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of Conventional Surgical Methods

  • Yujin Ahn;Hyunrok Lee;Surak Eo;Heakyeong Shi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50권3호
    • /
    • pp.274-278
    • /
    • 2023
  • Ingrown toenails are most common among school-age children and adolescents though they can be observed at any age. Causes of ingrown toenails are increased curvature, trauma, and external pressure. Treatment of ingrown toenails can be broadly characterized as conservative and surgical. Conservative treatment can be performed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a gutter splint, dental floss, and cotton. Surgical treatments may be divided into two main approaches; narrowing of the nail plate and debulking of periungual tissues. However, these various conservative and surgical treatments have high recurrence rates, and thus, the author used a permanent surgical method based on the use of a paronychium flap to treat a 15-year-old male adolescent with excessive periungual tissues and curved ingrown toenails who did not improve despite conservative and several surgical treatments over 4 years. Subsequently, toenail shape was maintained without recurrence 22 months after surgery, and there were no complaints of inflammation or pain while walking. This simple surgical method can be performed on patients with advanced ingrown toenails due to excessive periungual tissues and nail curvature and can be expected to have permanent effects.

어린이집 교사의 구강보건실태와 유아구강보건관리에 대한 인식 (A Study on Preschool Teachers' Dental Health Recognition and Behaviors about Preschoolchildren Dental Health Care)

  • 이향님;심형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83-289
    • /
    • 2008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구강건강관리실태 및 유아구강보건관리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여 유아구강교육사업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20곳의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2008년 4월부터 5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인지된 구강건강상태는 건강한 편이 52.9%로 가장 많았고, 일일 칫솔질 횟수는 3회가 67.1%, 치실질 횟수는 49.3%였다. 가장 많이 사용한 구강위생용품으로는 구강양치용액으로 51.4%였고, 인지하고 있는 구강내 문제는 치아우식증이 45.7%로 가장 높았고, 지각과민증이 30.7%였다. 2. 정기적인 구강검사는 93.6%가 실시하고 있다고 하였고, 구강검사결과를 부모에게 통보하는 경우도 78.6%였으며, 통보 후 치료했는지 확인하는 경우는 60.7%였다. 일과 중 규칙적인 칫솔질 시간이 있는 경우가 95.0%였고, 구강건강과 음식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경우는 93.6%였다. 3. 교사의 학력별 유아구강보건관리에 대한 인식으로는 전문대학졸업이하에서 현재구강건강관리의 유효성(p < 0.05)과 유치치료필요성에서 대학교졸업이상군에서보다 높았으며, 구강보건전문가로부터의 교육을 받은 경험, 구강보건전문가로부터의 교육 필요성인지, 구강보건관련체험행사 참여의사(p < 0.01), 불소 및 실런트 인지, 치아건강을 고려한 간식제공부분에서 높았다. 유아구강보건관리에서 교사 역할을 전문대학 이하에서는 중요하다가 가장 높았고, 대학교이상에서는 매우 중요하다가 가장 높았다(p < 0.05). 구강관리의 주된 습득경로로는 두 군에서 치과가 가장 높았으며, 바람직한 구강보건교육담당자는 치과병의원인력이 가장 높았으며, 유아구강보건의 중요도도 매우 높다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4. 교사의 경력별 유아구강보건관리에 대한 인식은 현재 구강건강관리방식의 유효성과 구강보건교육경험, 교육필요성, 구강보건관련체험행사의 참여의사, 불소 및 실런트 인지, 유치치료의 필요성, 구강건강을 고려한 간식제공 등에서 6년 이상 경력자가 가장 높았지만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구강보건관련지식의 습득은 3년 이하에서는 인터넷, 4-5년에서는 신문TV, 6년 이상에서는 치과가 가장 높았다. 구강보건교육의 적임자로는 경력별로 치과병의원인력이 가장 높았으며, 유아구강보건에 대한 중요성에 대하여 모든 군에서 매우 중요하다가 가장 많았지만 군별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유아들의 구강보건관리를 위하여 더 많은 교육자료의 개발 및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사 구강보건교육교육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 성인의 치주치료요구와 구강건강행동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treatment needs and oral health behaviors in Korean adults)

