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ilitarized zone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에서의 민간인 삼일열말라리아 발생현황 (Current status of vivax malaria among civilians in Korea)

  • Jong-Soo LEE;Weon-Gyu KHO;Hyeong-Woo LEE;Min SEO;Won-Ja LE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4호
    • /
    • pp.241-248
    • /
    • 1998
  • 1993년 외국여행 경험이 없는 말라리아 환자가 발견된 이래 1997년까지 총 2,198명의 환자가 발생하였다. 대부분은 휴전선 근처에서 복무한 군인이었으며, 민간인 환자는 총 650명으로 1994년 3례, 1995년 19례, 1996년 71례, 1997년 557례였다. 그 중 239명은 경기도의 파주, 연천, 김포, 강화, 동두천 및 강원도 철원에서 복무한 경험이 있는 제대군인이었으며, 308명은 유행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이었다. 72명은 모기 활동기에 유행지역을 방문한 적이 있었으며, 32명은 유행지역에 간 적이 없는 사람이었다. 전체적으로 보아 20대 남자가 가장 많았다. 연중 말라리아 발생지수는 높지 않았지만 1993년 이후 유행지역에서 꾸준히 증가하였다. 한국에서 말라리아는 일년 내내 발생하였으며, 8월에 가장 많았다. 제대군인들의 경우 153일에서 452일에 달하는 지연형 잠복기를 나타냈다. 발병에서 진단에 이르는 시간은 1995년 23.6일에서 1997년 13.7일로 단축되었다. 삼일열말라리아의 발생이 휴전선 부근에서 시각되어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정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 PDF

매개모기의 서식환경과 토지이용 구조가 말라리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 - 말라리아 고위험지역을 대상으로 (The Impact of Land Use Structure and Vector Habitat Conditions on the Incidence of Malaria-A Case Study in High-Incidence Areas)

  • 김주혜;박선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2-24
    • /
    • 2013
  • 1980년대에 근절된 것으로 여겨졌던 말라리아는 재출현 이후 지난 10년간 증감을 거듭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휴전선에 인접한 지역이 말라리아 발생의 핫스팟으로 분류될 만큼 지역적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휴전선 부근 시 군지역이 말라리아 발생의 위험지역으로 분류될 뿐만 아니라 지역 간 말라리아 발생률에서 차이가 있으며, 질병 발생의 중심이 변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말라리아 발생이 지역별로 상이하게 펼쳐져 있는 자연 및 거주지 환경에 영향 받고 있음을 말해준다. 말라리아는 매개모기에 의해 병원체가 전달되는 것으로 이 과정은 특정 기후 및 인문환경 시스템 속에서 발현된다. 기후 요소는 매개모기와 병원체에 매우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며 기온은 가장 대표적인 환경요인이다. 또한 매개모기와 인간과의 접촉 빈도와 접촉 거리는 말라리아 발생률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로 다른 국지적인 기후조건, 매개모기의 산란 및 서식환경의 비중, 매개모기와 거주지 간의 거리에 따라 말라리아 발생이 지역별로 차이가 나타난다는 점을 기상자료, 인공위성 기반의 토지피복 자료를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Serosurveillance of Scrub Typhus in Small Mammals Collected from Military Training Sites near the DMZ, Northern Gyeonggi-do, Korea, and Analysis of the Relative Abundance of Chiggers from Mammals Examined

  • Kim, Heung-Chul;Lee, In-Yong;Chong, Sung-Tae;Richards, Allen L.;Gu, Se-Hun;Song, Jin-Won;Lee, John S.;Klein, Terry 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8권3호
    • /
    • pp.237-243
    • /
    • 2010
  • Comprehensive quarterly serosurveillance on scrub typhus in small mammals collected from military training sites located near the Demilitarized Zone (DMZ), northern Gyeonggi-do (Province), ROK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otential rodent-borne and associated ectoparasite disease risks to military personnel. A total of 1,196 rodents and insectivores representing 8 species, Apodemus agrarius (87.3%, n = 1,044), Mus musculus (5.4%, n = 65), Crocidura lasiura (3.3%, n = 40), Microtus fortis (2.6%, n = 31), Micromys minutus (0.3%, n = 4), Tscherskia triton (0.3%, n = 4), Rattus norvegicus (0.3%, n = 4), and Myodes regulus (0.3%, n = 4) were assayed for the presence of antibodies to Orientia tsutsugamushi. O. tsutsugamushi antibodies were detected in 6 of 8 species and seroprevalence determined; A. agrarius (45.6%), M. musculus (23.1%), M. fortis (48.4%), M. minutus (50.0%), T. triton (50.0%), and R. norvegicus (25.0%). A total of 31,184 chigger mites collected from 508 rodents and insectivores were slide-mounted and 10 species belonging to 4 genera were identified. Leptotrombidium pallidum (53.4%) was the most frequently collected, followed by L. pal pale (15.7%), Neotrombicula tam/yai (14.3%), L. orientate (10.7%), L. zetum (3.1%), Walchia fragilis (2.1%), and L. gemiticutum (0.8%), while the remaining 3 species, L subintennedium, N. gardellai, and Euschoengastia koreaensis were rarely observed (prevalence < 10%). In contrast to previous surveys, higher chigger indices of the primary scrub typhus vectors, L. pallidum (165.4), L. orientale (45.0), and L. palpate (21.4), were observed during the spring season.

