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ineralized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32초

An alternative treatment option for a bony defect from large odontoma using recycled demineralization at chairside

  • Lee, JuHyon;Lee, Eun-Young;Park, Eun-Jin;Kim, Eun-S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1권2호
    • /
    • pp.109-115
    • /
    • 2015
  • Odontoma is the most common odontogenic benign tumor, and the treatment of choice is generally surgical removal. After excision, bone grafts may be necessary depending on the need for further treatment, or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odontoma. Although the osteogenic capacity of a demineralized tooth was verified as early as 1967 by Urist and many other investigators, the cumbersome procedure, including a long demineralization time, may be less than comfortable for clinicians. A modified ultrasonic technology, with periodic negative pressure and temperature control, facilitated rapid and aseptic preparation of demineralized teeth for bone grafts. This approach reduces the demineralization time dramatically (${\leq}80$ minutes), so that the graft material can be prepared chairside on the same day as the extrac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two cases of large compound odonotomas used as graft material prepared chairside for enucleation-induced bony defects. These two clinical cases showed favorable wound healing without complications, and good bony support for future dental implants or orthodontic treatment. Finally, this report will suggest the possibility of recycling the benign pathologic hard tissue as an alternative treatment option for conventional bone grafts in clinics.

Grafting of Glycidyl Methacrylate upon Coralline Hydroxyapatite in Conjugation with Demineralized Bone Matrix Using Redox Initiating System

  • Murugan, R.;Rao, K.Panduranga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14-18
    • /
    • 2003
  • Grafting of glycidyl methacrylate (GMA) upon coralline hydroxyapatite in conjugation with demineralized bone matrix (CHA-DBM) using equal molar ratio of potassium persulfate/sodium metabisulfite redox initiating system was investigated in aqueous medium. The optimum reaction condition was standardized by varying the concentrations of backbone, monomer, initiator, temperature and time. The results obtained imply that the percent grafting was found to increase initially and then decrease in most of the cases. The optimum temperature and time were found to be 50 $^{\circ}C$ and 180 min, respectively, to obtain higher grafting yield.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 and X-ray powder diffraction (XRD) method were employed for the proof of grafting. The FT-IR spectrum of grafted CHA-DBM showed epoxy groups at 905 and 853 $cm^{-1}$ / and ester carbonyl group at 1731 $cm^{-1}$ / of poly(glycidyl methacrylate) (PGMA)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 absorptions of CHA-DBM, which provides evidence of the grafting. The XRD results clearly indicated that the crystallographic structure of the grafted CHA-DBM has not changed due to the grafting reaction. Further, no phase transformation was detected by the XRD analysis, which suggests that the PGMA is grafted only on the surface of CHA-DBM backbone. The grafted CHA-DBM will have better functionality because of their surface modification and hence they may be more useful in coupling of therapeutic agents through epoxy groups apart from being used as osteogenic material.

PLGA 다공성 지지체에 함침시킨 DBP젤의 연골재생 효과: In Vivo 실험 (Effect of Demineralized Bone Particle Gel Penetrated into Poly(lactic-co-glycolic acid) Scaffold on the Regeneration of Chondrocyte: In Vivo Experiment)

  • 이윤미;심초록;이유정;김하늘;조선아;송정은;이동원;강길선
    • 폴리머
    • /
    • 제36권6호
    • /
    • pp.789-794
    • /
    • 2012
  •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의 장점을 지닌 PLGA는 우수한 기계적 성질과 분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소수성으로 인해 세포의 초기부착률이 낮고, 지지체 내부에 영양액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탈미네랄화된 골분(DBP, demineralized bone particle) 젤을 PLGA 지지체에 함침시켰다. 다양한 형태의 지지체 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 PLGA/DBP 지지체가 연골과 비슷한 강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DBP젤을 함침시킨 PLGA/DBP젤 지지체를 제작하였다. 연골세포를 파종하여 in vivo 실험을 진행하였고 조직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H&E, Safranin-O, Alcian blue, Collagen type I 및 Collagen type II 염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DBP를 함침시킨 PLGA 지지체에서 GAG, Collagen type I 및 Collagen type II의 높은 발현과 조직화를 보여 연골조직으로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Demineralized dentin matrix combined with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 in rabbit calvarial defects