  • 한수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89-97
    • /
    • 2020
  •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지역사회치주치료요구지수(CPITN) 각 단계의 치주치료요구와 구강건강행동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79세 성인 11,002명을 대상으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치실과 치간칫솔과 같은 치간관리용품을 사용하는 경우 CPITN1(OR=0.709, p<0.001), CPITN2(OR=0.672, p<0.001), CPITN3(OR=0.783, p<0.05)과 치주염(OR=0.726, p<0.001) 위험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1일 3회 이상의 칫솔질은 CPITN1(OR=0.755, p<0.01)과 CPITN2(OR=0.811, p<0.05)의 위험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치과검진은 CPITN1(OR=0.661, p<0.001), CPITN2(OR=0.621, p<0.001)와 치주염(OR=0.818, p<0.001)의 OR을 감소시켰다. CPITN의 각 단계 및 치주염 유무에 따라 구강건강행동의 효과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구강보건교육을 할 때에는 치간관리용품 사용 교육을 필수로 포함하고, 대상자의 치주건강상태에 따라 구강건강행동을 선택하여 교육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중장년층 당뇨병환자의 구강관리실태와 치주질환 (Oral care status and periodontal disease of middle aged diabetic patients)

  • 김명선;김건엽;문보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9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oral care status and periodontal disease of middle aged daibetic patients in Korea. Methods: The primitive data were taken from 238 diabetic people in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n 2010 - 2012. The variables included general profiles(gender, age, occupied area, education, and smoking), oral care status(brushing time, brushing time, use of oral hygienic supplies, availability of oral hygienic supplies, oral examination, and recognition of oral health state), and diabetes management(morbidity period, treatment, education, and glycosylated hemoglobin levels). Results: Most of the subjects took gargling more than twice a day and it accounted for 73.5%. Oral hygienic supply users accounted for 24.8%, and most of them used floss brush. Oral examination was done in 19.3% of the respondents and 55.0% thought that their oral health status were very poor. The prevalence rate of the periodontal diseases was 46.6%. Female tended to have a higher rate of periodontal disease than the male. Oral hygienic supply users had lower rate of periodntal disease than those who did not use. Those who had poor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had higher prevalence rate of periodontal disease than those who did not. Conclusions: Periodontal disease is closely related to good oral care of middle aged diabetic pati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the periodontal disease for the diabetic patients.

소아·청소년을 위한 한국형 우식위험평가 문항의 이해도 분석 (An Analysis o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aries Risk Assessmen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이지현;이수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22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of caries risk assessment items in order to develop caries risk assessment tools. Methods : A total of 52 parents and 10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for their understanding of nine items of the CAMBRA CRA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nine questions were analyzed through a Likert five-point scale. Centralized distribu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groups' understanding of the questions. Results : The evaluation of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showed that four items scored less than 3.0 points. The items were "Hyposalivatory medications (antihistamines, antipsychotics, asthma, etc.)," "Brushing below once a day," "F varnish last six months," and ".12 % chlorhexidine gluconate mouthrinse daily seven days monthly." The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of ".12 % chlorhexidine gluconate mouthrinse daily seven days monthly" was less than 3.0 poin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s of the three group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was found for a total of five items: "Hyposalivatory medications (antihistamines, antipsychotics, asthma, etc.)," 'Not used oral products such as floss and interdental toothbrushes," "F toothpaste 2× daily or more," "F varnish last six months," ".12 % chlorhexidine gluconate mouthrinse daily seven days monthly." Conclusion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caries prevention program by identifying whether the caries risk assessment reconstituted in Korean style can be used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More than half of the questions scored 3.0 points or higher and were generally completed. Nonetheless, a systematic program can only be completed if a plan is secured to improve repondents' understanding of the questions before a caries prevention program is develo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