서부 DMZ 인접지역의 담수어류 출현양상 (Appearance Patterns of Freshwater Fish in Western DMZ Adjacent Areas, Gyeonggi-do, Korea)

  • 고명훈;고재근;김형수
    • 생태와환경
    • /
    • 제48권1호
    • /
    • pp.38-50
    • /
    • 2015
  • 서부 DMZ 인접지역의 담수어류 출현양상을 밝히기 위하여 2014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14과 61종이었고,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 상대풍부도 20.3%), 아우점종은 참갈겨니 (Z. koreanus, 12.6%)였고, 그 밖에 밀어 (Rhinogobius brunneus, 9.2%), 돌고기 (Pungtungia herzi, 4%),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4.4%),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4.0%) 등의 순으로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고유종은 25종(40.1%)이었고, 외래어종은 떡붕어 (Carassius cuvieri) 1종이었다. 천연기념물은 어름치 (Hemibarbus mylodon) 1종이었고, 멸종위기야생생물은 I급의 흰수마자 (Gobiobotia naktongensis)와 II급의 다묵장어 (Lethenteron reissneri), 묵납자루 (A. signifer), 가는돌고기 (Pseudopungtungia tenuicorpa), 돌상어 (G. brevibarba), 꾸구리 (G. macrocephala) 6종이었으며, 회유성 어종은 뱀장어 (Anguilla japonica, 강하성)와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 양측회유성) 2종이 채집되었다. 조사지역 중 사미천 하류부(St. 5, 6)와 군남댐 인근(St. 11, 14)은 서식지가 다양하고 인위적 교란이 적어 33~42종의 많은 종이 서식하고 있었는데, 특히 천연기념물 1종과 멸종위기야생생물 3~5종이 집단으로 서식하고 있어 보전가치가 매우 높았다.

국내 특수 생태환경의 탈질 저영양 세균의 종 다양성 및 생리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Species Variety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nitrifying Olig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the Specific Environment in Korea)

  • 이창묵;원항연;권순우;강한철;구본성;윤상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0-217
    • /
    • 2011
  • 국내의 대표적 섬이나 생태환경이 잘 보존된 토양으로부터 저영양세균 3,471주를 분리하였고 이로부터 질소발생 분석법에 의해 탈질균 135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이들 균주의 16S rDNA를 염기서열 분석한 결과 이들의 90% 가량이 Proteobacterium문에 속하였으며 다른 44속에 대부분 포함되었다. 대표적인 44속에 대해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한 후 다양한 외부환경(온도, pH, 염, 무기질소염) 조건에 대한 이들의 생존성 범위를 조사한 결과, 넓은 온도($4^{\circ}C{\sim}42^{\circ}C$)와 pH(4~10)범위에서 자랄 수 있는 탈질균 12종을 최종 선발하였다.

DMZ에 인접한 광치령 일대의 식물상 (The Flora of Gwangchiryeong Area Adjacent to the DMZ)

  • 허태임;신현탁;김상준;이준우;정수영;안종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3
    • /
    • 2017
  • DMZ에 인접한 광치령은 강원도 양구군과 인제군을 이어주는 고개인 동시에 두 지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지표점이기도 하다. 해발고도 800m의 광치령은 대암산(1,304m)에서 뻗어 나온 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짙은 활엽수림과 깊은 계곡부에는 다양한 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비무장지대에 인접한 광치령의 지리적 입지는 DMZ와 그 이남지대를 연결하는 완충지대로 기능하고 있기에 광치령의 식물자원을 조사하는 것은 DMZ의 식물상을 이해하는 한 방법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DMZ의 인근지역인 광치령에 분포하는 식물을 밝히고 그들의 가치를 분석해 보고자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 광치령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88과 297속 441종 4아종 62변종 6품종 총 51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금강초롱꽃, 백작약, 구실바위취를 포함하여 22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고려엉겅퀴, 처녀치마, 참배암차즈기 등을 포함하는 특산식물은 22분류군으로 밝혀졌다. 귀화식물은 18분류군, 그들의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3.5%, 5.6%로 나타났다. 확인된 513종의 식물을 유용성에 따라 분류한 결과 식용과 약용을 포함하여 목축, 관상, 목재, 염료, 섬유, 산업용 등으로 이용되는 식물은 각각 197종, 154종, 180종, 49종, 24종, 8종, 4종, 3종으로 분석되었다.