  • Um, In-Woong;Hwang, Suk-Hyun;Kim, Young-Kyun;Kim, Moon-Young;Jun, Sang-Ho;Ryu, Jae-Jun;Jang, Hyon-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2권2호
    • /
    • pp.90-98
    • /
    • 2016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osteogenic effects of demineralized dentin matrix (DDM) combined with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 (rhBMP-2) in rabbit calvarial defects with DDM and anorganic bovine bone (ABB) combined with rhBMP-2. Materials and Methods: Four round defects with 8-mm diameters were created in each rabbit calvaria. Each defect was treated with one of the following: 1) DDM, 2) ABB/rhBMP-2, or 3) DDM/rhBMP-2. The rhBMP-2 was combined with DDM and ABB according to a stepwise dry and dip lyophilizing protocol. Histological and microcomputed tomography (${\mu}CT$) analyses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amount of bone formation and bone volume after 2- and 8-week healing intervals. Results: Upon histological observation at two weeks, the DDM and ABB/rhBMP-2 groups showed osteoconductive bone formation, while the DDM/rhBMP-2 group showed osteoconductive and osteoinductive bone formation. New bone formation was higher in DDM/rhBMP-2, DDM and ABB decreasing order. The amounts of bone formation were very similar at two weeks; however, at eight weeks, the DDM/rhBMP-2 group showed a twofold greater amount of bone formation compared to the DDM and ABB/rhBMP-2 groups. The ${\mu}CT$ analysis showed markedly increased bone volume in the DDM/rhBMP-2 group at eight weeks compared with that of the DDM group. Notably, there was a slight decrease in bone volume in the ABB/rhBMP-2 group at eight wee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DDM, ABB/rhBMP-2, and DDM/rhBMP-2 groups at two or eight weeks.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DDM appears to be a suitable carrier for rhBMP-2 in orthotopic sites.

수종의 골이식재를 이용한 성견의 임플란트 주위 3면 골내낭의 조직학적 관찰 (Histologic findings of three-wall intrabony defects around dental implants using different grafting materials in beagle dogs)

  • 문희일;문상권;김창성;;이용근;조규성;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3호
    • /
    • pp.439-455
    • /
    • 2003
  • 연구목적 : SLA surface dental implant 주위의 3면 골내낭에서 xenogeneic demineralized bone matric putty, porous ${\beta}$-tri-calcium phosphate, 새로이 개발된 non-crystalline calcium phosphate glass를 사용한 치료를 조직학적으로 비교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실험동물로는 15개월에서 18개월 사이의 12kg에서 15kg 정도되는 성견을 사용하였다. 20개의 SLA surface implant가 사용되었으며, 성견 하악의 양측에 각각 2개씩 사용되었다. 임플란트 식립전에, 각각의 임플란트 근심면에 straight fissure bur를 이용하여 표준화된 3면 골내앙(근원심 5mm ${\times}$협설 3mm ${\times}$깊이 3mm)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골 결손부에는 demineralized bone matrix putty, porous ${\beta}$-tri-calcium phosphate, non-crystalline calcium phosphate glass를 넣은 것을 각각 실험군으로, 이식재를 넣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8주 후에 실험 동물을 희생시키고 조직학적 관찰을 하였다. 결과 : 조직학적 소견상 임플란트 주위에 급성 염증 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며, non-crystalline calcium phosphate glass은 매우 적은량의 신생골을, ${\beta}$-TCP을 이용한 골내낭에서는 약간의 기저부에서 유래된 신생골이 관찰된다. ${\beta}$-TCP granules 가운데로 상당량의 측면의 골에서 유래된 신생골 형성이 보인다. xenogeneic DBM putty에서는 많은 량의 신생골이 기저부에 형성된 것을 볼수 있으나 대조군과의 차이는 크지 않다. 이식재의 종류와 상관없이 흡수되지 않은 이식재를 임플란트 주위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골내낭 안의 이식재들은 모두 connective tissue로 둘러 싸여 있었다. 모든 실험군에서 이식재에서 기인한 신생골 형성과 임플란트 표면에 신생 골유착의 조직학적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동종이식골의 탈회정도가 이소성 골형성유도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ECTOPIC BONE FORMATION EFFECT BY DECALCIFIED DEGREE OF ALLOGRAFTS)