남북한의 환경문제와 교류협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al Problems of South and North Korea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 안기회;최석진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5권1호
    • /
    • pp.112-137
    • /
    • 1993
  • As the concern with the crea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regulations about them becomes internationally growing, environmental cooperations with countries concerned are emerging as the first item on the political agenda. In case of South Korea, cooperations with countries in the Asian region is needed urgently. In particular, cooperations with North Korea will be an important factor to reunify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in South Korea.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eek feasible alternatives and possibilities of coping with international environment in South and North Korea. This study is limited to literature study based on collecting materials and the testimony of former residents in North Korea. The period of study ranges from May to December in 1992.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e following environmental problems and alternatives : It is recognized in South Korea that the crea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is product of economic development. Currently, the Korean government makes an effort to revise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and law, to encourag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o proceed with environmental technology policies by establishing environmental policies together with economic development plans. North Korea ascribes the cause of environmental problems to colonial exploitation by Japan and the U.S. Environmental pollutants in North Korea is relatively less than South Korea, provisions such as environmental conservation movemen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and law are not well organized in the country. However, North korea will speed up its economic development to solve economic cris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ndustrial wastes, corrosion of nature, and water pollution will result in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The fields expected to cooperate with South and North Korea are in the following : South Korea may adopt the model of the former East and West Germany and proceed to cooperate with North Korea in public sector as well as private sector. The possible programs are such as academic exchange to conserve environment, joint research in the area of the Demilitarized Zone, conservation of ecosystems around Imjin and Pukhan Rivers, South Korea's support of advanced environmental technology and industrial and financial aid to North Korea. Conflicts between countries concerned in the North East Asian region will be caused by the responsibilities of pollutions because of the seashore development of the Yellow Sea by South Korea and increasing seashore industrial complexes around the Yellow Sea in China,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two countries will participate in organizations related to environment. Joint projec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ill be as follows : 1. Construction of long-range monitoring system : 2. Investigation of the state of pollutions around the Yellow Sea and alternatives : 3. Construction of joint monitoring system to regulate the movement of pollutants : 4. Cooperation of environmental technology and exchange of information ; and 5. Support of Cooperation of environment in private sector. Efforts to cooperate with North korea is expected to overcom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well as to encourag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will lead to reducing the cost of environmental recovery. These efforts will also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for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in the North East Asian region.

  • PDF

DMZ 155마일 자연환경 및 식물분포특성연구 (DMZ 155 Miles - Characteristics of natural environment and plant distribution -)

  • 정수영;박진선;박기쁨;김상준;안종빈;이아영;황희숙;윤호근;송진헌;정지영;김일권;신현탁;이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25
    • /
    • 2019
  •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이후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DMZ (Demilitarized zone: 비무장지대)가 설정되었다. DMZ에 출입은 군사정전위원회의 허가가 있어야 가능하기에 군사시설 및 군작전지역을 포함하여 DMZ 및 민간인통제선 이북은 민간인 접근의 제한으로, 단절된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DMZ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동고서저의 지형 및 다양한 생태환경을 두루 갖추고 있어 중요한 생태적 요충지로 평가받고 있다. 산림지역은 민간인통제지역까지 합치면 40여개의 산지가 분포하고 있으며, 하천은 크게 15개의 크고 작은 하천이 위치하고 있다. 남방한계선 수계를 따라 일부지역들은 하천 배후습지, 묵논습지 등 습원형태로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이런 습원지역들은 대부분 미확인 지뢰지대로 접근이 제한적인 만큼 지난 세월의 흔적들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1965년 한국자연보존연구회는 30여명의 국내학자를 동원하여 서울에서 가까운 DMZ 인접지역에 대한 예비적인 학술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1966년 10월부터 1968년 9월까지 2년간에 걸쳐 한국자연보존위원회 34명의 국내학자와 미국 스미소니언연구소(Smithsonian Institution) H. K. Buechner 박사를 대표로 5명의 국외학자가 공동으로 종합적인 학술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는 DMZ 연구의 시작을 알렸으며, 이후 남북관계나 시대여건에 맞추어 간헐적으로 다양한 조사 및 연구들이 이어져오고 있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DMZ 철책주변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된 식물현황은 964분류군이다. 군시설로 인해 식물서식환경이 제한적인 상황이지만 척박한 환경에 적응하고 있는 식물은 다양하다. DMZ와 맞닿아 있는 7개 지역에 대한 식물현황은 철원 638분류군, 연천 631분류군, 양구 525분류군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중동부 지역에 높은 식물종수가 나타났으며, 서부와 동부의 식물들이 고르게 나타나는 결과로 보인다. 큰잎쓴풀, 봉래꼬리풀 등 희귀식물도 있는 반면, 잠재적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침입외래식물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양구지역에 새롭게 발견된 Macleaya cordata (Willd.) R.Br.(양귀비과)는 독성이 포함된 식물이며, 인제에서 2014년에 발견된 미역취아재비는 DMZ일원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종이였으나 현재 연천에서 발견되는 등 확산에 대한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 PDF