  • 윤홍식;진병로;신홍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2호
    • /
    • pp.139-147
    • /
    • 1998
  • 동종 이식골 내의 탈회 정도에 따른 잔존 칼슘치가 이소성 골형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Sprague-dowley계 백서에서 채취한 경골 및 대퇴골의 골간부를 0.5cm 크기로 절단하여 부착 연조직은 제거한 다음, 초음파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60^{\circ}C$ 0,6N HCl용액으로 5분, 10분, 15분, 20분, 25분, 30분, 35분, 40분간 각각 처리하여 탈회 동종 이식골을 준비하였다. 이때 탈회시간에 따른 시편의 무게를 측정하였고, 각 탈회용액으로부터 1cc를 취한 다음 Sigma사의 진단용 칼슘치 측정kit를 이용하여 spectrophotometer로 600nm 파장하에서 칼슘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탈회 정도에 따른 이식골편의 골형성 유도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24마리의 Sprague-dowley계 백서를 탈회시간별로 8군으로 나누어 배부에 0.5cm 크기로 4군데의 피하낭을 형성한후 각각의 처리된 탈회 이식골편을 이식하였다. 매식된 동종 이식골편들을 술후 1, 2, 3주째 채취하여 통법에 따라 H&E염색 표본을 제작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이상의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탈회 30분까지의 용출되는 칼슘 농도 변화는 평균 15.91mg/ml로, 탈회 20분 이후에 평균 99.65%의 탈회정도를 보였다. 2. 동종골 무게 변화량은 탈회시작 25분까지 뚜렷한 무게변화를 보였으나, 그 이후에는 변화의 정도가 미약하였다. 3. 탈회된 이식 통종골에의한 이소성 골형성 유도능 비교에서 20분에서 30분간 탈회된 군에서 가장 양호하였고 그 외의 군에서는 그 정도가 열등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탈회된 동종골에 있어 골형성 유도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골기질내 무기성분의 완전한 탈회가 선행되어야 하며, 탈회골 기질의 변성이 최소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알긴산 배양과 펠렛 배양에서 소연골세포와 탈회골기질의 공배양 (Coculture of Bovine Chondrocytes with Demineralized Bone Matrix in Alginate Bead and Pellet Cultures)

  • ;홍경미;박진욱;최석화;김근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7-153
    • /
    • 2010
  • 연골밑뼈와 연골이식편 사이의 생유합성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과제이다. 현재까지 탈회골기질의 이용은 생체내 뼈세포 증식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골세포와 탈회골기질의 공배양을 통해 뼈와 연골의 유도 목적에 부합되는 모든 필수적인 요소를 갖는 재료로 이용가능 여부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 종류의 배양법 즉, 펠렛 배양과 알긴산 배양에서 탈회골기질과 공배양된 소 연골세포의 증식과 표현형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알긴산 배양에서는 세포 군집의 형성 및 연골세포의 수적 증가가 관찰되었다. 전형적인 연골세포의 표현형이 시험기간인 8주에 걸쳐 유지되었으며, 조직학적인 검사에서 연골세포는 일반적인 원형의 형태를 유지하였고, 연골세포방과 연골세포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대조군(연골세포 단독배양)에 비해 탈회골기질과 공배양한 두군 모두에서 많은 세포증식이 관찰되었으며,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생성 또한 증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