Principle of restoration ecology reflected in the process creating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Kim, A. Reum;Lim, Bong Soon;Seol, Jaewon;Lee, Chang 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3호
    • /
    • pp.105-116
    • /
    • 2021
  • Background: The creation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began as a national alternative project to preserve mudflats instead of constructing the industrial complexes by reclamation, and achieve regional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at the national level, the research institute for ecology was needed to cope with the worsening conditions for maintaining biodiversity due to accelerated climate change such as global warming and increased demand for development. In order to meet these needs,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has the following objectives: (1) carries out studies for ecosystem change due to climate change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2) performs ecological education to the public through exhibition of various ecosystem models, and (3) promotes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ecological industry. Furthermore,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thoroughly followed the basic principles of ecology, especially restoration ecology, in the process of its construction. We introduce the principles and cases of ecological restoration applied in the process. Results: We minimized the impact on the ecosystem in order to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all the processes of construction. We pursued passive restoration following the principle of ecological restoration as a process of assisting the recovery of an ecosystem degraded for all the space except in land where artificial facilities were introduced. Reference information was applied thoroughly in the process of active restoration to create biome around the world, Korean peninsula forests, and wetland ecosystems. In order to realize true restoration, we pursued the ecological restoration in a landscape level as the follows. We moved the local road 6 and high-voltage power lines to underground to ensure ecological connectivity within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campus. To enhance ecological diversity, we introduced perch poles and islands as well as floating leaved, emerged, wetland, and riparian plants in wetlands and mantle communities around the forest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terrestrial ecosystem. Furthermore, in order to make the public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intact nature, the low-lying landscape elements, which have disappeared due to excessive land use in most areas of Korea, was created by imitating demilitarized zone (DMZ) landscape that has these landscape elements. Conclusions: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was created in an eco-friendly way by thoroughly reflecting the principles of ecology to suit its status and thus the impact on the existing ecosystem was minimized. This concept was also designed to be reflected in the process of operation. The results have become real, and a result of analysis on carbon budget analysis is approaching the carbon neutrality.

Surveillance on the Vivax Malaria in Endemic Areas in the Republic of Korea Based on Molecular and Serological Analyses

  • Lee, Seong-Kyun;Hu, Fengyue;Firdaus, Egy Rahman;Park, Ji-Hoon;Han, Jin-Hee;Lee, Sang-Eun;Shin, Hyun-Il;Cho, Shin Hyeong;Park, Won Sun;Lu, Feng;Han, Eun-Tae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8권6호
    • /
    • pp.609-617
    • /
    • 2020
  • Plasmodium vivax reemerged in 1993. It has been sustained for more than 25 years and become one of the important indigenous parasitic diseases in northern and western parts of the Republic of Korea near the demilitarized zone. In particular, relapse is a significant concern for the control of malaria, as short- and long-term incubation periods vary among those infected in Korea. In this study, the prevalence of asymptomatic carriers was examined among residents of high endemic areas of vivax malaria during nonseasonal transmission of mosquitoes. Blood samples from 3 endemic regions in northwestern Korea were evaluated by microscopic examination, rapid diagnostic testing, and nested PCR to identify asymptomatic patients carrying malaria parasites in the community. However, no positive malaria case among residents of endemic areas was detected. Additionally, serolog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measure antibodies against 3 antigenic recombinant proteins of P. vivax, merozoite surface protein 1-19, circumsporozoite surface protein-VK210, and liver-stage antigen (PvLSA-N), by the protein array method. Interestingly, seropositivity of sera between previous exposure and samples without exposure to malaria was significantly higher using the PvLSA-N antigen than the other antigens, suggesting that PvLSA-N can be used as a serological marker to analyze the degree of exposure for malaria transmission in endemic areas. This indicates a very low asymptomatic carrier prevalence during the nonmalaria season in the endemic areas of Korea.